•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failure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초

쇄골 간부 불유합에서의 개재 삼면피질 장골 이식술 (Intercalary Tricortical Iliac Bone Graft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Nonunion of Midshaft Clavicular Fractures)

  • 조철현;장형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1호
    • /
    • pp.32-36
    • /
    • 2012
  • 목적: 쇄골 간부 불유합에서 개재 삼면피질 장골 이식술 및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고 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9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쇄골 간부 불유합으로 개재 삼면피질 장골 이식술 및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0.7 (12~57)개월이었다. 불유합 부위의 경화된 골을 충분히 절제한 후 구조적 지지 및 쇄골 길이를 회복할 수 있도록 삼면피질 장골을 골 결손 부위에 개재한 후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방사선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 유합을 판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UCLA, ASES, Quick DASH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골 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 유합 기간은 18.4 (14~24)주였다. UCLA 점수는 술 전 평균 16.7점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27.4점으로,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52.1점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83.6점으로 호전되었다 (p<0.05). 최종 추시 시 Quick DASH 점수는 평균 40.5점이었다. 합병증으로 2예에서 견관절 강직이 있었으며, 그 중 1예는 술 후 11개월째 금속물 제거술과 함께 견관절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였다. 그 외 고정물의 파손 및 감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쇄골 간부 불유합에서 개재 삼면피질 장골 이식술은 구조적 지지대 역할 뿐만 아니라 쇄골의 길이를 회복할 수 있는 좋은 술식으로 사료된다.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보고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 few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for a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신은정;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53-261
    • /
    • 2015
  • 만성 치주염 환자 치료시 잔존치 발치 여부를 결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고정성 또는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시 치주조건이 불량한 치아를 지대치로 사용하면 과부하로 조기실패가 우려되어 발치를 고려하지만,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잔존치로 전달되는 기능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존치를 유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잔존치를 이용한 전악수복시 proprioceptive response를 보존할 수 있어 악간관계와 교합평면 결정시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환자의 보철물에 대한 적응이 쉽다. 본 증례의 환자는 치주질환에 의해 다수치 상실 및 대합치의 정출을 보였다. 동요도가 심해 예후가 좋지 않은 치아를 발거하고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로 전악수복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얻었다.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a ready-made type and a custom-made type titanium mesh after mandibular resection in patients with oral cancer

  • Lee, Won-bum;Choi, Won-hyuk;Lee, Hyeong-geun;Choi, Na-rae;Hwang, Dae-seok;Kim, Uk-kyu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35.1-35.7
    • /
    • 2018
  • Background: After the resection at the mandibular site involving oral cancer, 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a type of vascularized autograft, is often used for the mandibular reconstruction. Titanium mesh (T-mesh) and particulate cancellous bone and marrow (PCBM), however, a type of non-vascularized autograft, can also be used for the reconstruction. With the T-mesh applied even in the chin and angle areas, an aesthetic contour with adequate strength and stable fixation can be achieved, and the pores of the mesh will allow the rapid revascularization of the bone graft site. Especially, this technique does not require microvascular training; as such, the surgery time can be shortened. This advantage allows older patients to undergo the reconstructive surgery. Case presentation: Reported in this article are two cases of mandibular reconstruction using the ready-made type and custom-made type T-mesh, respectively, after mandibular resection. We had operated double blind peer-review process. A 79-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gingival swelling and pain on the lef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a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was used to cover the intraoral defect. Fourteen months postoperatively, reconstruction using a ready-made type T-mesh (Striker-Leibinger, Freibrug, Germany) and iliac PCBM was done to repair the mandible left body defect. Another 62-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the authors' clinic with pain on the right mandibular region. After wide excision and segmental mandibulectomy on the mandibular squamous cell carcinoma (SCC), reconstruction was done with a reconstruction plate and a right fibula free flap. Sixteen months postoperatively, reconstruction using a custom-made type T-mesh and iliac PCBM was done to repair the mandibular defect after the failure of the fibula free flap. The CAD-CAM T-mesh was made prior to the operation. Conclusions: In both cases, sufficient new-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terms of volume and strength. In the CAD-CAM custom-made type T-mesh case, especially, it was much easier to fix screws onto the adjacent mandible, and after the removal of the mesh, the appearance of both patients improved, and the neo-mandibular body showed adequate bony volume for implant or prosthetic restoration.

천공형 티타늄 막의 조기 노출이 수직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membrane exposure on exophytic bone formation using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 김은정;허익;권영혁;박준봉;정종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237-249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embrane exposure on new bone formation when guided bone regeneration with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on atrophic alveolar ridg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GBR model for four adult beagle dog premolar. Intra-marrow penetration defects were created on the alveolar ridge(twelve weeks after extraction) on the mandibular premolar teeth in the beagle dogs. Space providing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with various graft material were implanted to provide for GBR. The graft material were demineralized bovine bone(DBB), Irradiated cancellous bone(ICB) and demineralized human bone powder(DFDB). The gingival flap were advanced to cover the membranes and sutured. Seven sites experienced wound failure within 2-3weeks postsurgery resulting in membrane exposure. The animals were euthanized at 4 weeks postsurgery for histologic and histometri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little new bone formation at 4 weeks postsurgery. irrespectively of membrane exposure. 2.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mbrane exposure and bone graft resorption(P<0.05), but no relation between membrane exposure and infiltrated connective tissue. 3. There was much bone graft resorption on DFDB than ICB and DBB. 4. The less exposure was on the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the more dense infiltrated connective tissue was filled under the membrane when grafted with ICB and DBB.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membrane exposure and the percentage of infiltrated connective tissue area and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of the area in the infiltrated connective tissue and in the residual bone graft. Within the above results, bone formation may be inhibited when membrane was exposed and ICB and DBB were more effective than DFDB as a bone graft material when guided bone regeneration.

전 슬관절 치환 성형술에 사용되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접촉응력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Contact Stress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in Total Knee Arthroplasty)

  • 조철형;최재봉;최귀원;윤강섭;강승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4
    • /
    • 1999
  • 인공 슬관절에 사용되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UHMWPE)의 마모는 삽입물의 수명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UHMWPE의 마모로 입자가 발생하여 조직반응을 일으키고 이에 따른 일련의 반응으로 골용해가 일어나 인공관절의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여러 보고들에 의하면 관절 운동시 발생하는 접촉응력은 UHMWPE의 마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고들은 관절 접촉면에서의 접촉 조건만을 고려했고 UHMWPE 삽입물을 지지하고 있는 금속 지지판과의 접촉면에서의 접촉 조건은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접촉 조건들을 고려하여 UHMWPE의 모양, 두께, 마찰, 굴곡 정도 그리고 구성 요소들에 대한 UHMWPE 표면과 내부에서의 응력해석을 통해 이들 변수가 UHMWPE의 마모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UHMWPE의 모양에 따른 관절의 일치정도(conformity)에 대한 영향의 경우, 일치정도가 높은 모델이 응력을 줄여줄 수 있는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금속 지지판과의 접촉면에서 접촉조건을 준 경우가 완전히 결합된 것으로 가정한 경우보다 UHMWPE 내부에서의 최대 응력이 1-2mm 더 아래에서 나타났다. 또한 UHMWPE로만 된 유형이 금속 지지판이 있는 유형보다 낮은 응력분포를 보여줌으로써 높은 응력으로 인한 UHMWPE의 마모와 균열을 줄이기 위해서는 UHMWPE로만 된 유형의 삽입물의 사용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구치 결손 환자에서 제3대구치의 교정적 활용 (Orthodontic protraction of the third molars to the posterior teeth missing area)

  • 이강규;박제혁;전진;강재연;김정기;전영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60-269
    • /
    • 2019
  • 구치 결손 부위가 장기간 방치될 경우 후방 구치의 근심이동과 대합치 정출 등의 원치 않는 치아이동, 치조골의 소실, 치아치조 교합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상실 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결손 부위에 대한 보철 수복 치료를 권장하고 있지만, 제3대구치 등 잔존 치아를 결손 부위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교정치료를 병행할 경우 최적의 크기와 형태로 보철 수복이 가능하고, 기능교합 시 힘의 분산을 고르게 할 수 있으며, 수복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생역학적으로 보다 유리한 치주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증례는 다수의 구치부 치아를 상실한 두 환자를 비교하여 구치부 치아 결손 환자에서 제3대구치의 교정적 활용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Using a AO Hook Plate)

  • 이기원;최영준;안형선;김정환;황재광;한희돈;김재현;주윤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67-172
    • /
    • 2009
  • 목적: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쇄골 관절 완전 탈구의 치료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AO hook 금속판를 이용하여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의 평가는 Constant-Murley score로써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금속판 제거 후 방사선 사진에서 견봉쇄골 관절의 정복 상태 및 오구 쇄골 간격을 측정하였다. 결과: 전예에서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Constant-Murley점수는 평균 90.5(84~95)점이었으며, 3예에서 수술부위에 경미한 통증 및 불편감을 호소하였지만 금속판 제거 후 증상은 해소되었다. 방사선학적으로도 전예에서 쇄골의 수직전위가 정복되었으며 감염, 금속판 파괴, 금속판 제거 후 재탈구 등의 합병증은 관찰 되지 않았다. 결론: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의 초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실태 및 지식도 (The Realities of Smoking among Some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levant Knowledge)

  • 김진;임선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3-29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smoking among some college students, the smoking motivation of smoker students, what made them quit smoking and how they got ready for giving up smoking, as smoking had a huge impact on national health and there was a desperate necessity for preventive antismoking education programs to let students keep away from smoking.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 through November 1, 2006, the responses from 400 students were gathered, and 384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16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By gender, 62.4% of the male students and 28.6% of the female students were smokers, and the state of smo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p<0.05). 2. The largest number of the male students, which accounted 44.1%, started smoking in their high school days, and 39.5% of the females did that in middle school. As for a daily mean amount of smoking, 41.8% of the male students, the greatest percentage, smoked 10 to 19 cigarettes a day, and one to nine cigarettes were most common among the females, which represented 57.9 %. But the gap between the two was insignificant(p>0.05). As many as 83.6% of the males and 86.8% of the females had ever attempted to quit it. 3. Concerning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ies, they felt that a raise in cigarette price would lead to less smoking, and that antismoking advertisement or posters through television or newspaper would deliver the same results as wel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ir awareness(p<0.05). 4. Regarding preparation stage for quitting smoking, 31.3% of the male smokers had no intention to give it up, and 23.2% considered it. 36.7%, the largest percentage, got ready to refrain from it. Among the female smokers, 34.2% had no plans to abstain from smoking, and 36.8% took it into consideration. 23.7% got ready to do that. The females who got ready for that were outnumbered the males who did. 5. As to connections between the state of smoking and relevant knowledge, the students didn't have a good knowledge on that,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smokers and nonsmokers in smoking knowledge. 6. As for knowledge about oral diseases, they were highly cognizant of the relationship of smoking to tooth discoloration, nicotine stomatitis and bad breath, but they didn't know well about its relationship to delayed recovery from dental treatment, implant failure and ozena. Their smoking condition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knowledge(p<0.05). In the future,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termining how much smoking affects health and concerns oral diseases, and antismoking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bolster people's awareness of oral health.

  • PDF

개에서 원형외고정장치를 이용한 관절주위 골절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Short Juxta-articular Fractures Using a Circular External Skeletal Fixator System in Dogs)

  • 정혜련;김주호;차재관;설재원;김민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3-526
    • /
    • 2014
  • 세마리의 개가 골절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증례 1(1.8 kg의 5개월령 암컷 몰티즈)과 증례 2(3.0 kg의 6개월령 암컷 푸들)는 좌측 후지의 체중부중을 하지 않는 파행을, 증례 3(3.3 kg의 나이를 알 수 없는 암컷 잡종견)은 좌측 전지의 체중부중을 하지 않는 파행을 보였다. 정형외과 검사시 손상받은 부위의 통증, 염발음, 촉진상의 불안정성과 광범위한 연부조직 부종을 보였으며 신경학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 검사상 증례 1와 2에서 좌측 근위 경골 골간단과 비골의 골절이, 증례 3에서는 좌측 근위 요골 골간단과 척골의 골절이 관찰되었다. 모든 증례는 골절편이 짧은 관절주위 폐쇄형 골절이었다. 술 중에는 투시장치를 이용해 2개 또는 3개의 원형고정장치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였다. 술 후 방사선 사진에서 골절부위의 적절한 배열과 위치를 확인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5주에서 14주 사이에서 골유합이 확인되었고 임플란트의 고정 실패나 핀 주변 감염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상 결과는 모든 증례에서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형외고정장치는 뼈판이나 외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짧은 골절편을 가진 관절주의의 골절정복에 성공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키아리 1형 기형을 동반한 고도 척추 측만증에서 수술 전 Halo-Pelvic 견인 후 발생한 6번 뇌신경(외전신경) 마비 (Sixth Cranial Nerve (Abducens Nerve) Palsy after Preoperative Halo-Pelvic Traction for Severe Scoliosis with Chiari I Malformation)

  • 황재광;이춘성;최신우;김정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34-539
    • /
    • 2020
  • 고도 척추 측만증의 치료는 척추외과 의사에게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다. 고도 척추 측만증의 수술 시 급격한 교정은 신경학적 손상이나 기구 실패 등의 수술 중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종 수술을 시행하기에 앞서 부분 교정을 얻기 위한 다양한 수술 전 견인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전 연구에 의하면 halo 견인과 관련한 합병증의 하나로 뇌신경 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6번 뇌신경(외전신경)의 마비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견인 무게의 점진적 증량이나 세심한 신경학적 검진이 필요하며 특히 이전에 뇌수술이나 경추부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전에 키아리 1형 기형과 관련하여 감압술을 시행했던 고도 척추 측만증에서 수술 전 halo-pelvic 견인에 의한 6번 뇌신경 마비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