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stimulatory activity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19초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활성에 대한 당쇄의 역할 (Roles of sugar chains in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 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36-342
    • /
    • 2019
  • 참당귀 유래 면역활성 다당의 활성과 구조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조다당 AGE-0로부터 두 차례의 연속적인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행하여 단일 정제 다당 AGE-2c-I을 얻었다. AGE-2c-I은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항보체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일반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분자량 약 140 kDa의 고분자 다당으로 4종의 구성당과 13종의 당쇄 결합양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다당은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의 높은 반응성을 보임으로써 arabino-3,6-galactan의 구조를 가진 rhamnogalacturonan-I 구조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한편, AGE-2c-I의 미세구조의 해명과 항보체 활성에 관여하는 다당 중의 활성부위 검토를 위해 ${\alpha}$-L-arabinofuranosidase와 endo-1,4-${\beta}$-galactanase를 이용한 연속적 가수분해를 행하고 얻은 단편획분들을 이용, 구성당 및 당쇄결합 양식 분석,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의 반응성 검토 및 항보체 활성 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당귀 유래 항보체활성 다당 AGE-2c-I은 rhamnogalacturonan-I과 유사한 구조를 소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AGE-2c-I의 측쇄 구조인 arabino-${\beta}$-3,6-galactan 사슬이 항보체 활성 발현에 주요 역할을 수행하며, 5-linked Araf와 3,5-branched Araf로 구성된 ${\alpha}$-arabinan 측쇄가 활성에 부분적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시판 인스턴트 커피에서 추출한 다당류의 화학적 특성 및 면역활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Commercial Instant Coffee)

  • 곽봉신;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9-295
    • /
    • 2016
  • 국내 시판중인 인스턴트 커피에서 다당류를 추출하여 새로운 면역 활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판중인 인스턴트 커피를 구입하여 냉수추출 후, 에탄올 침전과 투석을 통하여 약 24%의 높은 수율로 다당류(ICP-0)를 얻을 수 있었다. ICP-0은 중성당 89.9%, 산성당 10.1%로 이루어진 다당체로써, 구성 성분으로는 갈락토스 55.5%, 만노스 25.7%와 소량의 아라비노스, 람노스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갈락토만난(galactomannan)이나 팩틴 다당류(pectic polysaccharide)가 혼합된 구조일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인스턴트 커피 유래 ICP-0에 대하여 대식세포 자극에 대한 세포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NC 대비 유의적으로 높은 증식활성을 보였으며, IL-6, IL-12 및 TNF-${\alpha}$의 경우, $10{\mu}g/mL$에서도 NC 대비 우수한 사이토카인 분비 유도능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NO, ROS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NO의 경우 $10{\mu}g/mL$ 이상에서 NC 대비 양호한 활성을 보여 주었다. ICP-0에 대하여 2차 면역기관 중 하나인 비장세포상의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NC 대비 115% 정도 증식하는 것이 확인되어 면역세포를 직접 증진시키는 마이토겐 활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인스턴트 커피 유래 ICP-0가 장관 내 분포되어 있는 Peyer's patch를 경유하여 장관면역에 공헌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NC 대비 유의적으로 골수세포의 증식능을 확인하였으며 GM-CSF와 같은 관련 사이토카인의 분비 유도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시판 인스턴트 커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가 대식세포의 기능과 장관면역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꽃송이버섯(Sparassis latifolia) 추출물 소수성 분획의 항암 활성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hydrophobic fractions of Sparassis latifolia extract using AGS, A529, and HepG2 cell lines)

  • 최문희;한효경;이용조;조한교;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4-310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꽃송이버섯 (Sparassis crispa, formerly S. crispa) 에탄올 추출물의 소수성 분획을 분리하고 각 분획의 DPPH 항산화 활성과 위암 (AGS), 폐암 (A529), 간암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 활성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 하였다. SOCC를 사용하여 총 18개의 fraction으로 분획하였고 TLC와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 활성 확인을 통하여 5개의 fraction으로 압축하였다. 항암활성이 높은 5개의 fraction은 HPLC-MS를 통해 각 분획물을 분석한 결과 항산화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약 181.0의 분자량을 가진 물질이 지표물질로 확인되었으므로 이 물질의 화학식 동정을 위하여 추가실험이 필요하다. 세포주를 이용한 항암실험 결과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위암 (AGS), 폐암 (A529), 간암 (HepG2) 세포주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인 paclitaxel보다 낮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주었으며($IC_{50}$ value), 이것은 추후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포함된 항암 물질 분리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 결과로서 무척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IRF8)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및 발현 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IRF8) in th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 양혜림;권혁재;이성도;;김명진;이제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02-310
    • /
    • 2017
  •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IRF8)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B and T cells, as well as for the activity of dendritic cells and macrophages. We performe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IRF8 from rock fish, Sebastes schlegelii (Ss), and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profile of mRNA expression after challenge with lipopolysaccharide (LPS),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poly I:C), or Streptococcus iniae. The full-length cDNA sequence of SsIRF8 was 1,657 bp, containing an ORF of 1,266 bp. The gene had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47.7 kDa and an isoelectric point of 5.99. The amino acid sequence coded by this gene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identity (90.8%) and similarity (96.2%) with IRF8 from Oplegnathus fasciatus. The SsIRF8 mRNA was expressed ubiquitously, at varying levels, with the highest level of expression observed in the spleen. To confirm the role of SsIRF8 in mediating the immune response, we measured SsIRF8 mRNA expression in the splenic tissue at different time points after injection with LPS, poly I:C, or S. iniae. The qRT-PCR results showed that SsIRF8 mRNA expression in the poly I:C-injected group was highly upregulated 6 hr after exposure (P<0.05). Expression of SsIRF8 mRNA in the S. iniae-injected group peaked at 24 h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sIRF8 might be important in regulating the strength of the rockfish immune response to immunostimulatory agents.

Adjuvant effect of liposome-encapsulated natural phosphodiester CpG-DNA

  • Kim, Dong-Bum;Kwon, Sang-Hoon;Ahn, Chi-Seok;Lee, Young-Hee;Choi, Soo-Young;Park, Jin-Seu;Kwon, Hyeok-Yil;Kwon, Hyung-Joo
    • BMB Reports
    • /
    • 제44권11호
    • /
    • pp.758-763
    • /
    • 2011
  • Immunostimulatory CpG-DNA targeting TLR9 is one of the most extensively evaluated vaccine adjuvants. Previously, we found that a particular form of natural phosphodiester bond CpG-DNA (PO-ODN) encapsulated in a phosphatidyl-${\beta}$-oleoyl-${\gamma}$-palmitoyl ethanolamine (DOPE) : cholesterol hemisuccinate (CHEMS) (1 : 1 ratio) complex (Lipoplex(O)) is a potent adjuvant. Complexes containing peptide and Lipoplex(O) are extremely useful for B cell epitope screening and antibody production without carriers. Here, we showed that IL-12 production was increased in bone marrow derived dendritic cells in a CpG sequence-dependent manner when PO-ODN was encapsulated in Lipoplex(O), DOTAP or lipofectamine. However, the effects of Lipoplex(O) surpassed those of PO-ODN encapsulated in DOTAP or lipofectamine and also other various forms of liposome-encapsulated CpG-DNA in terms of potency for protein antigen-specific IgG production and Th1- associated IgG2a production. Therefore, Lipoplex(O) may have a unique potent immunoadjuvant activity which can be useful for various applications involving protein antigens as well as peptides.

Stimulatory Effects of Extracellular Products of Mycobacterium spp. and Various Adjuvants on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a

  • Choi, Sang-Hoon;Oh, Chan-H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3호
    • /
    • pp.299-304
    • /
    • 2000
  • In the present paper, the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the extracellular products (ECP) from Mycobacterium spp. and various adjuvants on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a, were examined. Nile tilapia were immunized by injecting ECP of Mycobacterium spp. (strain TB40, TB267 or the type strain Mycobacterium marinum) into their swim bladders. A variety of adjuvants like as Freund s complete adjuvant (FCA), Freund's incomplete adjuvant (FIA) and Titremax were similarly injected into additional groups of tilapia. The number of nitroblue tetrazolium (NBT)-positive cells observed in the swim bladder of the immunized fish was signigicantly increased by the fourth day post-immunization. By day 8, the numbers of NBT-positive cells were fewer in fish immunized with ECP from mycobacteria strains TB40 or TB267 than those immunized with ECP from M. marinum or fish injected with FCA or FIA. The level of Iysozyme activity detected in the serum of fish 40 alter immunization with ECP from various Mycobacterium spp.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und in the serum of the control fish. Head kidney macrophages showed enhanced reduction of NBT when cultured in vitro with 1 $\mu$ g/ml of ECP. Concentrations greater than this (10 or 100 $\mu$g/ml) were found to suppress the reduction of NBT by the macrophages. ECP from Mycobacterium spp. and the various adjuvants used in the study all appear to be good activators of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of Nile tilapia.

  • PDF

Cytokine Reporter Mouse System for Screening Novel IL12/23 p40-inducing Compounds

  • Im, Wooseok;Kim, Hyojeong;Yun, Daesun;Seo, Sung-Yum;Park, Se-Ho;Locksley, Richard M.;Hong, Seokman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2호
    • /
    • pp.288-296
    • /
    • 2005
  • Cytokines interleukin (IL) 12 and 23 play critical roles in linking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They are members of heterodimeric cytokines, sharing a subunit p40. Although IL12/23 p40 is mainly induced in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DCs) after stimulation with microbial Toll-like receptor ligands, methods to monitor the cells that produce IL12/23 p40 in vivo are limited. Recently, the mouse model to track p40-expressing cells with fluorescent reporter, yellow fluorescent protein, has been developed. Macrophages and DCs from these mice faithfully reported p40 induction using the fluorescent marker. Here we took advantage of these reporter mice to screen bio-compounds for p40-inducing activity. After screening hundreds of compounds, we found several extracts inducing IL12/23 p40 gene expression. Treatment of DCs with these extracts induced the expression of MHC class II and co-stimulatory molecules, which implies that these might be useful as adjuvants. Next, the in vivo target immune cells of candidate compounds were examined. The reporter system can be useful to identify cells producing IL12 or IL23 in vivo as well as in vitro. Thus, our cytokine reporter system proved to be a valuable reagent for screening for immunostimulatory molecules and identification of target cells in vivo.

인가목(Rosa acicularis Lindl.) 잎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 자가포식 유도활성 (Induction of Autophagy by Rosa acicularis Leaves Extracts in RAW264.7 Cells)

  • 최정원;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7-263
    • /
    • 2023
  • 본 연구에서 인가목 잎 추출물이 RAW264.7 세포에서 면역자 극인자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포식작용의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인가목 잎 추출물은 TLR4 의존적 JNK와 PI3K/AKT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해 자가포식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자가포식은 선천면역반응과 후천면역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전략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인가목 잎 추출물은 인체의 면역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나 보조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작용기전을 구명하기 위해 관련된 단일억제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명확한 작용기전 구명을 위해 다양한 억제제 또는 siRNA를 활용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보리발효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대식세포 활성화 및 신호 전달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fermented barley extract activates macrophages via the MAPK and NF-κB pathways)

  • 김한울;지희숙;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55-563
    • /
    • 2018
  • 보리는 높은 비율로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영양학적으로는 전곡 형태로의 섭취가 추천되고 있지만, 조직감과 소화율을 고려하여 발효물 형태의 소비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효소당화 후, 효모 및 유산균 발효를 거쳐 조제한 보리발효물로부터 조다당 BF-CP를 분리하고, 대식세포에 대한 면역증강 효과 및 세포 내 신호전달을 규명하여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BF-CP 획분의 일반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70.7% 글루코스 11.4% 자일로스 및 9.0% 아라비노스를 포함하여 91.1%의 중성당으로 이루어진 중성다당이었다. BF-CP는 RAW 264.7 대식세포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IL-6, $TNF-{\alpha}$와 같은 사이토카인 및 NO의 생산능을 유도하는 등 높은 대식세포 활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qPCR 분석을 통해, BF-CP 획분을 대식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IL-6, $TNF-{\alpha}$ 및 iNOS의 mRNA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Western blot을 활용한 신호전달 단백질 추적실험에서 BF-CP 획분을 대식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JNK, ERK 및 p38과 같은 MAPK 경로와 $NF-{\kappa}B$ 경로의 관련 단백질을 인산화시킴이 확인되었으며 그 활성은 BF-CP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리발효물 유래 다당 BF-CP는 MAPK와 $NF-{\kappa}B$ 경로를 통해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이를 통하여 NO, IL-6 및 $TNF-{\alpha}$와 같은 면역활성화 관련 물질의 생산을 높은 비율로 유도시킨다는 것을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게르마늄 강화효모의 마우스에서의 암세포 억제 및 대식세포, NK 세포, B 세포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Germanium-Fortified Yeast Activates Macrophage, NK Cells and B Cells and Inhibits Tumor Progression in Mice.)

  • 백대헌;정진욱;손창욱;강종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8-127
    • /
    • 2007
  • 본 연구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유기게르마늄 강화효모 경구투여에 의한 면역조절작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우스를 대상으로 9일간 경구투여한 결과 대조군인 게르마늄 비강화 효모 투여군에 비해 복강대식세포, B세포, NK 세포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 실험결과 대식세포는 게르마늄 강화효모 투여 후 식세포활성, 주화성, 부착성, rosette 형성능 현저히 증가하였다. Superoxide $anion(O_2^-)$ 생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유기게르마늄 강화군 투여군에서 3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NO 생성능과 $TNF-{\alpha}$ 생성능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B-세포 활성화에 의한 cytolytic activity 증가에 의한 PFC형성능도 게르마늄 비강화 효모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상업화 유기게르마늄으로 알려지고 있는 Ge-132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Cytotoxic acivity에 의한 항 종양활성에서는 양성대조군인 Doxorubicin 투여군에서와 유사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고용량 유기게르마늄 효모(2,400 mg/kg) 투여시 60%의 종양활성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게르마늄 강화효모가 실험동물 뿐만 아니라 인체의 유용한 면역조절제로서의 이용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