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sion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초

3D 입체 이미지 스케니메이션 제작 기법 연구 (Research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Image Scanimation)

  • 선심이;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209-215
    • /
    • 2016
  • 스케니메이션의 중요한 요소는 이미지 프레임 수, 틈새의 넓이, 스트라이프 레이어의 넓이이다. 이는 최종적으로 시각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외에 백그라운드 이미지의 사이즈, 스트라이프 레이어와 백그라운드 이미지의 색깔, 명도 등의 요소도 최종적으로 스케니메이션의 시각적인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케니메이션 제작 기법 원리에 근거하여 여러 개의 실험을 하였다. 3D 입체 스케니메이션 제작 기법을 찾고, 이에 대한 문제를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최종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목적은 실험을 통해서 3D 입체 스케니메이션에서 각 요소가 모션 착시 효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증명하고 싶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향후 3D 입체 스케니메이션의 모션 착시 효과에 대한 연구의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향후도 Z축 활용을 극대화한 스케니메이션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창극 <서편제>의 자기반영성 연구 (Study on Self-Reflexivity of Changgeuk Seopyenje)

  • 이진주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333-370
    • /
    • 2016
  • 본 논문은 창극 <서편제>에서 자기반영성을 드러내는 장면들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판소리와 소리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창작 창극임에도 불구하고, 작창 없이 기존 판소리의 눈대목들을 짜깁기한 작품이라는 점이 독특하다. 이러한 특성들은 작품 속에서 다양한 자기반영적 장면들과 관련된다. 판소리에 대한 나르시시즘적 언급은 이 작품이 전통 판소리의 예술성을 계승한 것처럼 보이도록 만들고, 극중극과 역할놀이는 실제극과 실제 등장인물이 더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해준다. 또한 <심청가>의 서사와 음악을 끌어 들여서, 관객 스스로 적극적으로 이 작품과 기존 판소리의 연결고리를 찾도록 한다. 즉 창극 <서편제>의 자기반영성은 환영을 파괴하기보다는, 새로운 환영을 낳기 위해 환영의 속임수 장치의 일부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보수적 자기반영성을 드러낸다.

The Impact of Optical Illusions on the Vestibular System

  • Ozturk, Seyma Tugba;Serbetcioglu, Mustafa Bulent;Ersin, Kerem;Yilmaz, Oguz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3호
    • /
    • pp.152-15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Balance control is maintained in stationary and dynamic conditions, with coordinated muscle responses generated by somatosensory, vestibular, and visual inpu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vestibular system is affected in the presence of an optical illusion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connected pathways of the visual and vestibular systems. Subjects and Methods: The study involved 54 young adults (27 males and 27 females) aged 18-25 years. Th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the cervical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cVEMP) test and video head impulse test (vHIT). The cVEMP and vHIT tests were performed once each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an optical illusion. In addition, after each test, whether the individuals felt balanced was determin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cVEMP results in the presence of the optical illusion showed shortened latencies and increased amplitudes for the left side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in the absence of the optical illusion (p≤0.05). When vHIT results were compared, it was seen that the right lateral and bilateral anterior canal gains were increased, almost to 1.0 (p<0.05).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when the visual-vestibular inputs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sensory reweighting mechanism is activated, and this mechanism strengthens the more reliable (vestibular) inputs, while suppressing the less reliable (visual) inputs. As long as the incompatible condition persists, the sensory reweighting mechanism will continue to operate, thanks to the feedback loop from the efferent vestibular system.

The Impact of Optical Illusions on the Vestibular System

  • Ozturk, Seyma Tugba;Serbetcioglu, Mustafa Bulent;Ersin, Kerem;Yilmaz, Oguz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2-15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Balance control is maintained in stationary and dynamic conditions, with coordinated muscle responses generated by somatosensory, vestibular, and visual inpu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vestibular system is affected in the presence of an optical illusion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connected pathways of the visual and vestibular systems. Subjects and Methods: The study involved 54 young adults (27 males and 27 females) aged 18-25 years. Th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the cervical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cVEMP) test and video head impulse test (vHIT). The cVEMP and vHIT tests were performed once each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an optical illusion. In addition, after each test, whether the individuals felt balanced was determin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cVEMP results in the presence of the optical illusion showed shortened latencies and increased amplitudes for the left side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in the absence of the optical illusion (p≤0.05). When vHIT results were compared, it was seen that the right lateral and bilateral anterior canal gains were increased, almost to 1.0 (p<0.05).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when the visual-vestibular inputs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sensory reweighting mechanism is activated, and this mechanism strengthens the more reliable (vestibular) inputs, while suppressing the less reliable (visual) inputs. As long as the incompatible condition persists, the sensory reweighting mechanism will continue to operate, thanks to the feedback loop from the efferent vestibular system.

색상차이에 따른 FRC-포스트와 코어 사이의 구별 (Discrimination between FRC-post and core according to the color difference)

  • 김주회;김진우;조경모;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2호
    • /
    • pp.75-85
    • /
    • 2015
  •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FRC-포스트와 코어가 색상차이에 따라 구별되는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을 위해 유사한 크기(${\pm}0.5 mm$)와 길이(${\pm}0.5 mm$)의 발치 한 하악 소구치 9개를 근관 형성하고 충전하였다. 3개의 치근을 체온을 재현하기 위해 $37^{\circ}C$ 물이 흐르는 가는 실리콘 튜브로 감은 후 cold mounting resin에 매몰하여 각 3개의 치근이 매몰된 총 3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개개의 시편 치근에는 3종류의 $Snowpost^{(R)}$, MACRO-$LOCK^{TM}$ POST $ILLUSION^{TM}$ $XRO^{(R)}$, FRC $Postec^{(R)}$ Plus post를 이용하여 각각의 포스트에 맞게 공간을 형성하고 포스트를 접착하였다. 3개의 시편 별로 $Luxacore^{(R)}$ Dual Blue, $Luxacore^{(R)}$ Dual A3 및 $Filtek^{TM}$ Z350 XT A1E로 코어를 축조, 시편 별로 다른 코어를 사용하였다. 각 시편에 대해 온도를 낮추기 위한 압축공기를 불 때와 안 불 때로 나누어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치과의사 50명과 치과대학 대학생 50명 총 100명에게 어떤 포스트가 코어와 가장 구별이 잘되는 지를 설문조사 하였다. 결과: $Luxacore^{(R)}$ Dual Blue에서는 $Snowpost^{(R)}$가, $Luxacore^{(R)}$ Dual A3에서는 $Snowpost^{(R)}$가, $Filtek^{TM}$ Z350 A1E에서는 MACRO-$LOCK^{TM}$ POST $ILLUSION^{TM}$ $XRO^{(R)}$가 구별이 가장 잘되었다. 압축공기를 불어 온도를 내리면 나타나는 MACRO-$LOCK^{TM}$ $ILLUSION^{TM}$ $XRO^{(R)}$의 색은 포스트와 코어의 구별을 더 용이하게 하였다. 결론: FRC-포스트와 복합레진 코어가 구별되는 정도는 색상차이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Trompe l'oeil 표현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rompe l'oeil Expressions in Modern Fashion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ose Since 2000 -)

  • 김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97-605
    • /
    • 2010
  • This study is about the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ompe l'oeil in modern fashion. The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Trompe l'oeil, examines the Trompe l'oeil in the surrealist works from which the Trompe l'oeil derives from, and analyzes the works that have emerged since 2000. The study used a collection of magazines such as Vogue, Gap, Fashion News, and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expression types of Trompe l'oeil in modern fashion were seen in the human body, the wearing style, the details, and accessory effects of clothes. The modern fashion design using the Trompe l'oeil based on such external expressions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irst, the fashion design destroyed the concept of common sense and expressed the purity of the human spirit by revealing the human body hidden in clothes from the combination of clothes and the human body with surrealism. Second, the details or accessories of clothes were printed or painted as if they existed. Pleasure was expressed by applying Trompe l'oeil to the wearing methods and forms of clothes through the optical illusion of materials or colors. Third, the effects of an optical illusion were displayed by transforming and distorting the wearing style and reversing the front, back, exterior and interior of clothes; this optical illusion characterized the deconstruction express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ideas.

중년비만 여성용 재킷패턴의 여유량 분포에 따른 착시효과 (The Visual Illusion Using the Adequate Ease Distribution of Jacket Pattern for the Middle Aged Women of Obese Figure)

  • 손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9-483
    • /
    • 2008
  • Body image is important as it is related to self-esteem and can be enhanced by clothing and the degree of enhancement is related to clothing fi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find the adequate ease distribution of jacket pattern for the obese women who want to slenderize their shape by optical illusion.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visual appearance we collected and, at the same time, 3D clothing air volume was observed for the nine types of experimental jackets with different ease distribution.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jacket pattern for the obese women is that the front width of pattern is wider than what of back width in waist and abdomen. It was also noted that there was distance between clothing and skin in the girth around hip of jacket. 3D scanner clearly demonstrated the distribution of ease is useful to find the pattern variables responsible for the slender appearance of the obese women. The ready-to-made clothes for the obese women's clothing should be manufactured systematically in due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and scarcity of the obese women's body shape.

의식, 상상가능성, 좀비 (Consciousness, Conceivability and Zombie)

  • 최훈
    • 인지과학
    • /
    • 제16권4호
    • /
    • pp.225-242
    • /
    • 2005
  • 의식 이원론자들은 의식이 전혀 없는 좀비가 상상가능하다는 것을 근거로 유물론이 거짓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의 의식에 대한 상상가능성 논증은 그 동일성이 이미 확립된 물=$H_2O$의 경우와 비대칭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나는 두 경우에 다르게 적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상상가능성 논증은 그럴듯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첫째, 물과 $H_2O$ 사이의 형이상학적 간극은 개념적 분석에 의해서가 아니라 경험적 방법에 의해서 매워진다. 그러면 신경과학의 발달은 통증을 비롯한 의식의 형이상학적 간극을 메울 것이다. 둘째, 의식 이원론자들은 물이 아닌 $H_2O$를 상상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은 착각이고, 의식이 없는 좀비를 상상할 수 있는 것은 착각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도 착각이 가능하므로 두 경우가 다르게 취급되면 안 된다.

  • PDF

Dart Manipulation을 활용한 재킷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Tailored Jacket Design adapting Dart Manipulation)

  • 이진윤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2호
    • /
    • pp.182-199
    • /
    • 2015
  • This research aims to design a new style jacket by developing patterns with dart manipulation, to achieve a tailored jacket which has been familiar to us, but with a more creative design. Tailored jackets has been widely worn both by women and men, and used to create various fashion styles. Generally the classic design with a basic lapel and collar is worn the most, and this shows demonstrates an importance of its design. Giacomo Manzu's work of relief art inspired for a creative design of tailored jacke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visual properties of the relief sculptures, it was found that an omissions of line for cubic effect and dramatized expression give an illusion effect. Based on the illusion effect shown in the case of a relief design, it was patterned and designed with dart manipulation. Through dart manipulation, the shape of a lapel was designed to meet the rear collar, which corresponds to a background plane, by making it like a sculpture at the front background pattern. Then it was found through dart manipulation could be extensively applied for various designs, as well as used to generate massing. Hopefully this creative pattern and design development would be helpful not only in diversification of consumer's needs, but also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pattern and development of the fashion design industry.

동영상의 원리와 19세기 시각기구의 발전과정 - 잔상이론과 동영상의 과학적 발전에 대해 - (The Principle of Moving Im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Optical Instruments in the 19th Century - On the Theory of Afterimage Effect and the Scientific Development of Moving Image -)

  • 이상면
    • 영상문화
    • /
    • 제19권
    • /
    • pp.189-221
    • /
    • 2012
  • 본 논문은 영화의 출현 이전 19세기 시각기구들의 발전과정에 주목하여 동영상의 원리와 동영매체가 발전된 과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잔상 이론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1820년대부터 1895년 영화의 발명에 이르기까지 시각 및 동영상기구들의 발전단계를 살펴보고, 동영상의 인지 원리로 알려진 '잔상효과(殘像效果)'(afterimage effect) 이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19세기 시각기구들은 소마트로프(Thaumatrope)-페나키스티스코프(Phenakistiscope) /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조이트로프(Zoetrope) -프락시노스코프(Praxinoscope)로 발전되었고, 1892년 투영식 프락시노스코프가 처음으로 동화(動畫)(moving pictures)를 스크린 위에 '움직임의 환상'(illusion of motion)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시각기구들은 '잔상의 지속' 내지 '잔상효과'라고 알려진 이론을 근거로 발달되었지만, 20세기 초반 연구에 의하면, 동영상의 인지는 기존의 잔상 이론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동영상의 인지에 관해 가장 유력한 설명 모델로서 인정받는 것은 인지심리학자 막스 베르트하이머(Max Wertheimer 1880-1943)의 1912년 실험·연구에 근거하는 '파이 현상'(Phi-phenomenon)이다. 또한, 동영상의 인지에서는 인간 눈의 특수한 시각적 인지체계가 작용하고 있으므로, 동영상의 인지 원리는 과학 지식과 더불어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