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a sketch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Unveiling the Unconscious Mindset about the Ideal Body -Suggestions for Fashion Education

  • Jung Soo L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09-42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reveal prospective fashion designers' predominant perceptions regarding the ideal body size and shape and to suggest an educational guideline for the design process. Sketch tasks and surveys involving the college students in a fashion design department were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a year. A total of 113 participants designed a white cotton shirt for women in their 30s and 40s. Immediately after the sketching task, the participants answered survey questions on the specific body sizes and shapes they had been picturing.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articipants designed shirts for a medium-sized, hourglass body shape. As the percentage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with an hourglass shape is low, a discrepancy exists between the ideal design and the body of the actual consumer. Furthermore, 55% of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would change the design for a woman with a different body shape.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agreed that understanding the body shape and size is important when initiating ideas. These findings can help educator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designers' awareness of various body sizes and shapes; they also suggest new directions for fashion design education.

기억에 기반한 조경설계의 개념 형상화 유형 (Types of Concept Figuration in Landscape Design based on Memory)

  • 안승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71-184
    • /
    • 2017
  • 설계가는 차원 높은 설계철학과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 지식 축척과 통찰력 배양을 통해 사고의 폭과 깊이를 추구한다. 본 연구는 조경설계에서 설계가의 '기억'을 기반으로 한 개념 형상화 유형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아이디어는 설계가의 언어와 이미지 기억을 바탕으로 발상을 시작하여 대표적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적 관점과 시각적 관점으로 형상 유형이 구성된다. 둘째, 조경설계의 언어적 개념 형상화는 2가지로 구성된다. '설계주제로서 제목의 상징적 언어'는 하나의 '구(句)'일 수 있으며, 위계를 두어 주(主)와 부(副)의 균형을 갖추어야 한다. '개념적 시나리오의 서술적 형상'은 서술적으로 개념을 표현하여 독자가 설계된 경관을 가상으로 경험하는 글이다. 셋째, 조경설계의 시각적 개념 형상화는 3가지로 구성된다. '다이어그램의 시각적 단순 형상'은 단순한 그래픽으로 상징물, 주석과 이미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쉽게 형상화된다. '개념스케치와 핵심 아이디어의 형상'은 초기 개념단계에서 물리적 요소와 공간에 대한 형태 속성 및 공간관계와 같은 아이디어의 핵심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이미지 조합으로 새로운 형상을 창조하는 콜라주와 몽타주'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재료와 이미지의 모음으로 경관 현상을 기록하여 아이디어를 압축적으로 묘사하는 도구이다.

패션디자인 교육의 아이패드 어플케이션 활용 사례 (A Case Study of the Use of iPad Application in Fashion Design Education)

  • 박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77-383
    • /
    • 2022
  • 오늘날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일상생활에서부터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육 분야는 디지털 교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디지털 기기의 보급 등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들 개개인의 차원에서도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대학의 패션디자인교육현장에서는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PC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학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도식화와 포트폴리오 작업뿐만 아니라 디자인 콘셉트 설정과 아이디어 발상이 시작되는 초기의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스케치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패션디자인 스케치를 위하여 학생들은 아이패드와 함께 프로크리에이트 또는 클립스튜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크리에이트와 클립스튜디오의 차별화된 기능과 특징을 파악하고, 이것을 사용한 디자인스케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문제점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패션디자인 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패션디자인 능력 육성을 위한 창의성 개발 교육법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Promoting Fashion Design Ability)

  • 이은령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6-16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uitable material that can be a real help to make the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creative inspirations of fashion design. To achieve these goals,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reativity studies in the fields of psychology, education, and design (visual design, product design, fashion design, etc.) published in the national journal. Through this analysis, were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teaching methods for creativity learning, and expression methods. Based on this, intend to provide the creativity characteristic, the expression method, and the problem solving process in teaching methods for promoting fashion design ability. Afte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ical 4P (Place, Person, Process, Product) is important to a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fashion design. The elements of creativity of a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fashion design are 5elements; curiosity, openness, originality, patience, and synthetic ability. Second, the typical method is a drawing (such as a sketch) when visually express and embody ideas in fashion design. Drawing is an important activity that is working with the right brain and the left brain. Drawing exercises will reduce the burden of expressing ideas, providing pleasure and fulfillment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deas. Third, offered 5stages to solve problems of a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fashion design; understanding stage, idea stage, visualization stage, evaluation stage, and verification stage. Abstract intangible ideas are concreted and elaborated through stages of visual manifestation such as language, symbol, and drawing.

가정용 초음파 가습기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 국내가전 3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A DESIGN OF SUPERSONIC HUMIDIFIER FOR HOME USE. - With a focus on 3 domestic companys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

  • 오성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23-46
    • /
    • 1993
  •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modern industrial world which grows and changes every day is shortening the cycle of life span of products, so there is a flood of products around us. It is enough to say that this phenomenon leads to further emphasis on the aspect of design for human being. It is not a new fact that to design for the rational function and the modeling from to make a combination and to satisfy consumers' desire is a short cut to gain competitive superiority in developing new products for MIS security. Therefore the design which plays a leading role in the activity of creating more convenient, more aesthetic, and more econemical products is called 'NEW CORPORATE WEAPON'. The amount of effort made for developing products is different in each company, but recently the plan to develope new products and its process arouse more interest. This thesis purports to improve objective understanding about the development of design by investigating products development research and the process of analysis and designing as a case study on developing a domestic supersonic humidifier.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all. In chapter one as a preface, the purpose the method and the scope of the study is described. Chapter two contains my effort to grasp the background of study on the design and the basic structure of supersonic humidifier. Chapter three is an examination into the present conditions of supersonic humidifier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area, and the shape of design. In chapter four, a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is established. The idea sketch based on a fundamental shape and the drawing are added to this. In chapter f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analysis in the preceding research I describe the development of design of products on the premise that marketing gives proof for them but the products oriented by manufacturer are not included in this case. In this thesis, I try to recognize the process of the develpment of design and the importance of the plan for design in developing products by examining an investigative and analytic study on the design of products.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Bench Design for Campus

  • Lee, Young-Choo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66-574
    • /
    • 2009
  • Recent tendency in modern society for urban design and public space forming it recommended diversity of studies and design development, for the interest in urban design is increasing. In particular, street furniture being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to construct public space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aspects of formative and emotional style, broken from the old way of the function-oriented purpose. It could be said that this results from the desire of human pursuing a well-off life, the new value standard regarding design and the life styles in mode. The new development of street furniture could be a creating the value-added source potentially being able to raise community, identity of nation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eyond the primary purpose, namely the improvement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refore the most of countries in the world are concentrating their life and death on development of design in reality. For this investigation the concept of city design, the basic content analysis of the street furniture and also the contents in the related sectors were reported. In order to develop the bench design, one of the representative items of the street furniture furthermore it was proceeded that basic process for the design like data searching for the object place and the existing case studies. On the basis of this the series of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es such as idea sketch, computer rendering and drawing work were described step by step. The aim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contribute in compiling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bench design as a new shape into a data and in utilizing it as a design case study and research material in the related sectors.

  • PDF

RCR Arquitectes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역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CR Arquitectes - Focu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 한수민;임영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7호
    • /
    • pp.15-2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ionality of RCR Arquitectes'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o figure out how these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each project. The reason why they become world-class architects, who recently awarded Pritzker Architecture Prize, is because they deal with universality as their most previous inspiration which is harmonized with their own experience of hometown, Olot. They pursue "Equilibrium" is their fundamental aspect which is inspired by their experiences in Olot. The concept "Equilibrium" is classified into three main points. Firs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and architecture is priority in this concept, which is the potential of the place through architecture to form a new landscape and to pursue a balance with nature. In order to keep the relationship closer, they captured the intuitive idea through the watercolor sketch in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nd they also promoted the involvement of surrounding nature through horizontality, frame and void, etc. Secondly, they used cor-ten steel as the main material for most projects, and the symbiotic relationship with nature that allow people to have a different sensory experience. And the last feature is that their buildings are easily applied to different usage through users intend and behave so their buildings have transformed with various values. It is because they design buildings with strategy to harmonize between landscape and environment so they have various expansion as buildings or objects. The present era of globalization, architecture with regional ident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veying the values of each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RCR Arquitectes, who informed about the Olot and Spain's regionality, an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e that implies our country's identity.

히르시펠트(C.C.L.Hirschfeld) 정원예술론의 의미와 가치의 현대적 해석 (Interpretation of C.C.L.Hirschfeld's Theory of Garden Art in Contemporary Meaning and Its Significance)

  • 조경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8-68
    • /
    • 2014
  • 크리스티안 케이 로렌츠 히르시펠트(Christian Cay Lorenz Hirschfeld)(1742-1792)는 18세기 독일의 미학자이자 정원이론가로 당대에 '풍경식 정원예술의 아버지'라고 불리었다. 그는 '정원예술론'이란 5권의 저작에서 정원이론을 집대성하였고 이는 현재까지도 가장 포괄적인 정원이론서로 여겨진다. 정원역사에서 식물소재, 공간구성요소와 정원유형 등을 다루고 있는 이 이론서는 당대에 유럽에 널리 알려졌고, 이로 인해 영국 풍경식정원을 널리 보급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하게 된다. 그러나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히르시펠트 정원론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현대적 관점에서의 주요 쟁점을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히르시펠트 정원이론은 18세기 독일 계몽주의와 낭만주의가 교차하는 지점에 태동되었고, 자연이 지닌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독일문화의 산물이기도 했다. 당대 독서문화가 활성화되고 기행문학이 유행하게 된 사회 현상이 정원이론서가 소비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오늘날 관점에서 히르시펠트 정원론이 기여한 바와 이를 재해석할 수 있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원예술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이다. 둘째, 히르시펠트는 정원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라는 전제 아래 자연의 원형 경관과 고안된 정원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정원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표현하고 끌어낼 때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주창하였다. 셋째, 히르시펠트는 특정 정원의 인상과 관념이 연합하여 화학적 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정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그는 유쾌하고 쾌활한 축제와 같은 정원, 온화하고 멜랑코리한 정원, 낭만적인 정원, 장엄한 정원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그는 정원에서의 움직임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국면임을 강조하였다. 움직임이 중시되는 풍경식정원에서 풍경화식 재현방식이 적절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다섯째로는 정원은 단지 물리적 공간이 아닌 정신이 구현된 장소임을 환기시켰고, 나아가 삶의 은유로서 윤리적 정원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창하였다.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은 18세기에 저술된 이론적 저작으로 현재적 시점에서의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가 부족하다는 비판적 시각이 있다. 하지만 그는 공공 정원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19세기 도시공원운동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정원예술의 위상제고, 지역성의 강조, 실천이념으로 중재 개념이 그의 이론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무엇보다도 정원문화가 새롭게 부각되는 오늘날 인문학적 조경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증강가소성: 물리적 오브젝트에 형태적 편집가능성 부여하기 (Augmented Plasticity: Giving Morphological Editability to Physical Objects)

  • 이우훈;강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25-234
    • /
    • 2006
  • 디자인과정 후반에서 제품 디자이너는 전경 형태(디테일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스케치하고 배경형태(기본 조형)와의 수많은 조합을 테스트하게 된다. 이 때 디자이너들은 실제 제품과 거의 동일한 하이피델리티(high fidelity)의 디자인 모형을 제작해 세밀한 부분까지 점검하게 된다. 하지만 디자인 모형 제작에는 적지 않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배경형태와 전경 형태에 대한 다양한 조합을 모두 평가해 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구현된 아이디어는 화면 속의 디지털 모형과는 달리 편집가능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디자인과 평가'라는 순환적 작업과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증강현실기술을 응용하여 물리적 오브젝트에 디지털적으로 조형적 편집가능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증가가소성의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디지털스킨으로 구체화하였다. 디지털스킨은 ARToolKit의 비주얼 마커를 이용해 오브젝트 표면의 위치와 방향을 트래 킹하고 차분렌더링기법을 활용하여 변형된 표면을 이음매 없이 덧붙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구현된 디지털스킨을 제품 디테일과 부분수정 디자인 그리고 디자인 소재탐색 작업에 대한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디자인과정 후반에서 효과적으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테스트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기계공학과에서 제시하는 Hands-on Experience 중심의 "엔지니어링 디자인" 교과목의 강의사례 (A Case Study of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with Emphasize on Hands-on Experience)

  • 김홍찬;김지훈;김관주;김정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44-61
    • /
    • 2007
  • 본 논문은 공학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력, 협업 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을 주 목적으로 홍익대학교 기계 시스템디자인공학과에서 새로이 개발한 교과목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기계 시스템 디자인공학과'는 엔지니어링 디자인을 강조하는 새로운 교과목을 갖춘, 기존 홍익대학교 기계공학과의 새로운 이름이다. 급변하는 교육환경과 산업계의 요구에 부응하기위해서 기계공학과는 아날로그 기반, 산업중심의 하드한 관점에서 디지털 기반, 인간 중심의 소프트한 가치 중심으로 그 교육 접근방식을 전환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새로이 개설된 세 가지 학과목인 기계 시스템디자인 개론, 창의적 공학 설계, 제품디자인은 공통적으로 팀 프로젝트를 통해서 손으로 직접 만들고 대화하고 표현하는(이하 Hands-on experience)경험을 중요시 하고 있다. 또한 이들 과정에서는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과 스케치를 통한 시제작(Prototyping) 과정을 강조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다루기 힘들고 무거운 금속 소재 대신에 폴리스티렌 블록이나 카드보드와 같은 가볍고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가능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원형(Prototype)을 만들고, 팀원들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을 체험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Hands-on experience 중심 프로그램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협업능력을 강조한 학과목들을 통해 시각적이며 구체적인 체험을 하게 하여 전통적으로 분석적이고 수학적이며 추상적인 사고에 초점을 맞춘 공학과목들을 균형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졸업 후 그들이 산업현장에서 접하게 될 복잡하고 구체적인 엔지니어링 과제들을 해결하는 엔지니어링 감각과 창의력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