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chool curriculum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7초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화학 수업의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Design Thinking in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 양희선;김미영;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159-1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 융합형 인재의 핵심역량을 위한 교육 전략으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화학 수업 프로그램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에서의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가 화학 교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지식 이해', '공감', '관점 공유', '아이디어 생성', '1차 프로토타입', '1차 검증', '2차 프로토타입', '2차 검증'의 총 8단계로 수정·보완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성취기준을 선정하고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주제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4가지 주제가 개발되어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3월에서 8월까지 화학I시간에 적용하고, '공감', 'STEAM교육역량', '문제 해결 과정' 검사를 토대로 수업 장면에 대한 질적 데이터 분석과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학수업에서의 '공감'요소는 타인과의 공감과 문제 상황과의 공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STEAM교육역량'에서는 과학, 디자인 역량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문제 발견, 문제 정의, 문제 해결책 고안, 문제 해결 검토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자인씽킹 기반 화학 수업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그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데이터 마이닝 기반 대학입시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 (Analysis System of School Life Records Based on Data Mining for College Entrance)

  • 양진우;김동현;임종태;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21
  • 대한민국 교육과정과 입시제도는 수많은 변화들을 통해 진화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진학률이 약 70%에 육박하고 있고,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이러한 환경 속에 대학진학에 관심이 높고 또한 우리나라 교육제도에서 가장 비율이 높은 수시전형 중 학생부종합전형에 필요한 학교생활기록부의 중요성을 높아져가고 있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지만 적극적인 학교생활을 통해 나의 미래와 행복을 동시에 찾을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흥미와 진로를 찾을 수 있고, 가고자하는 대학, 학과에 맞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성공적인 진학에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각 항목을 3가지로 분리시켜 필요 단어와 불필요한 단어들을 구분해 분석한다. 분석한 데이터를 시각화&수치화 하여 학교생활에서 보완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존 선행연구로 단어빈도와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다중주제 회의록 요약시스템을 응용하여 다른 요소의 문장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분석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남(男)·여(女) 고등학생(高等學生)들의 건강(健康)에 관(關)한 연구 - 일부 청소년들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 김학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9-100
    • /
    • 1993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closely the reasons which influence the health status and to health behavior of teenagers and pla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health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boys, and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Chonguy city. The number of them was totally 632 and the period was from July 9 to 14, 1990. 1. The Health Status of Teenagers. I have examined closely the health status of teenagers. They answered they continued to go to school. ever though the majority of teenagers had troubles in their sleeping and felt sick As for one's health, most of teenagers were in a good condition and were sometimes worrying about their health condition. 2. The Degree of Interest and Responsibilities of Teenagers for Their Own Health. In the responsibility of teenagers for their own health the answer, 'my health depends on my taking care of it', had the highest grade, 4.67. And the answer, 'I am in a good health condition because I have taken of my health very well', had the lowest average, 4.1. In the degree of interest of teenagers for their own health, the problem of studying had the highest degree, 4.48 and the use of drugs, the smoking behavior, masturbation, the drinking behavior and the birth control were the lowest degree. 3. The Health Behavior of Teenagers. In this part, teenagers performed about 64 percent's health behavior on the point of 3.37. 4. The Comparison of the Health Behavior, the Health Responsibility and the Health Interes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sex (t=6.23, p<.001), smoking experience (t=5.33, p<.001), living place (t=5.09, p<.001), ranking of brothers (F=4.19, p<.01), economic situation(F=6.57, p<.001). 2)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health responsibility according to sex(t=2.31, p<.05), experiencd by disease(t= 1.92, p<.05). 3)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health interest according to the chronic disease experience of family (t=3.29, p<.001), smoking experience(t=2.71, p<.01). 5. The Correlation of the Health Behavior, the Health Responsibility, the Health Interest and the Health Locus of Control of the Subject. The health behavior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ealth responsibility (r=.2906, p<.001), and the health responsibility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ealth interest (r=.0938, p<.01). Also the health behavior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r=.2606, p<.001),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r=.2023, p<.001), the health responsibility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r=.4541, p<.001),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r=.1352, p<.001), and the health interes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health locus of ccntrol (r=.0920, p<.001), powerful others health iocus of control (r=.1907, p<.001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r=.1191, p<.01).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 we can find the fact that the interest of teenagers for their own health is increasing. And so, it is necessary for the school health management to establish the new curriculum which strengthens the health education for the planning of one's desirable health management. Besides we need efforts to develop the standard scale through the analysis of all reasons which influences the tenager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 PDF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 개발 (Development of the Brain Compatibility Index Equation for Brain-based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in Science)

  • 이일선;이준기;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31-104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의 두뇌 기반 분석을 위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 번째로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의 고안에는 중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한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방법의 유용성 검증에는 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네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CORE Brain Map을 통해 정성적으로 컨설팅 할 수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이론으로부터 정량적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BCI=$\frac{L_o}{11(N_o-1)}{\cdot}{\sum}\limits_{i=1}^4l_iw_i$)을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단원 및 교육과정에 따른 연구대상 교수-학습프로그램들 간의 정량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두뇌기반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은 두뇌기반 다양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분석 및 진단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뇌성마비 취학아동 어머니의 양육체험 (The Lived Experience of Mothers about Rearing of 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백경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434-450
    • /
    • 2001
  • This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rais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t researches the experience of mothers of school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y the research method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 1999 to December 20, 2000. Wh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ually show symptoms in the early stage of cerebral palsy, mothers do not take children to a doctor for diagnosis. And, most of mothers have a difficult time to accept the reality; they usually respond to the initial diagnosis with shock, reproach, and deny. When mothers start recognizing the reality, they consider that their children have cerebral palsy due to the their mismanagement during pregnancy, delivery, nursing, and initial treatment. They shelter their children from view and feel guilty that they cannot afford to try folk remedies for their children. As time passes, mothers face conflicts between families in diverse ways. Families put the blame on genetic effects. Mothers-in-law give their daughters-in-law a hard time, husbands shift the responsibility of raising children onto their wives, and trouble arises between families-in-law and mothers native families. When children grow up, it is physically difficult for mothers to take care their children. In addition, they suffer from all the troubles in family due to childrens handicap. Mothers try the diverse methods of bringing up children. However, they start getting tired of raising children as they experience failures and financial difficulties. Mothers feel collapsed recalling the ways of raising children. They feel anxiety, miserable, lonely, and worrying when they think how children would attend school, make friends, and live in the future. In this stage, mothers do their best to raise their children with hope. They tend to compare their children with others without handicap and spend money and time in attempting all the treatments. When mothers and children join the society at school, they find that the society does not understand disabled people, teachers show inconsiderate attitude, friends avoid them, and children hardly follow classes. Such experiences make mothers feel angry and frustrated. However, when children adapt to school, mothers see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 could accomplish schoolwork. They appreciate teachers help and others consideration. Mothers place appropriate expectations on their children and help them to prepare for the future. I would make following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1. As a primary basic course of rehabilitation nursing intervention, solution-centered nursing interven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The intervention needs to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others, who rais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in-depth interview. 2. Advanc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conducted.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 needs to prevent and release actual pain focusing on mothers rais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 Integrated curriculum that help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lead a normal school life with ordinary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4. Basic research on using of facilities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service volunteer to help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school needs to be conducted.

  • PDF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과 진단평가 및 보정학습 자료 개발 연구 - '변화와 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remedial learning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area of change and relation)

  • 최승현;황혜정;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09-434
    • /
    • 2013
  • 수리능력은 전문 역량 학습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직업 세계에의 적응과 경력 개발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역량이다. 따라서 특성화 고둥학교 학생들의 기초 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 지원 체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취지하에,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개인별 수준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수리능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 보정학습 체제를 구안하고자 하였다. 둘째, 보정학습 대상자 선정, 보정 대상 단계 및 수준 확정, 단계 인증을 위한 진단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학습자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보정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직업 세계에서 수리능력의 효과적 활용을 도모하는 실제 중심의 보정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자료 개발의 예로 모든 영역의 내용을 제시하기에는 방대하므로 함수에 해당하는 '변화와 관계' 영역에 중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

기술.가정 교과의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의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검증: 중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Based Teaching-Learning Plan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fficacy,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Focused on the Unit 'Youth's self Managemen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유지혜;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9-98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상의 중학교 1학년 12종 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과,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중학교 1학년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자신을 통제하고 정신적으로 건강하며 자율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청소년이 되기 위한 자기관리를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총 7차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에 관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K중학교 1학년 7개 학급을 대상으로, 통제반 3학급은 설명식 강의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실험반 4학급은 개발된 실천적 문제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진행한 후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향상정도를 공변량 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 PDF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설계 (Design of Embodiment-based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rduino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엄현영;이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71-476
    • /
    • 2020
  • 본 논문은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아두이노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실습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교육과정 진행 전과 후의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아두이노는 프로세싱 언어에서 사용하는 IDE를 통합한 오픈소스 피지컬 컴퓨팅 플랫폼으로서 다른 플랫폼에 비해 저비용(low-cost)이며 비교적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실제적 체현성 때문에,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하기에 적합한 교육 자료이다. 이후 설문 조사를 통해 중학생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필요성 인지 변화 및 사고능력 증진에 관한 피드백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1차수 당 8주 씩 진행하여, '16년부터 '17년까지 2년간 112명의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결과이다.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이론 교육 및 체현 기반 실습 교육으로 진행하였으며, 체현기반 실습 교육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RC카 만들기, 아두이노 쿼드로터 드론 만들기를 진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두이노를 활용한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인지, 필요성 및 프로그래밍 교육이 사고력 증진에 유효한가를 학생들 주관적인 지표로서 유효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특성화고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의 DACUM 직무분석 (DACUM Job Analysis of Die and mold makers for Apprenticeship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 김종욱;김지원;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산학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금형제작원의 직무를 구성하는 임무와 수행 작업을 도출하여 순서를 매기기한 후, 수행 작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를 정하고 산업체에 취업할 당시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작업을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금형제작원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직무 분석을 위한 DACUM 위원회는 Level-I 라이센스를 취득한 DACUM 분석가 1명,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데이컴 위원 9명, 서기 1명, 실무자 1명으로 구성하여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금형제작원이란 설계된 도면에 따라 원자재와 부자재를 사용하여 가공기계와 공구로써 금형을 사상, 가공, 조립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둘째, 금형제작원의 직무 영역은 12개의 임무(duties)와 86개의 수행 작업(tasks)이 도출되었다. 12개 임무(금형 설계 검토, 원자 부자재 입고 확인, 사출 금형 가공, 가공품 완성 여부 확인, 사출 금형 래핑 습합, 조립 시 사출, 프레스 금형 가공, 프레스 금형 사상 조립, 다이 스포팅, 금형 트라이 아웃, 품질 육성, 금형 출하) 중에서 가장 많은 수행 작업을 도출한 임무는 '프레스 금형 사상 조립'으로 9개의 수행 작업이 확인되었다. 셋째, 각 작업마다 중요도, 난이도 및 빈도를 정도에 따라 각각 높음(A), 보통(B), 낮음(C)으로 구분하고,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인지의 여부를 구분하였다. 넷째,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금형제작원 DACUM 직무분석 차트를 개발하였다. 또한 금형제작원 직무에 종사하면서 필요한 일반 지식과 능력, 사용되는 공구, 기계, 자재 및 소모품의 목록을 끌어내고, 금형제작원의 장래 직업의 전망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The Validation of the Systems Thinking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the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of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 Hyonyong Lee;Nguyen Thi Thuy;Hyundong Lee;Jaedon Jeon;Byung-Yeol Par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8-330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a measurement tool for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abilities. Two quantitative assessment tools, the Systems Thinking Measuring Instrument (Lee et al., 2013) and the Systems Thinking Scale (Dolansky et al., 2020), were used to measure students' systems thinking after translation into Vietnames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Cronbach-α for each tool (i.e., STMI and STS) was .917 and .950,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reliability for both. To validat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ranslated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1.0. For concurren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translated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10 items from the STMI and 12 items from the STS loaded on the intended factors and appropriate factor loading values were obtain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rganized with 10 items from the STMI and 12 items from the STS was used. The result of this showed that the convergent validity values of the model were all appropriate, and the model fit indices were analyzed to be χ2/df of 1.892, CFI of .928, TLI of .919, SRMR of .047, and RMSEA of .063, indicating that the model consisting of the 22 items of the two questionnaires was appropriate. Analysis of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wo tools indicat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903) and high correlation (.571-.846) among the subfactors. In conclusion, both the STMI and STS are valid quantitative measures of systems thinking, an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ystems thinking of Vietnamese high-school students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using the 22 items identified in our analysis. Using the tool validated in this study with other tools (e.g., qualitative assessment) can help accurately measure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abilities. Furthermore, these tools can be used to collect evidence and support effective education in ODA projects and volunteer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