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melanoma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초

한방 발효주 주박 추출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 이수민;이상진;권이영;백상훈;김종식;손호용;신우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95-17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방 발효주 주박의 피부 생리 기능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을 준비하고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한방 발효주 주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KSD E4-3)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양한 약재의 발효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KSD E4-3은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tyrosine을 기질로 melanin이 형성되는 pathway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인 TRP-1과 TRP-2를 저해하는 작용 기전을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 물질인 melanin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SD E4-3은 피부의 keratinocyte가 생성, 분비하는 MMP-1, -2, -9의 발현을 억제하여 UV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방 발효주 주박에서 추출한 KSD E4-3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자인의 카나비노이드가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 미치는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annabinoids of Cannabis Against Human Skin Melanoma Cells)

  • 이기남;김명신;백승화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30
    • /
    • 1998
  • 제라니올 (1), 올리비톨 (2), 카나비노이드 (3 과 4)와 5-플로르우라실 (5)을 MTT 정량분석법과 SRB 정량분석법으로 인체 피부흑색종세포에 대하여 성장 억제효과를 평가 하였다. 이들 화합물(1, 2, 3, 4와 5)은 마이크로 몰 농도의 범위에 대하여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이들 화합물은 $1{\mu}M\;-\;100{\mu}M$ 농도범위에서는 투여량에 따라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인체 피부흑색종세포에 대한 이들 화합물의 50 %억제 농도 효과에 대한 비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항암활성이 감소하였다. MTT 정량분석법 ; OLVTL >CBG > CBD > 5-FU >GRNL, SRB 정량 분석법 ; CBG > OLVTL > CBD > CRNL > 5-FU, 카나비노이드 (3 과 4)와 5-플로르우라실 (5)을 MTT정량분석법과 SRB정량분석법으로 인체정상세포에 대하여 독성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마이크로몰농도의 농도범위에서는 투여량에 따라 세포독성을 보였다. 인체정상세포에 대한 이들 화합물의 50 % 독성효과에 대한 비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세포독성이 감소하였다. MTT정량분석법과 SRB정량분석법 ; CBD > 5-FU > CBG. 따라서 카나비지놀 (3)은 인체정상세포에 대하여 가장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카나비지놀 (3)은 인체 피부흑색종세포에 대하여 가장 강한 성장억제활성을 보였다.

  • PDF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 Protein in Malignant Cutaneous Tumors

  • Choi, Chang Yong;Kim, Jin Young;Wee, Seo Yeong;Lee, Jang Hyun;Nam, Doo Hyun;Kim, Chul Han;Cho, Moon Kyun;Lee, Yoon Jin;Nam, Hae Seon;Lee, Sang Han;Ch, Sung Wo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654-660
    • /
    • 2014
  • Backgrou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amages cell molecules, and modifies cell signaling. The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Nrf2) is a critical transcription regulator, which protects cells against oxidative damage. Nrf2 expression is increased in a large number of cancers. However, little information has been reported regarding the expression of Nrf2 in skin cancers. Hence, we explored the expression of Nrf2 protein in skin cancers. Methods The Nrf2 protein expression in 24 specimens, including 6 malignant melanomas (MM), 6 squamous cell carcinomas (SCC), 6 basal cell carcinomas (BCC), and 6 normal skin tissues, was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The expression of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 (Keap1), the key regulator of Nrf2, was also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Small interfering RNA transfection to the melanoma cell line G361 confirmed that an approximately 66 kDa band was the true Nrf2 band. The western blot revealed that the Nrf2 protein was definitely expressed in normal skin tissues, but the Nrf2 expression was decreased in MM, SCC, and BCC.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showed that expression of Nrf2 was decreased in all skin cancer tissues compared to the normal skin tissues. Keap1 was not expressed in all malignant skin tumors and normal skin tissues by western blot. Conclusions ROS was increased in various types of cancers which proteins were highly expressed or underexpressed.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of Nrf2 protein was down-regulated in human malignant skin tumors. We suggest that decreased expression of Nrf2 is related to skin cancers.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생리활성과 축산식품 (Bilol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nimal Products)

  • 허선진;이정일;하영래;박구부;주선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27-442
    • /
    • 2002
  •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요약해보면 CLA는 생체내외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의 주요 효과는 유방암, 췌장암, 피부암 및 대장암을 억제하는 효과, 동물체내에서의 면역력증강 효과, 동맥경화증에 대한 효과, 지방축적 억제효과, 체내 지방분해 촉진효과 및 식육에서의 항산화 효과와 육색안정 효과 등으로 요약된다. 그러므로 CLA는 건강보조식품으로 혹은 축산식품을 비롯한 다양한 식품의 기능성 첨가제로써의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CLA의 효과는 실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또한 CLA의 생리활성 기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CLA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 새로운 CLA 이성체의 발견 및 CLA 합성방법에 대한 연구 2) CLA가 가지는 각각의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정확한 기작을 밝히는 연구 3) CLA 이성체간의 생리활성 효과 차이에 대한 연구 4) CLA의 생리활성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성체간의 비율에 대한 연구 5) 기능성 식품첨가제로써의 CLA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연구 6) CLA를 식용가축 및 축산물에 효과적으로 축적시키는 방법 연구 7) CLA를 이용한 육제품 및 유제품 개발 연구 8) 사람에 있어 CLA 효과에 대한 임상 연구.

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 최은영;안봉전;이창언;정수현;장민정;천순주;성지연;강보연;조우아;정연숙;최향자;백욱진;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101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Methods : Folium Perillae, which had been extracted, concentrated, and freeze drying with water and ethanol, have been used for the experiment. The effects on electronic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whitening effec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cosmeceutical activity measurement of function experiment. Results :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showed relatively high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more than 70% at over 500ppm. Also, SOD like activit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tter of more than 80% at 5,000ppm, while tyrosinase showed insufficient inhibitory rate. Xanthine oxidase showed a meaningful inhibitory effect of 72.4% in water extract and 55.3% at 1,000ppm in ethanol extract. The addition of $Fe^{2+}ion\;and\;Cu^{2+}ion$ showed relatively high oxidizing inhibitory effect of 57% and 41%, respectively, at 500ppm in water extract and, when $Fe^{2+}$ ion was added in ethanol extract, the effect of 64% at 1,000ppm was achieved. Also, higher oxidizing inhibitory effect was shown against $Fe^{2+}$ rather than $Cu^{2+}$ in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For human cancer cells, relatively high growth inhibition ability was shown against melanoma G361 in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could be used in functional cosmetics.

  • PDF

가시연꽃 종자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of Euryale ferox Seed Extract)

  • 추수진;김영희;류인자;허광화;유익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9-315
    • /
    • 2009
  •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천연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가시연꽃의 종자 추출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시연꽃 종자의 추출물로부터 유효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 등의 기법을 실시하여 순수하게 정제된 화합물 5종을 획득하였다. 각종 NMR 및 MS 스펙트럼 등을 분석하여 이들의 화학구조를 규명한 결과 fucosterol (1), 3-(4-hydroxy-3-methoxybenzyl)-4-[(7'R),5'-dihydroxy-3'-methoxybenzyl]tetrahydrofuran (2), resorcinol (3), pyrogallol (4) and 4-O-methylgallic acid (5)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각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미백활성 등을 평가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자유라디칼소거활성은 $SC_{50}$ 값이 $17.0\;{\sim}\;100.2\;{\mu}M$이었고, 특히 화합물 4 및 5는 양성대조구인 ferulic acid보다 6배 이상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에 대한 $IC_{50}$ 값은 $18.8\;{\sim}\;78.2\;{\mu}M$로써 특히 화합물 4는 양성대조구인 EGCG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에 대해 화합물 3은 양성대조구인 arbutin보다 약 2배 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시연꽃 종자 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활성,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및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므로, 복합 기능성을 나타내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Jaspine B의 함암활성 비교 (Differential Cytotoxic Effects of Jaspine B in Various Cancer Cells)

  • 이지훈;최광익;권미화;이동주;최민구;송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92-1399
    • /
    • 2016
  • Jaspine B는 석회해면류에서 추출된 sphingosine유도체로 인간 암세포에서의 항암활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양한 인간 암세포주에서 항암활성을 비교하고, 암세포주에서의 Jaspine B의 농도를 측정하여 항암 활성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암활성은 MTT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EC_{50}$ 값으로 표현하였다. 암세포주내 Jaspine B의 농도는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항암활성은 세포주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유방암과 흑색종 세포주에서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EC_{50}$ 각각 $2.3{\mu}M$$2.6{\mu}M$), 신장암세포주에서는 $EC_{50}$ 값이 $29.4{\mu}M$이었다. 암세포주에서의 $EC_{50}$ 값은 동일한 세포에서의 Jaspine B 농도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r=0.838), 암세포내 약물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P-glycoprotein과 breast cancer resistance protein 등의 배출수송계와는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세포내 약물농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항암활성에 매우 중요하며, 세포내 약물농도가 암세포주에 따라 다른 약효를 보이는 원인으로 사료된다.

Biodistribution of 99mTc Labeled Integrin Antagonist

  • Jang, Beom-Su;Park, Seung-Hee;Shin, In Soo;Maeng, Jin-Soo;Paik, Chang H.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21-25
    • /
    • 2013
  • The selective targeting of an integrin ${\alpha}_v{\beta}_3$ receptor using radioligands may enable the assessment of angiogenesis and integrin ${\alpha}_v{\beta}_3$ receptor status in tumor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label a peptidomimetic integrin ${\alpha}_v{\beta}_3$ antagonist (PIA) with $^{99m}Tc(CO)_3$ and to test its receptor targeting properties in nude mice bearing receptor-positive tumors. PIA was reacted with tris-succinimidyl aminotriacetate (TSAT) (20 mM) as a PIA per TSAT. The product, PIA-aminodiacetic acid (ADA), was radiolabeled with $[^{99m}Tc(CO)_3(H_2O)_3]^{+1}$, and purified sequentially on a Sep-Pak C-18 cartridge followed by a Sep-Pak QMA anion exchange cartridge. Using gradient C-18 reverse-phase HPLC, the radiochemical purity of $^{99m}Tc(CO)_3$-ADA-PIA (retention time, 10.5 min) was confirmed to be > 95%. Biodistribu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nude mice (n = 5 per time point) bearing receptor-positive M21 human melanoma xenografts. The mice were administered $^{99m}Tc(CO)_3$-ADA-PIA intravenously. The animals were euthanized at 0.33, 1, and 2 hr after injection for the biodistribution study. A separate group of mice were also co-injected with 200 ${\mu}g$ of PIA and euthanized at 1 hr to quantify tumor uptake. $^{99m}Tc(CO)_3$-ADA-PIA was stable in phosphate buffer for 21 hr, but at 3 and 6 hr, 7.9 and 11.5% of the radioactivity was lost as histidine, respectively. In tumor bearing mice, $^{99m}Tc(CO)_3$-ADA-PIA accumulated rapidly in a receptor-positive tumor with a peak uptake at 20 min, and rapid clearance from blood occurring primarily through the hepatobiliary system. At 20 min, the tumor-to-blood ratio was 1.8. At 1 hr, the tumor uptake was 0.47% injected dose (ID)/g, but decreased to 0.12% ID/g when co-injected with an excess amount of PIA, indicating that accumulation was receptor mediated. These results demonstrate successful $^{99m}TC$ labeling of a peptidomimetic integrin antagonist that accumulated in a tumor via receptor-specific binding. However, tumor uptake was very low because of low blood concentrations that likely resulted from rapid uptake of the agent into the hepatobiliary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99m}Tc(CO)_3$-ADA-PIA to be useful as a tumor detection agent,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receptor binding affinity and increase the hydrophilicity of the product to minimize rapid hepatobiliary uptake.

쇠비름 추출물의 미백 및 항노화, 항염증 효과 (The Melanin Inhibition,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on Cells)

  • 장뢰;이현진;윤영민;김수미;김현숙;리순화;안성관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97-4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생물공학 기반 기술로서 이미 한방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쇠비름 에탄올 추출액의 tyrosinase 저해, collagen 합성, 항염증 기대 효과, 항노화 대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ouse melanoma cell, NIH3T3 mouse embryonic fibroblast, MCF-7 human breast adenocarcinoma cell에 쇠비름 추출액을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쇠비름 에탄을 추출액 (0.5mg/mL)은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며, 농도 의존적으로 NIH3T3 mouse fibroblast 세포의 collagen 합성을 촉진시켰다. 또한 2.0 mg/mL 농도의 쇠비름 추출액은 목단피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cytokine (TNF-$\alpha$)에 의한 NF-${\kappa}B$ 활성을 억제시켰다. Doxorubicin에 의한 과노화에서도 효과적인 항노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합성을 억제하므로 미백에 대한 효과와 세포의 생장을 도와 collagen 합성을 촉진함으로서 노화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며, TNF-$\alpha$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서 염증반응 억제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약침용봉독액(藥鍼用蜂毒液)이 흑색종세포(黑色腫細胞)에 미치는 항암효과(抗癌效果)에 대(對)한 분자생물학적(分子生物學的) 연구(硏究) (Molecular Biological Study of Anti-cancer Effects of Bee Venom on Human Melanoma Cell)

  • 박찬렬;남상수;김창환;이재동;강성길;이윤호;안병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69-186
    • /
    • 2000
  • To study anti-cancer effect and molecular biological mechanism of bee venom for aqua-acupuncture, the effects of bee venom on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cell cycle were analyzed using MTT assay, tryphan blue assay, [3H]thymidine release assay, flow cytometric analysis, activity of caspase-3 protease activity assay, and immunocytometric analysis of PCNA. To explore whether anti-cancer effects of bee venom are associated with the transcriptional control of gene expression, quantitative RT-PCR analysis of apoptosis- and cell cycle-related genes was performed.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TT assay demonstrated that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by bee venom in a dose-dependant manner. 2. Significant induction of apoptosis was identified using tryphan blue assay, [$^3H$]thymidine release assay, and flow cytometric analysis of sub $G_1$ fraction. 3. In analysis of caspase-3 protease activity, the activity had increased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ant manner. 4. Quantitative RT-PCR analysis of the apoptosis-related genes showed that Bcl-2 and $Bcl-X_L$ were down-regulated whereas Bax was up-regulated by bee venom treatment. 5. In flow cytometric analysis of cell cycle and immunocytometric analysis of PCNA expression, cell numbers of $G_1$ phase was increased by a dose-dependant manner. 6. In quantitative RT-PCR analysis of the cell cycle-related genes, p21, p27, and p57 were increased, while Cyclin D1, CDK4, c-Myc, c-Fos, and Histone H3 were decreased. In contrast, there were no remarkable changes in expression levels of CDC2 and c-Ju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