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hold economic change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수도권 신도시 건설과 서울 거주자의 통근통행패턴 변화 (Emergence of New Towns and Changes in Commuting patterns of Seoul Residents)

  • 김현우;김호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7-4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인구집중 해소와 함께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도권 1기 신도시 건설계획이 수립된 이후 20여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간 서울시 거주자의 통근통행패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통근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판별하기 위해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초과통근 실태를 분석하여 서울시의 직주 불일치 정도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통근자들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통근시간이 늘어나다가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통근시간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서울시의 통근비용이 최소화되는 경우에 비해 상당한 수준의 초과통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서울의 직주 불일치가 과거에 비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나나, 행정구별로는 여전히 직주 불일치도의 격차가 심하였다. 수도권 신도시 건설 이후 서울 거주자들의 통근패턴 변화와 현재의 직주불일치 정도를 파악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비효율적 통근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가능케 하는 정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촌지역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주민참여 활성화 연구 - 농촌태양광 시스템을 중심으로 - (Improvement of Resident's Participation on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Project in Rural Area - Focused on the Rural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

  • 이철성;김혁;신승욱;박미란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107-11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olicy of supply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n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of the rural residents were well aware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ly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was difficult mainly for economic and social reasons. In order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rural residents who can't participate in the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project for economic and social reas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mote business models and support policies for power generation projects in which village communities participate. Changes in residents' acceptability due to resident education and operation for solar power system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rural residents was high when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projects were introduced in rural area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government's goal of increasing farm household income and expanding the suppl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rural area can be successfully achieved by the improvement of resident acceptability and the increase of the participation rate. Lastly, this study presented a plan to improve the resident acceptability of the renewable energy system by using the rural solar project and survey results.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장주연;박소희;설아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711-723
    • /
    • 2021
  •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통행시간예산의 요인분석 및 추정 (Analysis and Estimation of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Budget)

  • 김태호;박제진;이기영;박용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21
    • /
    • 2009
  •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통행자 패턴은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통행자 패턴 중 통행시간은 통행자에게 제한된 자원에 해당한다. 통행자들은 이 제한된 자원을 자신의 활동에 적절히 투입하여 효용을 극대화 하려고 한다. 즉 통행에 대해서 지불 할 수 있는 혹은 개인의 효용극대화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고유의 통행시간예산을 가지고 통행한다. 본 연구는"2002년 가구통행실태조사"에서 수집된 통행자 특성 변수들을 토대로 상호관련성 및 특성분류가 가능한 CAR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통행시간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요인에 대한 그룹화 및 추출화를 수행하며, 그에 따른 통행자 통행시간예산 추정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CART 분석 결과, 통행시간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 주택규모, 주택종류, 고용형태, 직업, 세대주 관계 등으로 나타났고, 도출된 영향요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정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 나이, 주택규모, 주택종류가 전반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서 상대적으로 통행의 빈도가 낮은 재택근무가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의 경우 주부 무직 미취학아동과 농업 어업 수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음(-)의 값을, 행정 사무 관리직이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제안: 가족생활교육으로서의 내용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Proposal of lifelong education contents in futur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reflecting social needs: Focus on the contents proposal as family life education)

  • 강남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33-246
    • /
    • 2018
  •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 households. The incidence of the MERS, epidemic in 2015, and the subsequent cases of child abuse have been major shocks 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household debt, that is in danger of causing a serious crisis in the stability of our society and the family. The current demand for increased accountability in the democratic process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There is also an increased awareness of natural disaster preparation due to local earthquakes that have caused concern. At this point,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in Korea is in line with the changes and crises of various societies. Problems related to family life that have happened in the real life of learners stand in the place of the study with preventive character. It should provide the best alternative for family, home, and society, and help to overcome the problems of life. In order for lifelong education to respond to these social changes $vis-{\grave{a}}-vis$ Home Economic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forma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conomic activation education', and other topics of lifelong education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required. Consequently, various related program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disseminated.

가계 식품수요 요인의 계량분석 - 한국과 일본의 비교 - (Econometric Analysis on Factors of Food Demand in the Household :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 조광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1-383
    • /
    • 1999
  • 본 논문은 한일 양국의 가계에 있어서의 식품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종래의 수요모델에 코호트(cohort, 행동을 같이 한 집합체) 분석적인 생각을 도입하여 한일 양국의 식품수요 형태분석을 하였다. 여기에 제시한 새로운 수요분석 모델은 소비지출과 가격이 식료수요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이외에 세대주 연령효과나 출생연도와 같은 비경제적효과 등도 계량한 것이 특징이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일 양국의 식품수요의 품목군별 탄력성을 보면 유지류, 음료, 조리식품의 수요탄력성은 한국보다 일본이 더 탄력적이었지만, 다른 모든 품목은 일본보다 한국이 탄력적이었다. 곡류, 육류, 외식의 외부화 식품의 소비지출과 가격탄력성은 한국의 큰 품목과 일본의 큰 품목이 서로 상충하고 있어서 일정한 경향 파악이 곤란하다. 그러나 신선식품에 대한 소비지출과 가격의 탄력성은 모두 일본보다 한국이 크다. 2. 식품에 대한 지출액은 세대 구성원의 연령을 반영하여 비교하여 볼 때 한국과 일본의 결과가 비슷하였다. 즉 세대주 연령이 젊은 계층의 가족에는 유아가 있기 때문에 유란류의 지출액이, 또한 중년층에서는 청소년이 많기 때문에 과자류의 지출액이 다른 연령계층에 비하여 많았다. 한국은 연령계층이 높을수록 2세대 가족이 많기 때문에 다수 품목에 지출액이 많고, 일본의 중년층은 과자류를 포함하여 특히 곡류, 육류 등의 에너지 식품이나 외식의 지출액이 많다. 그러나 연령이 높은 계층에서는 세대 구성원이 거의 성인이며 평균연령이 높기 때문에 곡류, 육류, 외식 등의 지출액이 적었지만 어패류, 야채류 등의 전통식품이나 조리식품의 지출이 많았다. 3. 식품소비의 패턴은 세대주 출생연도별로 비교하면 한일 양국 모두 구세대일수록 주식 중시의 경향을 나타내고 신세대일수록 축산물, 유지류, 외부화 식품의 비중이 높았다. 그러나 품목 구성의 세대간 차이는 한국에 있어서는 매우 크지만 일본의 경우는 비교적 작았다. 따라서 식생활의 서구화, 외부화는 세대교체에 동반하여 한국에는 급속히 진행하지만 일본은 점진적으로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4. 가계 식품 수요의 장기 변화에 미치는 요인은 소비지출, 가격, 세대주 출생연도, 연령 등의 네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효과를 요인간으로 비교하면 한일 양국이 함께 가격의 효과가 가장 작다. 그러나 그 이외 요인별 효과의 상대적 중요성은 양국간에 다른데 한국은 소비지출의 효과가 출생연도나 연령 효과보다 크지만 일본은 경제적 요인인 소비지출보다 세대주의 출생연도나 연령 등의 비경제적 요인의 효과가 크다.

  • PDF

국민영양조사를 이용한 지방에너지 섭취비율에 따른 식품섭취패턴과 식이관련인자의 비교연구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Other Diet Related Factors Among Three Groups of Households with Different Fat Energy Intakes)

  • 문현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321-330
    • /
    • 1996
  • With changing socio-economic environments,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the Korean diet. One of major changes is the increasing fat intake. Based on the current trend of increas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factors related to fat intake levels.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ther socio-economic factors among three groups of households. The households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s by percentage of fat energy intake to total energy intake such as less than 15%(Group 1), from 15% to 25%(Group 2), and more than 25% (Group 3). Among 1, 987 households, the numbers in Group 1, Group 2 and Group 3 were 792(39.6%), 902(45.4%), and 293(15.1%), respectively. The mean size of family was 3.44 person per households for total survey household, 3.42 for Group 1, 3.54 for Group 2, and 3.21 for Group 3. More than 60% of families living in the rural area belonged to Group 1(p<0.05). Group 3 had most educated food preparers and more income than other groups(p<0.05). Group 3 showed higher intake of all nutrient analyzed except carbohydrate (p<0.05). Other than calcium and vitamin A for Group 1, and vitamin A for Group 1, and vitamin A for Group 2, all nutrient intake analyzed for three groups were more than 75% of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owances. Mean fat intakes for Group 1, Group 2, and group 3 had highest amount of intake for all food groups. According to food group analysis, Group 3 had highest amount of intake for all food groups except vegetables. Group 3 consumed more than 10 times of meats compared to Group 1. Group 3 had more dishes prepared by baking, deep-fryng, stir-frying, and pan-frying other two groups. Processed foods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Group 3. Other diet and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also.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fat consumed by Korean households varies widely. Households with high fat energy intake had tendency to reside in the largy city, and to have heigher education level and more income than other groups. They eat less vegetables, use more cooking methods using oils, and use more processed foods. To ensure a proper intake of fat, there should be two separate ways of approach for high fat energy group and low fat energy group, since they are different in many ways.

  • PDF

50세 이상 성인 및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의한 커피 섭취 변화 : 2001,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Changes of Coffee Intak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over 50 and the Elderly in Korea :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1/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이창현;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4-7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50세 이상 성인 및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의한 커피 섭취 현황의 10년 추이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커피 관련업체의 소비자 행동분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설문에 참여한 50세 이상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2001년은 2,316명, 2011년은 3,170명으로 총 5,486명을 추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지역, 결혼 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경제활동 여부, 주관적 건강상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성별과 연령별로 하루 평균 커피 섭취량, 종류에 따른 섭취량, 장소에 따른 섭취량, 하루 커피 섭취 잔 수, 1회 섭취량을 구하였다. 통계분석은 PAWS 21.0으로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한 결과 2001년과 2011년 모두 노인의 커피 섭취는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은 여성보다 남성이 커피를 평균적으로 더 많이 섭취하였다. 남녀 모두 원두커피를 가장 선호하고 대부분 직장에서 섭취하였으며 75세 이상 높은 연령의 노인 계층에서도 원두커피를 많이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노인을 커피 산업의 새로운 소비층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하며, 원두커피를 판매하는 커피전문점에서는 노인 계층을 겨냥하여 다양한 제품 개발과 마케팅 활동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도시권 청년 1인 및 신혼 가구의 소득수준별 주거입지 선택요인 (Residential Location Choice Factors by Income Level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and Newlywed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 박정연;이창효
    • 지역연구
    • /
    • 제38권1호
    • /
    • pp.45-5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도시권 거주 청년 1인 가구와 신혼 가구를 소득수준별로 구분하여, 주거입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주거이동 및 입지선택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증분석에 활용한 기초 자료는 '2016년 가구통행실태조사'의 표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년 1인 가구와 청년 신혼 가구 모두에서 소득수준별 주거입지 선택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년 가구 중 저소득 집단은 가구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는 제한적 합리성에 기초한 주거입지 선택 행태를 나타냈다. 셋째, 소득수준이 유사할지라도 청년 1인 가구와 신혼 가구 간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에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서울대도시권 거주 청년 가구의 경제적 여건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적절한 주거정책 마련, 그리고 연령 또는 소득뿐만 아니라 생애주기 단계의 변화를 반영하는 맞춤형 주거정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Predicting Land Use Change Affected by Population Growth by Integrating Logistic Regression, Markov Chain and Cellular Automata Models

  • Nguyen, Van Trung;Le, Thi Thu Ha;La, Phu Hie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1-230
    • /
    • 2017
  • Demographic chang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major driver of land use change although there were several interacting factors involved,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predict the future land use change using a hybrid model. A hybrid model consisting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Markov chain (MC), and cellular automata (CA) was design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tandard logistic regression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Giao Thuy district, Nam Dinh Province, Vietnam. Demography and socio-economic variables dealing with urban sprawl were used to create a probability surface of spatio-temporal states of built-up land use for the years 2009, 2019, and 2029. The predicted land use maps for the years 2019 and 2029 show substantial urban development in the area, much of which are located in areas sensitive to source protections. It also showed that aquacultural land changes substantially in areas where are in the vicinity of estuary or near the sea dike. There was considerable variation between the communes; notably, communes with higher household density and higher proportion of people in working age have larger increases in aquacultural are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local planners and policy makers, assisting their efforts in constructing alternativ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chem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