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gcheon rive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홍천강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Hongcheon river, Korea)

  • 최재석;김재구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46-455
    • /
    • 2004
  • 2002년 4월부터 10월까지 홍천강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종은 모두 11과 52종이었다. 한국고유종은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signifer, A. yamatsutae, Coreoleuciscus splendidu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등 23종(44.23%)이었다. 우점종은 Zacco platypus (20.38%), 아우점종은 Z. temmincki (19.62%)였고, 우세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 (8.45%), Pungtungia herzi (8.01%), C. splendidus (6.63%)등 이었다. 홍천강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Micropterus salmoides, Anguilla japonica, Gymnogobius urotaenia, Rhinogobius giurinus 등 6종이었다. 이 중 C. cuvieri, L. macrochirus, M. salmoides는 국외종이며 A. japonica, G. urotaenia, R. griurinus는 국내 다른 하천으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어류의 분포에 따라, 홍천강의 어류군집은 주성분 분석(PCA)에 의해 4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강원도 홍천강의 조류군집과 생물학적 지수에 의한 수질 평가 (The Water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Algal Communities and Biotic Indices in Hongcheon river, Gangwon-do)

  • 백준수;김헌년;이옥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96-604
    • /
    • 2014
  •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communities of epilithic diatom and phytoplanktons at Hongcheon river from December 2011 to September 2012. In case of TN, the result was hypertrophic, and for TP, it ranged from mesotrophic to eutrophic. As for BOD, Hongcheon river was rated level II or better,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level; values were found to be below 3mg/L at most sites. Total of 83 and 114 taxa of epilithic diatom and phytoplanktons respectively, were found during the research. When assessed using the TSI, it ranged from oligomesotrophic to eutrophic. In case of DAIpo, it ranged from 64.1 to 99.5, and TDI ranged from 51.5 to74.0. These results signify good water quality, level B or better, for Hongcheon river. P-IBI was rated moderate to low, which showed higher pollution than other indices. Among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measures analyzed in the Hongcheon river study, DAIpo best matches TDI and BOD, while TDI showed greater pollution. Therefore, P-IBI appears to be inappropriate when assessing the domestic small rivers and lakes.

A Study of Nine Newly Reported Species of the Order Chlorococcales (Chlorophyta) in Hongcheon River, Korea

  • Shin, Hyun-Joo;Song, Mi-Ae;Lee, Ok-M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315-325
    • /
    • 2013
  • Taxa in the order Chlorococcales inhabiting Hongcheon River, South Korea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from December 2011 to September 2012. As a result, nine taxa in the Order Chlorococcales including unrecorded genera Oocystidium and Heleococcus were newly added to the Korean flora: Oocystidium ovale, Heleococcus mucicola, Chlorella mirabilis, Monoraphidium convolutum var. pseudosabulosum, M. minutum, Raphidocelis mucosa, Eutetramorus tetrasporus, Scenedesmus flavescens, and S. multicaud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ine taxa identified in this study mostly corresponded to already reported characteristics; however, M. minutum had a shorter cell length than the recorded description, Raphidocelis mucosa and S. flavescens were larger than previous descriptions, and Scenedesmus multicauda had larger spines than the cell itself. Eight of the nine taxa were found in planktonic samples, whereas Heleococcus mucicola was found in an epilithic sample. Therefore the Korean order Chlorococcales, including these newly reported ones, totals to 255 species.

강원도 홍천강 유역의 Metagonimus속 흡충 감염상 (Epidemiological studios on Metagonimus infection along the Hongcheon river, Kangwon Province)

  • 안영훈;양용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207-214
    • /
    • 1988
  • 강원도 홍천군내를 임류하여 경기도 청평댐으로 유입되는 홍천강 유역 주민의 Metagonimus속 흡충 감염실태와 홍천강에 서식하는 중간숙주의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홍천강 유역 주민의 Metngonimus속 흡충 감염률은 529명(남 314, 여 215)중 39명(남 33명, 10.5%; 여 6명, 2.8%)으로 평균 7.4%의 양성률을 보였다. 총 8개 지점에 대한 조사중 북방면 굴흑이가 주민감엽률 26.9% (남자는 38.2%)로 가장 높았고 제 1중간숙주인 다슬기의 서식밀도도 높았다(m2당10∼20개). 다슬기의 Metagonimus 유미유충 감염률은 10.7%(121개중 13개)였다. 주민들의 호생식성 어종이며 근단. 수가 많은 피라미 (Zncco platypus)의 metacercaria 감염은 68.2%(44마리중 30마리)이며 주 검출부위는 비늘(89.9%)이었다. 피라미에서 검출된 metacercaria를 흰쥐에 감염시킨 다음 15일후에 성충을 회수하고, 사람에서 검출한 충체와 비교하였던 바 동일종으로 관찰되었다. 검출된 충체는 Metagcnimus takahashis([고교]흡충)와 기타 Metagonimus속 흡충이 혼재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Metagonimus 흡충 감염이 높은 지역이 있음을 알았고 주요 감염원이 되는 어종은 피라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홍천강 유역의 하수고도처리를 적용한 마을하수처리 효율 및 기여율 평가 (Estimation of Contribution Ratio and Community Sewerage Treatment Efficiency by using Advanced Sewage Treatment in the Basin of Hongcheon-river)

  • 박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570-3576
    • /
    • 2013
  • 본 논문은 홍천군의 마을하수도를 대상으로 하여 하수고도처리효율 및 삭감오염부하량을 산정하여 마을하수도의 기여율을 평가하였다. A2/O와 SBR 공법의 경우 BOD, COD에서 95%와 94%의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SS는 80%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반면 T-N과 T-P는 56%와 66%로 다른 항목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나 SS의 경우 MBR 공법에서 96%로 높은 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마을하수도 방류하천인 홍천강의 수질 경년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COD와 T-N, T-P에서 수질이 크게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마을하수도 설치 운영으로 일반 수질항목에서 80%이상, T-N과 T-P는 58%와 68%의 높은 오염부하 삭감량을 보이고 있어 홍천강 수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강원 영서지역 하수처리장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on Water Quality in Western Kangwon Area)

  • 허인량;최지용;김영진;정의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35-240
    • /
    • 2005
  • The effects of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s on the water quality and effluent loading were investigated. BOD removal rates from Wonju, Hoengseong, and Hongcheon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s were $88.9\%,\;80.6\%,\;90.7\%$ and T-P removal rates were $47.3\%,\;56.5\%,\;71.6\%,$ respectively. Also, BOD effluent leading from WonJu, Hoengseong, and Hongcheon treatment plants were 1,520 kg/day, 75 kg/day, 55 kg/day and T-P effluent loading were 203.9 kg/day, 4.2 kg/day, 4.0 kg/day, respectively. In terms of water quality distribution by distance of flow, BOD of the Seom river rapidly rose from 1.6 mg/l to 4.0 mg/l and T-P rose from 0.034 mg/l to 0.321 mg/l. Also BOD of the Hongcheon river showed a slowly rise from 1.1 mg/l to 1.4 mg/l and T-P from 0.011 mg/l to 0.026 mg/l.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s on the water quality proved that T-P was higher than BOD. Consequently,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it is necessary to adopt an advanced sewage treatment system like nutrient removal.

홍천강에 서식하는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식성 (Feeding Habit of Gobiobotia brevibarba (Cyprinidae) from the Hongcheon River, Korea)

  • 최재석;권오길;박정호;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0-236
    • /
    • 2001
  • 강원도 홍천군 서면 반곡리에서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Gobiobotia brevibarva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G. brevibarba의 주요 먹이 생물은 Ephemeroptera, Trichoptera 그리고 Diptera였으며 그 밖에 Plecoptera와 Coleoptera 등이 검출되었다. 성장함에 따라 먹이 조성에 있어 변화를 보이는데 작은 체장 (21~50 mm)에서는 Diptera, Ephemeroptera를 주로 먹었으나 성장하면서 다양한 먹이와 비교적 크기가 큰 Trichoptera로 먹이 전환이 일어났다. Ephemeroptera는 봄 과 여름 그리고 가을에 양의 선택성을 겨울에는 음의 선택성을 나타낸 반면 Diptera는 3월과 10월 그리고 11월에 양의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 PDF

홍천강 상류에 서식하는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의 식성 (Feeding Habit of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 from the Hongcheon River, Korea)

  • 최재석;이광열;장영수;박정호;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2006
  •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생곡리에서 2002년 4월부터 2003년 3월까지 하천의 상류수역에 서식하는 한국 특산종인 R. kumgangensis의 식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R. kumgangensis는 주로 Ephemeroptera, Diptera, Terrestrial insects와 Trichoptera를 섭식하는 식충성 어류로 밝혀졌다. 주요한 먹이생물은 깔다구류(Chironomus sp.)였다. 크기가 작은 개체군에서는 Diptera와 같은 작은 크기의 먹이를 섭식하고, 성장함에 따라 Ephemeroptera와 Terrestrial insects같은 크기가 큰 먹이로의 먹이 전환이 일어난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라 먹이항목의 상대적 비율이 변화한다.

수변생태벨트 구축을 위한 하천 단절구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Ecologically Fragmented Section for Restoration of the Riverine Ecobelt)

  • 강형식;이영숙;전승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B호
    • /
    • pp.383-39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변생태벨트 조성 사업에 있어서 우선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단절구간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하천은 홍천강으로 하였으며, 홍천강 약 96 km를 2 km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A1-P3의 48개 구간에 대한 도상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단절 항목은 크게 연결성 및 생태적 기능성 단절로 구분하였으며, 연결성 단절에서는 토지이용 등의 면적 단절과 도로 및 제방 등의 선적 단절로 구분하였다. 또한 생태벨트의 기능성 단절은 기존 연구결과의 일부 항목을 도입하여 크게 하천 수로 및 하상구조, 수림대 및 식생, 하천구조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세부 항목별 단절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각 단절 항목별 평균하여 이를 등급화 하였다. 그 결과, F1-G2 구간에서 2등급 이상의 연결성 및 기능성 단절 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구간에서는 연결성 단절이 2등급으로 높지만, 기능성 단절이 3-4등급으로 낮아 복원이 시급한 구간이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수변생태벨트 조성 등의 하천복원 사업에 있어 대상 하천내 우선 사업구간 선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변벨트 조성에 따른 하천 단절성 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Fragmentation Improvement Effect from the Riverine Restoration)

  • 강형식;박민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B호
    • /
    • pp.387-39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홍천강 11 km를 대상으로 수변생태벨트를 조성할 경우 벨트 폭에 따른 하천 단절성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천강 대상구간은 기존의 연구에서 하천 단절성이 심화되었다고 보고된 구간으로, 대상지의 생태적 연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변생태벨트의 적정 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을 1 km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A-K의 총 11개 구간에 대한 도상조사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단절지수를 적용하여 도로, 제방 및 주변 토지이용 등에 의한 연결성 단절과 생태적 기능성 단절 항목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I 구간에서 연결성과 생태 기능성 단절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변벨트를 조성하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구간별 평균값이 단절 2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 10-50 m의 수변벨트를 조성하였을 경우, 연결성 단절에 대한 개선 효과는 미비하였으나 생태적 기능성 단절에 대해서는 12.4-25.1%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10 m와 30 m를 조성하였을 경우 단절성 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30 m 조성시 단절등급이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완화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