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based worker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9초

경제활동참여 베이비부머의 소비유형과 우울의 관계 (The Effect of Worker' Consumption Patterns on Depression: Focusing on Baby-boomers)

  • 박서영;홍송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9-452
    • /
    • 2018
  •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은퇴 전 한국 베이비부머의 소비유형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유형별 소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의 소비를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중심형, 사회생활중심형, 주거생활중심형, 고급소비중심형의 4가지 유형이 구조화되었다. 이러한 소비유형과 우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는데, 특히 사회생활중심형 소비유형과 비교하여 기초생활중심형과 고급소비중심형의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신체기능에 제한이 있을수록, 장애진단을 받을수록, 여가활동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소득이 낮은 경우, 주관적 경제상태가 부정적일 때 우울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베이비부머를 위한 특화된 노후준비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제언한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Care-workers Work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 홍서준;김진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07-113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수집은 경기지역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요양보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와 이상치를 제거하고 최종 26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PROCESS Macro V3.5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Hayes(2013)의 Macro Model Number 4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 변인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개선과 직무만족 증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과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

소양면 지역사회 환경기초조사 (A Basie Community Health Survey in Rural Korea (Soyang-Myun))

  • 최승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6권1호
    • /
    • pp.133-160
    • /
    • 1973
  • 1. Introduction Community medicine with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medical care and an ideal medical care delivery system not only for an individual or family but for the whole community has emerged. In April 1970, th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started a hospital based community health service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eople in rural areas. Prior to commencing a comprehensive medical care system, a family survey was needed.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urvey was to obtain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so as to be able to plan and implement a comprehensive medical care program in Soyang-Myun. 2. Survey Method An interview using a family record form was carried out for each household. This family record form was designed to get information about demography, family planning,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vital statistics. Prior to beginning, the members of the survey team were trained in interviewing techniques for three days. The team consisted of a public health nurse, four nurse-aides, a sanitarian and four health extension workers who are working in our project, The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November 1971 to March 1972. 3. Project area 1) Population of Soyang-Myun was 11,668; male, 5,962 and female, 5,706. Sex ratio: 104.5. 2) Households : 1,858 3) Family size: The average household consisted of 6.3 persons. 4) Educational level of householder a. Illiterate 13% b. No schooling but able to read 10% c. Preschool children 19% d. Primary school 47% e. Middle school 7% f. High school 3% g. College or University 1% 5) Occupational distribution of householders a. Farmer 67% b. Laborer 13% c. Office worker 4% d. Merchant 4% e. Industrial worker 2% f. Unemployed 8% g. Miscellaneous 2% 6) Religious affiliation a. No religion 74% b. Buddhist 12% c. Protestant 10% d. Catholic 4% 4. Survey results Living Environment : a. Home ownership 95% b. Kinds of roofing Straw-thatched house 84% Tile-roofed house 10% Slate-roofed house 5% Other 1% c. Floor space Less than 6 pyong 10% 6-10 pyong 53% 11-15 pyong 24% 16-20 pyong 9% More than 20 pyong 4% d. Radio ownership 80% Environmental Sanitation : a. the source of drinking water public well 49% private well 30% drainage water 9% steam water 8% well pump 3% water distribution system 1% b. Distance between well and toilet more than 16meters 38% 6-10 meter 31% 11-15 meters 14% Less than 6 meters 17% c. The status of well management Bad 72% Fair 26% Good 2% d. General sanitary state of house Bad 37% Fair 51% Good 12% e. House drainage system had no house drainage. 77% Family Planning : a. 24% of the people have used contraceptives, but 12% ceased to use them. 76% have never used contraceptives. b. used methods 1oop 68% oral pill 16% vasectomy 4% condom 1% tubal ligation 1% two or more methods 10% Maternal Health : a. The number of conceptions of housewives under 50 years of age. 11 times 26% 6 times 11% 5 times 11% 4 times 9% b. The place of delivery own house 88% hospital 1% others 11% Treatment of general sickness : a. The place of treatment Soyang Health Center 31% Hospital (private or otherwise) 26% Pharmacy 14% Herb medicine 5% Private care 5% No treatment 12% Miscellaneous 7% b. Usual causes of diseases Unknown 46% Tuberculosis 29% Neuralgia 8% CVA 3% Bronchitis 3% Others 11%

  • PDF

지역단위 고혈압사업에 있어서 환자의 치료순응도와 결정요인 (Patient Compliance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Community-based Hypertension Control Program)

  • 김지;민경복;권순호;한달선;배상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2호
    • /
    • pp.215-227
    • /
    • 1999
  • Objectives: To investigate compliance of hypertension patients using modified Theory of Reasoned Action(TRA).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or 7-12 April 1997, by interviewing 190 Hypertension patients in Hwachon, Kangwon-do. The analytical techniques employed include contingency table analysis and logit analysis. Results: 15.1% of patients were unaware of the fact that he/she has hypertension and 11.2% did not know that he/she should take drug. 20.8% of patients took drug continuously, 20.1% had drug intermittently, and 53.1% had never have treatment. In the contingency table analysis, several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patient compliance. They included variables for attitude towards the consequences of taking drugs, normative beliefs, systolic BP at the enrollment, knowledge of how to take hypertensive drugs, variables for general health behavior and experience with having health worker's home visit. The logit analysis was performed by two steps. first step uses experience with drug treatment of hypertens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econd step uses continuity of treatment. Included in the predictors tha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former analysis are subjected norms produced by combining normative beliefs and motivation to comply, knowledge of how to take hypertensive drugs, and opinion about natural recovery of diseases. The on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continuous treatment was knowledge of how to take hypertensive drugs. Conclusions: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e usefulness of TRA as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ompliance of hypertensive patients. The findings have some practical implication as well. One is that efforts for enhancing compliance should be directed not only patients but also to other persons influencing patient's attitude and behavior. It also suggest that correct understanding of hypertension treatment is essential to perform the appropriate patient role.

  • PDF

스마트워크 정책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Policy Framework for Smartwork : Task, Technology, Peopl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 이혜정;이정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145-164
    • /
    • 2012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업무 수행과 근로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재택근무, 원격근무, 유연근무와 같은 다양한 근무 제도들이 고안되어 운영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제도들을 포괄하는 스마트워크의 개념이 각광받으며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스마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서 그 정의가 연구마다 상이하여 정립되어 있지 않고, 이와 관계된 변수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5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스마트워크 관련 학술 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문헌 분석(Systematic Literature Review)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들에서 제시되고 있는 변수들을 취합하여 이론적인 정책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는 업무(Task), 기술(Technology), 개인(People), 조직 구조(Organization Structure), 그리고 관리 수단(Managerial Levers)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클러스터링이 되었으며 간간이 나타난 사회적 차원의 변수들은 별도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향후 스마트워크의 심층 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실증 분석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발전기의 전자기장 분포 특성에 따른 작업자 노출공간 분석 (Analysis of Worker Exposure Space according to Distribution of Electromagnetic Field of Generator)

  • 성민영;김두현;김승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0-28
    • /
    • 2021
  • With an increase in the commercialization of electricity,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and large electric devices and various wireless radio wave services, concerns over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on human health have increased. Accordingl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encourage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by establishing the 'International Electromagnetic Fields Project' in 1996 based on studies on the harmful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on the human body. Moreover,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classified electromagnetic fields as possible carcinogens under Group 2B category, even though they have been found to have a weak correlation with those effects on human health. Mid-to-large-sized electric facilities used at industrial sites mostly adopt a commercial frequency of 60 Hz, and workers handling these facilities are exposed to such extremely low frequency (ELF) fields for a long time.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at exposure to ELF electromagnetic fields with frequency ranges from 0 to 300 Hz, even for a short time, at densities higher than 100 μT may have harmful effects on human body as it affects the activation of nerve cell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by inducing an electric field and current and stimulating muscles and the nervous system in the body. Such studies, however, focused on home appliances used by ordinary people, and research on facilities utilizing high-capacity current and operated by workers at industrial sites is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a 3000 kilowatt generator, which is a high-capacity electric facility employed at industrial sites, was investigated, and the size of the magnetic fields generated during its no-load and high-load operations per distance to produce a map was measured to reveal spots deemed hazardous according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osure standar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alleviate workers' anxiety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magnetic fields on their body and to minimize the level of exposure during operations.

안전의복 착용자의 동작분석에 의한 재귀반사 소재 위치의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Suitability of Retroreflective Material Locations by Motion Analysis of the Wearer of Safety Clothing)

  • 박순자;타나베 사토코;사토 마리코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93-503
    • /
    • 2023
  • Since ISO 20471 regulations(2013) were enacted, high-visibility clothing made of fluorescent fabric and retroreflective materials has been standardized to distinguish the wearers from the surrounding background in a dark place and to protect them. Accordingly, we made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examined the positions of the retro-reflective materials on the attached site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positions, by 3 types of safety clothing and the body regions when the wearers work or move. Two retro-reflective films of 5cm-horizontal lines were attached to the front/back of the upper-wear, and the lower-wear. Vertical lines were attached from the shoulder to the horizontal waistline. To analyze the motion in 3-dimension, we took pictured infrared-reflective markers on the retro-reflective film covered with yellow-tape on the front-side when 6 subjects wearing experimental garments performed 6 types of motions.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the motions were performed for 30 seconds and repeated 6 motions ①~⑥ by 3 experimental clothing. Among the 6 mo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rate of the markers by body region during the motions were found in 5 types except for motion ③.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post-hoc test were shown in motions ④ and ⑥ as well. Therefore, for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it is necessary to anticipate the worker's motion and consider the attaching position of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attach the retro-reflective materials to several places where the clothing is hard to wrinkle.

방문요양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통증 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actors that Induce Musculoskeletal Symptoms in Care Workers Who Offer Visiting Home-Help Services)

  • 김덕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2-360
    • /
    • 2017
  • Obj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요양 요양보호사들의 세부업무 영역별 특성이 근골격계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요양보호사들의 근골격계통증을 경감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본 연구는 P시에 위치한 C, K 재가센터 소속 요양보호사 1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에게 근골격계통증척도와 요양보호사의 세부업무에 대한 작업부담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한 후,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Results: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통증 자각증상 정도를 보면, 허리통증과 어깨통증의 수치가 가장 높았다. 세부업무 영역별 특성이 근골격계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신체수발영역의 '식사수발하기, 이동지원하기, 목욕지원하기, 체위변경하기, 건강관리영역의 '물리치료보조하기, 욕창관리하기', 시설환경 관리영역의 '청소 및 세탁물관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 요양보호사들은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들을 이동시키거나 체위를 변경하는 동작 등 신체적으로 무리가 가중되는 환자의 비율이 높아 신체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허리와, 어깨의 통증을 일으킬 우려가 매우 높다. 이에, 요양보호사들에게 통증이 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위의 과부하를 줄여줄 수 있는 인체역학적 자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위험한 업무에 대해서는 장비 및 인력의 지원이 제공 되어야 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다각적 차원의 사회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 '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A Study on the Concept and Improvement Plan of Long-Term Care Service Quality -The Voice of Service Field for 'Good Care'-)

  • 석재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221-249
    • /
    • 2014
  • 이 논문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서비스 목표라 할 수 있는 '좋은 돌봄'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구성요소를 찾아내며, 좋은 돌봄을 산출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해 탐색했다. 또한 서비스 질을 어떻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질 확보전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돌봄의 근원적 속성을 탐구한 선행 문헌들을 검토하고 지난 5년간 서비스 제공 경험에서 축적된 서비스 현장의 지혜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담아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좋은 돌봄'은 개개인의 총체적 삶의 질(total quality life)이 가능한 최대로 보장될 수 있도록 단순히 신체적 기능적 욕구 충족만이 아니라 진정한 관심이 결합되어야 한다. 좋은 돌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좋은 돌봄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 관계가 시장규범에 훼손되지 않고, 상호신뢰 및 존중과 진정한 소통으로 돌봄수급자 욕구를 중심에 둔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평가체계는 전면적인 상대평가보다는 시설서비스의 핵심적 질에 대하여는 기관규모별 절대기준 인증체계를 마련하고, 인증기준 이상 부분은 기관마다 자율적으로 특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문 재가서비스 평가는 이용자 만족도, 돌봄종사자 만족도, 재가서비스기관의 사례관리체계 등이 평가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 PDF

질산 화학사고 사례분석 및 독성피해 영향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of Nitric acid chemical accident and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 이현승;신창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88-49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질산화학사고를 바탕으로 사업장, 실험실, 병원, 용기파손, 화학물질 오 주입으로 이상반응으로 인한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여러 사례들을 바탕으로 질산의 위험성과 화학사고 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안전성에 대한 사례검토를 통해서 5년간의(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질산 화학사고 사례 대상으로 각 연도별, 사고현황, 사고유형, 사고원인, 사고 장소 등의 사례를 분석하여 안전교육과 질산화학사고 발생 시 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6건의 질산 화학사고가 조사되었으며, 그중 16건의 작업자 부주의사고가 발생하였고, 8건의 운송사고와 12건의 시설괸리 부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질산화학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CARIS를 활용한 독성영향범위를 최악에 시나리오를 산정하여, 피해영향범위를 통해서 효과적인 사고대응 범위를 측정하였고, 질산화학사고 초기대응방법과 사고예방을 위해서 안전교육 강화와 비상조치계획과 상관관계식을 바탕으로 영향범위를 예측하여, 정량화된 자료를 파악하였다. 또한 주민대피 선정이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상관관계식을 바탕으로 영향범위의 신뢰성을 검토하고, 실제 사업장 사고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사고 시 비상상황에 사고대응 효과와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