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ines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의 색동과 이탈리아 미래주의 복식의 색채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lor comparison of Korean Saek-dong and Italian Futurist Fashion)

  • 이금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33-53
    • /
    • 2003
  • A Study on the color comparison of Korean Saek-dong and Italian futurist fashion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color scheme and its characteristics as a product of living culture are strongly reflected in clothing.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lor comparison of Korean Saek-dong which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nd Italian futurist fashion which showed dynamic characteristics and brilliant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rnal format, emotions,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colors in Korean Saek-dong and Futurist fashion, and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are harmony of vivid colors like a rainbow, no-use of black color and expression of rhythm through repeated geometrical shapes. They have been used as festive costumes and have implied meaning of happiness and pleasure. The differences, in the external formats, are as follows. Korean Saek-dong has striped patterns including the color white, and has regular distances among the stripes. But, Futurist fashion includes luminous or fluorescent colors and metallic colors. In addition, it has repeated motifs of geometrical shapes and geometrically divided areas. While Saek-dong expresses Sangsaeng through the conceptual use of color, Futurist fashion shows simultaneity, speed and dynamics through spiritual functions of crossing and inter-penetration. In emotional aspect, Saek-dong expresses pleasure of children's mind and Futurist fashion expresses pleasure of city. In functional aspect, Saek-dons expresses a concept of ceremonial beauty, which is spiritual and symbolizes good auspices, holiness and sorcery. So it is used for ceremonial costume. But, Futurist fashion reflects the harmony of colors created from modem and urban images and shows the willingness and emotion of solving futuristic avant-garde, modernity, dynamics, transformation and bellicosity. So it is used for daywear. While Saek-dong represents succession of tradition, Futurist fashion represents resistance of tradition in cultural aspects.

신라왕경의 도시상징성 연구 - 토속신앙 관점에서 본 경관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Symbolism of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Focused on primitive religion and it's affects on the Matter and Form-)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5-72
    • /
    • 1999
  •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the various symbolic meanings and functions of landscape elements which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contains, and what is the symbolism and identity of the city. Basically, this research took the thought of the place and the theory of cognition on landscape as a research tool, and undertook the process of surveying the physical surroundings of the city such as mountains, forests, tumuluses, mountain fortress walls, etc. Especially, the study referenced to a myth, thought, and a tale related to them of the surroundings. The research scope in time had been reached to the year of BC 57 which is beginning year of Shilla Dynasty form AC 467 which is year of introduction of new urban block system delivered from Dang Dynasty of ancient China.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symbolic meanings of mountains and forests which is surrounding the Shilla capital from 4 directions of east, west, south and north. Namely, it was the places that the king of the kingdom of Shilla decent into the earth from the heaven. Also, the tumuluses which are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capital imitated the surrounding mountains in forms, meaned the place that the dead king rised to heaven. All of these symbolized the Capital City of Dynasty as a sacred city which linked the heaven to earth, and earth to heaven.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he Kyongju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historic and tourist city in Korea should reflect this kind of symbolic meaning of ancient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in case of arranging the urban identity plan to promote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of Kyongju.

  • PDF

20세기 서구 남성 수염 스타일의 상징적 가치 (The Symbolistic Values of Western Beards' Style in the Twentieth Century)

  • 장미숙;이화순;이연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ymbolistic values of western beards' style in the twentieth century. Namely, it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cultural factors and aesthetic meanings of western beards' style. The contents are, firstly, studying the conception and the types of beard. A beard is the hair that grows on a person's chin, cheeks, neck, and the area above the upper lip. At the World Beard & Moustache Championships, there are moustache category (natural, english, hungarian, dali, fu manchu, freestyle), beard category (natural, musketeer, goatee, sideburns, freestyle), and full beard category (natural, garibaldi, verdi, van dyck, freestyle), Secondly, this paper is continued by researching the history of beard from the ancient to the present day, and thirdly, analyzing political dictatorship, social resistance and expression of personality, religious dignity, related with the change of world situation, the formation of postmodern anti-culture and pop-culture, and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culture. There are long and bushy full beards in some religions like Hinduism, Judaism and Islam. The meanings of their beards are purity, life and holiness. The beards of some politicians symbolize dictatorship. Namely, the chaplin of Hitler, the moustache of Hussein and the musketeer of Castro express strong power and charisma. In 1950s'-70s' subcultures, Hipsters' goatee, Bikers' horseshoe, Beat generations' goatee and Hippies' natural represent the lack of adaptability and social resistance. Also, the celebrities and artists like Ronald Colman, Clark Gable, Don Johnson, George Clooney, and Salvador Dali express freedom, personality, and taste with beards. For that matter, the symbolistic values of beards' style in the twentieth century are the religious dignity, the political dictatorship, the social resistance and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Today the beards' style is one of fashion items as well as a symbol of masculinity, customs and classes.

보라색의 유래 및 이미지의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and the images of violet)

  • 김은경;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225-234
    • /
    • 1996
  • 본 연구는 최초의 합성염료인 보라색을 중심으로 보라색의 유래 및 이미지를 고찰하고 그 이미지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서,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보라색의 종합적인 색채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 이름의 특성에 의한 고찰 결과, 보라색은 퍼플, 바이올렛, 모브, 마젠타 순의 색 명으로 사용되어왔으며, 어두운 붉은 보라계열에서 합성염료의 개발에 의한 밝은 보라계열까지로 확대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2)보라색은 색채 표현적 특성상 심리적, 상징적, 감성적으로 양극단의 성격을 지닌 빨강과 파랑이 혼합되어 양면적인 속성을 지닌 중성 색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긍정적인 이미지는 고귀한·신성한·신비한·수면·진정·관능적·여성적, 향기로운 이미지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부정적인 이미지는 연약함·슬픔·우울, 죽음(왕가의 상복), 타락한 힘의 상징, 미신 등의 이미지로 분류될 수 있었다.

  • PDF

초연결성 사회에서의 기독교교육 방향 모색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Age of hyper connectivity Society)

  • 정하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1권
    • /
    • pp.371-399
    • /
    • 2022
  •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는 각 분야와 영역의 경계와 한계가 사라지고 서로 유기적으로 융합되고 공유되는 초연결성의 시대이다. 초연결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은 거룩과 세속, 교회와 세상, 영혼과 육체, 신앙과 삶, 인간과 자연 등 다양한 구분과 단절로 삶의 방향을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초연결성 사회에서는 단절로 인한 분열과 갈등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과 세상이 서로 연결되고 연대함을 통해 하나님나라를 구현해야 한다. 이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연결성 시대의 특성과 초연결성의 핵심인 연대성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연대성의 신학적 의미는 인간과 자연과 세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초연결성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모색한바 첫째, 시대와 세대의 흐름을 인식하되 절대적 가치를 따를 것 둘째, 페리코레시스적 존재양식을 가진 호모커넥투스의 신앙적 인간이해를 할 것 셋째, 연대적 관계성 속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정의와 평화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교육을 할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풍물굿 채굿 가락의 형성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nciple of Making-Music of the Chaegut ("Stroke Music") in Farmers' Band Music)

  • 이용식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669-700
    • /
    • 2019
  • 풍물굿은 신성한 종교의식이고, 이는 인간이 절대적인 존재에게 바치는 신성한 행사이다. 종교의식에는 공동체 집단의식으로서 제의적인 행동이 수반되고, 음악은 그 중 가장 핵심적인 제의적 요소이다. 즉, 종교와 종교의식은 인간이 만든 것이다. 풍물굿 가락은 풍물굿의 종교성과 신성성을 소리로 구현하는 종교적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풍물굿 가락은 인간의 제의성을 발현하는 음악적 상징을 갖기도 한다. 풍물굿의 채굿은 한 가락에 쳐지는 징의 점수에 따라 가락 이름을 부여한다. 즉, 가락 이름이라는 기표(記標)와 가락이라는 기의(記意)를 직접적으로 지칭하는 음악적 기호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그러므로 채굿은 인간이 '만든' 인위적인 가락이다. 이글에서는 채굿의 형성원리를 규명하여 채굿의 제의적 상징성을 밝히고자 한다. 채굿은 삼채~칠채가 기본이다. 그 원리는 조선시대 군사 훈련의 기본진법인 오방진법(五方陳法)의 '고진금퇴가(鼓進金退歌)'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조선 초기 간행된 각종 병서에서 진법의 기본원리가 된 오방진법은 북과 징의 '오타(五打)'의 원리에 의해 작동한다. 북과 징의 '오타' 원리는 진법 계획을 반영한 것이다. 그리고 '오타'의 구조원리가 채굿 형성의 토대가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채굿의 원형"으로 꼽히는 곡성죽동농악의 삼채~칠채는 기본형인 삼채 가락에 3소박 2장단 가락이 하나씩 더해지면서 다섯 개의 가락인 사채~칠채 가락을 만든다. 삼채 가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3소박 4박 장단에 징을 제1, 2, 3박에 3점 치는 가락이다. 삼채 가락은 징을 3점 쳐서 '리듬적 요란함(rhythmic noise)'을 통한 규정된 일탈을 통해 제의성을 담지한 가락이다. 그리고, 징 3점에 따라 이름을 붙여서 '삼채 '라는 기표와 삼채 가락이라는 기의가 일치하는 상징성을 갖게 된다. 징 3점의 '삼채' 가락을 기본으로 3소박 2박씩 징이 1점 들어가는 가락을 더해서 사채~칠채 가락이 완성된다. 즉, 삼채~칠채 가락은 오방진법의 '오타' 구조원리가 반영된 것이다. 여기에 오래되고 제의성을 담보한 혼소박 4박의 일채 가락이 더해지고, 일채와 삼채 가락의 다리 역할을 위하여 징을 2점 치는 이채 가락이 더해진다. 이것이 채굿의 형성원리이다. 오채질굿은 징 5점의 '오채'와 제의적 가락인 '질굿(길굿)'이 혼합된 것이다. 오채질굿은 5장단으로 구성된 가락으로서, 각 장단의 매 첫 박에 징 1점이 들어가는 가락이다. 이는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흔히 발견되는 콜로토믹(colotomic) 음악형식의 반영으로서, 조선 초기 각종 음악에서 나타나는 '고요편쌍(鼓搖鞭雙)' 장구형의 흔적이기도 하다. 길군악칠채도 징 7점의 '칠채'와 제의적 가락인 '길군악(길굿)'이 혼합된 것이다. 길군악칠채는 3장 형식으로서 경기 지역의 평시조 및 <노랫가락>과 음악적 특징을 공유한다. 결국 채굿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가락이다. 채굿은 징점에 의한 가락의 이름이라는 기표와 음악적 가락이라는 기의가 일치하게 만들어진 가락이다. 그러므로 채굿은 종교적 제의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고도의 음악만들기(music-making)의 원리로 만든 가락이다.

신라왕경의 경관형식과 공간 범역의 해석 -경주시 용강동 원지 발굴을 중심으로- (An Interpretation on Landscape Forms and Spatial Scope of the Capital City of Silla Dynasty -Some Clues From Excavation of Yonggang-Dong Pond Site of Gyongju-)

  • 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8-7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spatial scope and landscape structure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We have tried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e location and landscape form of the Yonggang-Dong pond site which was assumed a part of a king's place, and had the important implicitness in delineating the spatial scope of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The research took the theory of landscape cognition as a tool, and processed with the book review relat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It has been almost conformed that the Yonggang-Dong Pond Site was a part of the North Palace of Shilla Dynasty, and it took the form of fully enclosed by the forest, such as the names of Imjungsu and Gosungsu, and so on. This fact has leaded to the special landscape form of 'Forest with Palace' that is an similar pattern of Forest with Tumulus, Forest having Well, Forest having Well, Forest having Mountain. Each of them is symbolizing the place of holiness in the Shilla Dynasty. 2) The Yonggang-Dong Pond site and its surrounding forests made them together be the north border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This fact made it possible to consider the form of landscape of the Najung Forest with Posugjung Pavilion as the same on which was on the southern border of the city. 3) The above mentioned facts lead to clues that the border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does mean that it was not the mere functional one, but symbolic one.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patial scope of the capital city of Shilla Dynasty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rea of block system, but also the surrounding natural area of mountains, forests, and so on, including the artificial elements of palace and pavilion. 4) This type of borders with the natural elements show basically the different type and function. We could find out some examples from China's and Japan under the same block systems and in the same era. It should be more identifiable in the form and the meaning of landscape of the capital city of Silla Dynasty in ancient Korea.

  • PDF

『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에 나타난 운명의 파이도필리아 (Pedophilia of Destiny in Memoirs of Hadrian of Marguerite Yourcenar)

  • 박선아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77-100
    • /
    • 2017
  • "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은 고대 로마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개인사와 그의 내면에 초점을 맞춘 유르스나르의 대표적 역사소설이다. 특히 본 연구는 하드리아누스와 안티노우스의 사랑 이야기에 주목하고, 이들의 사랑이 지닌 특이성을 고대 그리스의 동성애 문화, 특히 파이도필리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나이 어린 소년(에로메노스)이 성장하여 자기 차례가 되어 에라스테스라는 성인 남성의 자리에 오르는 순환적 파이도필리아가 진행되는 점을 포착하여 안티노우스의 비극적 죽음의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나아가 본 연구는 사랑의 실패를 경험한 후 안티노우스를 자기 방식으로 복원하려는 황제의 노력을 전체성을 향한 사랑으로 정의하였다. 그리하여 두 인물이 비극적 운명의 파이도필리아에서 한 몸이 되어 양성동체 신화로 옮겨가는 신화화의 과정으로 보았다. 우리는 이 고대신화를, 사랑과 쾌락을 자의적으로 구분하고, 냉정함과 무관심으로 계산된 애정을 조화라고 믿었던 황제의 파이도필리아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유르스나르가 작품에 담고자 하는 의도가 동성이든 이성이든 인간들의 관능적 사랑에 담겨야 할 공감적 사랑, 특히 성스러움과 숭고함의 가치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신에 가까운 권력자가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고 사랑받는 순간에 간직해야 할 예지의 중요성도 이해해 보았다.

증산 순례길 제언 (A Proposal of Jeungsan Pilgrimage Way)

  • 김진영
    • 대순사상논총
    • /
    • 제31집
    • /
    • pp.131-163
    • /
    • 2018
  • 순례는 거의 모든 주요 종교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전통적으로 외적으로는 성스러운 장소로, 내적으로는 정신적인 목적과 내적 이해를 위한 종교적 여행으로 정의되어왔다. 하지만 오늘날 순례와 종교 관습 간의 관계는 추상적 차원의 거의 모든 종류의 여행, 심지어는 연차휴가와 같이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여행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다시 말해, 현대의 순례자들은 많은 다양한 이유로 여행을 시작하므로, 순례는 사실상 역사적인 성소에 신앙을 목적으로 한 방문으로 그 의미를 제한할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순례를 관광의 일부로 간주하려는 시각이 문화콘텐츠나 관광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실용학문 분야에서 대두하고 있다. 순례를 종교적 제의로서가 아니라 종교관광으로 분류하려는 시도가 빈번한데, 그것은 산업적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시장이기 때문이다. 순례를 경제적 가치의 측면에서 바라보려는 시각은 결과적으로 종교를 세속주의(secularism)의 조류 속에 포함하는 행위이며 한국에서 걷기 열풍을 타고 유행처럼 번져가는 '길'의 경험과 순례를 동일 선상에 놓음으로써 순례길의 경험이 던져주는 종교성(religiosity)을 포함한 고귀한 인간 정신은 자칫 길을 잃을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순례의 내적 의미를 추구하고 변화와 개인적 성장을 희망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정신의 이동 통로이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대순진리회의 지고신인 강증산의 순례길 개발을 제언하고자 한다. 증산 순례길은 단순히 장소의 성스러움을 만나기 위한 여행으로, 그리고 종교적 기억과 회상의 공간으로만 한정할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성지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거나 분류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 예배에서 '이야기식 설교'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Sermon as Narrative art form in Children's Worship)

  • 김은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147-164
    • /
    • 2022
  • 연구 목적 : 본 논문은 어린이 예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야기식 설교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식 설교가 지니고 있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이야기는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교육방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최근의 종교교육 논의에서 이야기는 시각적인 미디어와는 반대로 아이들만의 고유한 판타지를 자극한다는 의미에서, 그리고 얼굴과 얼굴을 맞댄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상에 대한 우리의 가장 근원적이고 열정적인 지향은 이야기에 의해 빚어진다. 이야기는 우리에게 감동을 주어 마음을 움직이고 그에 따라 행동하도록 우리의 무의식을 형성해 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공급해주는 주체는 다양한 대중 매체와 소비문화이다. 그것이 전해주는 이야기는 세속적 세계관을 주입하고 하나님 나라와 전혀 다른 세상을 꿈꾸도록 한다. 우리 아이들에게는 하나님 나라를 상상할 수 있는 이야기가 필요하다. 어린이 예배에서 설교의 한 형태로서 이야기식 설교는 아이들에게 생생하게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어린이 예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야기식 설교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식 설교가 지니고 있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고자 한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우선 이야기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과 성경을 이야기로 접근한 문학 비평의 입장에 따라 성경을 이야기로 다룰 것이다. 두 번째는 이야기식 설교에 대해 다룰 것이다. 우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야기식 설교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식 설교를 다룰 것이다. 두 개의 이야기식 설교는 따로 구분돼 있다기 보다는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다는 의미에서 구분하여 다룰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야기식 설교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낼 것이다. 결론 및 제언 : 본 논문은 현재 어린이 예배에서 행해지고 있는 설교가 보다 더 이야기식 설교에 초점이 맞추어지길 기대하면서 거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다루었다. 이야기식 설교를 통하여 아이들에게 참여적 배움의 길이 열리며 하나님과 자아와 타자에 대한 종교적 언어를 획득함으로 신앙의 성장에 도움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