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6초

표본표준편차의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 Analysis of Sample Standard Deviation)

  • 이경화;신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45-459
    • /
    • 2005
  • 제 7차 교육과정의 '수학 I '과 '확률과 통계'에서는 표본표준편차가 수학적으로 각기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학교 수학에서 표본표준편차를 정의하는 문제는 표본 표준편차가 갖는 통계적 의미의 분석과 더불어 학교 수학 내에서 모평균의 추정과 관련하여 표본표준편차가 갖는 수학적, 교수학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함께 필요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가르칠 지식으로서 표본표준편차와 관련된 몇 가지 이슈를 모평균의 추정과 관련하여 실제 교수 상황과 교육과정의 전개방식을 통해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학문적 지식으로서 표본표준편차의 특성을 일반통계학 교재들을 분석함으로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본과 미국, 영국 교과서에서 택한 표본 표준편차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우리 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의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 Using Topic Modeling)

  • 김성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07-615
    • /
    • 2020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산업수학과 관련한 논문들의 연구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로 1970년부터 2019년까지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 총 4910편 논문의 제목, 초록, 주제어를 수집하였으며, LDA 알고리즘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coherence score 분석 결과, 토픽의 최적 개수는 20개로 결정하였으며, 핵심 연구 주제들은 Gibbs 샘플링 방법을 기반으로 추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석학과 대수학을 중심으로 계산수학, 기하학, 수학적 모델링, 위상수학, 이산수학, 확률 및 통계학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산업수학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대별 연구 주제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상승하는 연구 주제는 수리생물학, 비선형편미분방정식, 이산수학, 통계학, 위상수학으로, 하강하는 연구 주제는 확률론만 나타났다. 셋째, 2015개정 수학교육과정에서 반영되지 않은 분야 중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 기수법, 행렬, 공간벡터, 복소수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산업수학 활성화 방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원용삼방호구(圓容三方互求)의 수학교육적 활용 (Utilizing 'Wonyongsambanghogu' in mathematics education)

  • 양성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13-327
    • /
    • 2014
  • Based on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history of mathematics and mathemtics education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for finding the cultural identity and values of our traditional mathematics, we refer to two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tilizing 'WonYongSamBangHoGu', the second theme of 'SanSulGwanGyeon' written by Lee Sang Hyuk. First, we present various cases of 'WonYongSamBangHoGu' constructed utilizing kind of mathematics learning software, GeoGebra by high school freshmen belonging to the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in Seoul Science Park. Second, We modernly reinterpret the questions contained in 'WonYongSamBangHoGu' and show several developed items using it.

동적기하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차곡선 최적화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utilizing the Quadratic Curve using the Dynamic Geometry Software)

  • 김정수;전보현;정영우;김부윤;이양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149-172
    • /
    • 2014
  • The problems of optimization address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re usually posed in real-life contexts. However, because of the instructional purposes, problems are artificially constructed to suit computation, rather than to reflect real-life problems. Those problems have thus limited use for teaching 'practicalities',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by utilizing 'GeoGebra', suggests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related to the quadratic curve, using the contour-line method which contemplates the quadratic curve changes successively. By considering more realistic situations to supplement the limit which deals only with numerical and algebraic approach, this attempt will help students to be aware of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and to develop interests in mathematics, as well as foster students'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across units. And this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a variety of math.

2009 개정 수학교육과정과 IBDP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 비교 연구 - 고등학교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Textbook Between 2009 Revised Curriculum and IB Diploma Program - The case of high school Algebra -)

  • 양현주;좌준수;최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391-421
    • /
    • 2015
  •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인터넷의 활성화 등을 통해 전 세계가 활발한 상호 교류를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회 변화의 결과 세계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에 따라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도 달라지고 있으며 우리의 교육도 국제교육 즉, 글로벌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수학교육의 측면에서도 우리나라의 인재들이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안에서 교육과정의 국제화를 현실화하는 방안의 하나인 국제 공인 교육과정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이하 IBDP로 표기)와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 중 중요한 부분인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IBDP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 중 수학 상급과정(Mathematics Higher Level: 이하 HL로 표기)단계를 선택하였으며 각 교과서에서 다루는 대수영역에 관한 내용의 범위 및 깊이, 문제의 수준 그리고 개념을 설명하는 방식이나 문제의 유형 및 교수-학습 방법 등을 분석하여 단원별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함수 내용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Function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 허난;안은경;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2호
    • /
    • pp.323-343
    • /
    • 2011
  • 2011 교육과정 개정 시안연구에서는 중학교 수준의 함수는 현실 세계의 상황을 이해하는 도구로서 초점을 맞추고, 중학교에서의 함수를 토대로 고등학교 함수에서 여러 영역을 통합하는 아이디어로서의 대응의 관점에서 정의된 형식화된 함수 개념으로 확장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에 국제적 표준 교육과정과도 발맞추기 위하여 다른 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독일에서의 함수 도입과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일의 여러 학교 형태 중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와 비슷한 학교 형태인 게잠트슐레(Gesamtschule, 종합학교)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교과서의 구조적인 부분인 체제와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독일 교과서에서는 함수 개념 도입과 내용 전개 방식, 그래프의 지도 방식 등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개정 교육 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에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n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45-160
    • /
    • 2012
  •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their initial perception with regar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during the teacher education period.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in relation to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a total of 265 prospective teachers from four institute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lection of content, and construction of curriculum as important for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However, they revealed relatively low levels of agreement agains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aterials,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On the ba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each element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is paper raises issues for discussion and includes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e Nature of a Method Course for Prospectiv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Kim, Seong-A;Lee, Sun H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235-254
    • /
    • 2020
  • Through this study, we aimed to capture the nature of a mathematics method course, called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a pedagogy course for teaching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aught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south eastern part of South Ko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 three junior students who took the methods course and a local high school math teacher with two professors. The research has three parts. First, we designed a method course to prepare the junior or senior students for a teaching practicum. The individual students gave a mini lecture about a secondary mathematical topic as a course requirement. Second, the three students watched a classroom video-clip of the high school teacher and analyzed his instruction before the actual classroom visits. Furthermore, by "Let's Learn" program for students, the course was associated with a local community through the students and so that they could visit the teacher's classroom three times to observe his math classroom teaching. The students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wn mini lectures and the actual math classroom teaching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what it entails to teach an actual math class. Third, the first author supervised the students' activities in the program including their report for it to bring out their findings to the class of the method course. We found out this method course provided the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various aspects of actual math lesson as well as learning theories about the pedagogy for teaching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e conclude that this course gives a model for the method course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고찰과 '고등학교 수학' 의 의사소통 코너 분석 (Not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corner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김향숙;이성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1-168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은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습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수학적 아이디어를 교환하는데 필수적인 활동이다.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여러 영역에서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수학' 18종 교과서에는 의사소통 문제를 다루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고, 실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수학 수업 시간에 어떤 과제를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할지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이렇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에서 본 논문은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수록된 의사소통 관련 코너의 내용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나아가 각 유형에 적절한 의사소통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차후에 개정될 교과서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코너 마련을 위한 정보 및 교사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학 수업을 안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과제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 김미희;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37-5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관련된 수학 교과서를 분석을 통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 과정을 지원하는 도구로서 수학과제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위해 선정된 2종의 고등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 포함된 수학과제가 학생들에게 어떠한 인지적 노력수준을 요구하고 있는지 수학과제 분석 결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수학 교과서가 포함하는 2565개의 수학과제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에게 낮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요구하는 과제가 94%의 비율로 나타났고, 높은 인지적 노력수준을 요구하는 과제가 6%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2종의 수학교과서가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주로 절차적 과정에 따라 정확한 답을 찾게 하는 수학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