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tachlor epoxid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7초

Heptachlor에 의한 호프식물 및 한삼덩굴의 생육시기별 약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ptachlor-caused Phytotoxicity at the Growing Stage of Hop and Hansam Vine)

  • 한대성;박창규;손철옥;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7
    • /
    • 1993
  • 본 연구는 토양에 처리한 Heptachlor (0.1ppm)와 Heptachlor epoxide (0.1ppm)가 Hop와 한삼덩굴에 미치는 약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토양과 식물체 내의 약제의 잔류량, 생육시기에 따른 약해의 경향, 광합성능, 그리고 chlorophyll 함량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eptachlor와 Heptachlor epoxide 0.1ppm 처리구에서 Hop의 생육조사 결과 Heptachlor 0.1ppm 처리구에서는 2차시기부터 지하부에서 심한 약해를 유발하였으며, 3차시기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공히 심한 생육 저해를 받았다. Heptachlor epoxide 0.1ppm 처리구에서는 2차시기부터 지상부, 지하부 모두 약해가 유발되었으며, 3차시기부터는 생육저해가 지속되었다. 공시약제간에는 Heptachlor epoxide 처리구가 Heptachlor 처리구에 비하여 지하부와 지상부 공히 심한 약해를 나타내었다. 2. Hop 및 한삼덩굴에서 Heptachlor 및 Heptachlor epoxide의 잔류량은 뿌리 > 줄기 > 잎의 순서이었으며, 공시식물의 각 생육시기별 잔류량도 뿌리 > 줄기 > 잎의 순서이었다. 공시식물의 각 생육시기별 잔류량은 2차시기에 가장 많았다. 공시약제 간에는 Heptachlor에 비하여 Heptachlor epoxide의 잔류량이 많았으며 공시식물간에는 2차시기 이후에 Hop보다 한삼당굴에서 더 많은 잔류를 보였지만 약해의 양상은 Hop에서 심하게 나타났다. 3. 광합성능에서 Hop는 heptachlor 처리구에서 2차시기부터 저해가 나타났으며, Heptachlor epoxide처리구의 경우 1차 및 2차시기에서도 광합성능이 저조했으며, 3차시기에서는 심한 저해를 나타냈다. 그러나 한삼덩굴의 경우 공시약제간, 생육시기별 광합성능의 저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Cholorophyll의 함량에 있어서는 Hop의 경우, 공시약제 처리구에서 생육실험이나 광합성능에서 처럼 현저한 차이는 없었고, 생육시기별 Chlorophyll의 함량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한삼덩굴의 경우, 공시약제간 Chlorophyll함량의 감소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생육시기별로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제주도(濟州道)의 밭토양(土壤) 및 채소류 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잔류(農藥殘留) (Organochlorine Insecticide Residues of Field Soils and Vegetables in Jeju Island)

  • 이규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55-160
    • /
    • 1981
  • 제주도의 중요한 채소재배지의 토양과 농작물에 대한 BHC제 및 heptachlor제의 잔류수준을 1979.10-1980.11. 사이에 조사하였다. 토양중에서의 ${\alpha}-BHC$는 n.d-0.967ppm(평균 : 0.391ppm), ${\gamma}-BHC$는 n.d-0.590ppm(평균 : 0.218ppm), heptachlor는 n.d-0.819ppm(평균 : 0.163ppm), 그리고 heptachlor epoxide는 n.d-0.256ppm(평균 : 0.034 ppm) 잔류하였으며 채소작물중 배추의 평균잔류량은 ${\alpha}-BHC$ 0.002ppm, ${\gamma}-BHC$ 0.001ppm, heptachlor 0.002ppm, heptachlor epoxide, 0.001 ppm이며, 당근의 경우에는 ${\gamma}-BHC$ 0.004ppm, ${\alpha}-BHC$ 0.012ppm, heptachlor 0.003ppm, heptachlor epoxide 0.011ppm이었으며 마늘에는 ${\alpha}-BHC$ 0.014ppm, ${\gamma}-BHC$ 0.007ppm, heptachlor 0.002ppm 그리고 heptachlor epoxide는 trace로 나타났다.

  • PDF

남해안산(南海岸産) 수산식품(水産食品) 중 유기염소계 잔류농약(殘留農藥)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urvey on the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ome Marine Foods from South Coast of Korea)

  • 이서래;강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9-224
    • /
    • 1976
  • 남해안일대(南海岸一帶)에서 1974년 9월에 수집한 패류(貝類), 해조류(海藻類), 저질토(底質土) 및 수질(水質)중의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패류(貝類)중 잔류농약은 산지(産地) 및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는 바 산지(産地)별로는 충무>여수>목포의 순으로, 패류(貝類)별로는 소라>바지락>홍합>백합>꼬막의 순으로, 농약별로는 aldrin> ${\alpha}-BHC$ > heptachlor > ${\gamma}-BHC$ > dieldrin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49\;{\mu}g/kg$ (육질(肉質) 생체중(生體重))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2) 완도산(莞島産) 해조류(海藻類)중 잔류농약은 미역>파래>김>의 순으로 그리고 ${\alpha}-BHC$ > ${\gamma}-BHC$ > aldrin > dieldrin > heptachlor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60\;{\mu}g/kg$(건물중(乾物重))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3) 수질(水質) 및 저질토(底質土)중의 잔류농약은 지역별로는 영산강> 낙동강>섬진강>충무양식장의 순으로 수질(水質)에서는 ${\alpha}-BHC$ > ${\gamma}-BHC$ > aldrin >heptachlor >dieldrin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180\;{\mu}g/kl$의 범위에 존재하였으며 저질토(底質土)에서는 ${\alpha}-BHC$ > ${\gamma}-BHC$ > aldrin > dieldrin > heptachlor > heptachlor epoxide > endrin의 순으로 $0.7-18\;{\mu}g/kg$(건물중(乾物重))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특히 영산강 및 낙동강 하류(下流)의 수질(水質)중 BHC함량(含量)은 미국에서의 환경기준치(環境基準値)를 훨신 상회(上廻)하였다.

  • PDF

광양만(光陽灣)의 수질(水質), 저질토(底質土) 및 백합(白蛤) 중 유기염소계(有機塩素系) 잔류농약(殘溜農藥)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urvey on the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Water, Mud and Clam Samples from the Kwangyang Bay, Korea)

  • 이서래;강순영;박창규;이정호;노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2호
    • /
    • pp.112-119
    • /
    • 1976
  • 광양만(光陽灣) 일대 특히 섬진강 하구(河口)에 위치한 양식장 주변에 있어서의 수질(水質), 저질토(底質土) 및 백합(白蛤) 중 유기염소계 농약잔류량을 1974년 5월부터 1975년 5월에 걸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질(水質) 중 잔류농약은 계절 및 위치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dieldrin> aldrin> ${\alpha}-BHC$> ${\gamma}-BHC$> endrin> heptachlor> heptachlor epoxide의 순서로 0.48 ng/L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2. 저질토(底質土) 중 잔류농약은 aldrin>dieldrin>${\alpha}-BHC$> ${\gamma}-BHC$> heptachlor> endrin> heptachlor epoxide의 순서로 $0-10\;{\mu}g/kg$ (풍건물)의 범위에 존재하였으며 상층토(上層土)보다 하층토(下層土)에 더 많았다. 3. 백합(白蛤) 중 잔류농약은 heptachlor>${\gamma}-BHC$>${\alpha}-BHC$> aldrin> heptachlor epoxide> dieldrin> endrin의 순서로 $0.1-18\;{\mu}g/kg$육질(肉質) 생체중(生體重)의 범위에 존재하였으며 3년생(年生)에서 최고치(最高値)에 달한 후 4년(年)째에는 급감(急減)하였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Non-Diabetic Adults

  • Park, Sun-Kyun;Son, Hyo-Kyung;Lee, Sung-Kook;Kang, Jung-Ho;Chang, Yoon-Seok;Jacobs, David R. Jr.;Lee, Duk-He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1호
    • /
    • pp.1-8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f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we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among non-diabetes. Methods: Among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 community-based health survey, 50 non-diabetic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50 normal controls were selected. Insulin resistance was measured by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Eight OCPs were selected. Result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except for body mass index (BMI), beta-hexachlorocyclohexane ($\beta$-HCH) and heptachlor epoxid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Odds ratios across tertiles of $\beta$-HCH and heptachlor epoxide were 1.0, 3.2 and 4.4, and 1.0, 4.0 and 6.0, respectively (p for trend = 0.01 and <0.01). After additional adjustment for body mass index (BMI), heptachlor epoxide still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adjusted odds ratios of 1.0, 4.1, and 4.6 (p for trend = 0.10). When the fiv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ith the definition of high fasting glucose ($\geq$ 100 mg/dL) were separately analyzed, all components were positively, but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ptachlor epoxide. As the serum concentration of heptachlor epoxide increased, HOMA-IR increased significantly in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even after adjusting for BMI (p value <0.05 and <0.01). Conclusions: Despite the small sample siz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ckground exposure to some OCPs may b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殺蟲劑)의 잔류분(殘留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1. 시판채소중(市販菜蔬中) Heptachlor 잔류분(殘留分)에 관(關)하여 - (Studies on the Residues of Chlorinated Organic Insecticides - I. Heptachlor Residues in or on Commercial Vegetables -)

  • 박창규;유재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7-17
    • /
    • 1972
  • 전국(全國) 12도시(都市)의 15개(個) 시장(市場)에서 수집(蒐集)한 감자, 무우, 배추와 기타(其他) 10종(種)의 채소등(菜蔬等) 총(總) 151점(點)의 객관적(客觀的) 시료(試料)에 대(對)한 Heptachlor잔류분(殘留分)의 수준(水準)을 gas chromatograph로 분석(分析)하였다. Heptachlor 및 Heptachlor epoxide의 분석감도(分析感度)는 0.001 p.p.m. 였고, 식품중(食品中) 양(兩) 잔류성분(殘留成分)의 화(和)를 Heptachlor잔류분(殘留分)(p.p.m.)으로 하였다. 공시채소(供試菜蔬)의 Heptachlor오염(汚染)이 광범(廣範)한데 반(反)하여, 전체적(全體的)인 Heptachlor 잔류분(殘留分)의 수준(水準)은 낮은 결과(結果)를 보여 주어, FAO/WHO의 합동전문위원회(合同專門委員會)가 권장한 식품중(食品中) Heptachlor잔류허용한계(殘留許容限界)에 훨씬 미달(未達)하였다.

  • PDF

대기중 난분해성 유기염소계 농약의 계절별 농도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Atmosphere)

  • 정예표;최민규;여현구;천만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9-85
    • /
    • 2001
  • 경기도 안성시 한경대학교에서 1999년 7월부터 11월까지 2주간격으로 대기중 OCPs를 측정하였다. 현재도 사용중인 것으로 보고된 endosulfan I과 II의 농도가 오래 전에 사용 금지된 다른 OCPs와 대사물질의 농도보다 훨씬 높았다. 그리고 모화합물인 heptachlor보다는 대사물질인 heptachlor epoxide가 더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것은 이 성분이 사용된 지 상당히 되었지만, 환경중에서 독성이 강한 대사물질로 전환되어 잔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모든 OCPs는 가을보다 여름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온도가 높은 여름에 air-surface exchange과 관련된 휘발작용으로 농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낮은 가을에 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endosulfan I과 II는 온도의 영향뿐만 아니라 사용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Heptachlor 토양잔류가(土壤殘留) Hop 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제(第)1보(報) Heptachlor에 의(依)한 Hop 피해양상(被害樣相) (Studies on the Effect of Heptachlor Residues in Soil on the Growth of Hop ;I. Phytotoxic Symptom of Heptachlor Residues in Hop)

  • 박경열;이동우;박창규;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9-104
    • /
    • 1982
  • Hop근부(根腐)로 인(因)한 폐원(廢園)의 원인(原因)이 heptachlor잔류독성(殘留毒性)에 의한 피해(被害)인가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0년(年)부터 1981년(年)까지 3개지역(個地域) 9개(個) 농가(農家) 피해포장(被害圃場)의 현장조사(現場調査)와 heptachlor약해(藥害)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 발생(發生)된 hop근부(根腐) 양상(樣相)과 heptachlor 약해(藥害) 시험(試驗)에서 나타난 근부(根腐) 양상(樣相)이 일치(一致)되어 hop근부(根腐)에 의한 폐원(廢園)의 원인(原因)은 heptacholor 잔류독성(殘留毒性)의 피해(被害)임이 입증(立證)되었다. 2) 근부(根腐) 양상(樣相)은 heptachlor의 토양잔류량(土壤殘留量)이 적은 곳에서는 갈색반점(褐色斑點)으로 시작(始作)되어 부패(腐敗)되고, 잔류량(殘留量)이 많은 곳에서는 근수(根數)가 적고 비대(肥大)가 되지 않으며 갈변(褐變)하면서 고사(枯死)되었다. 3) 피해(被害) 만(蔓)의 생육(生育) 상태(狀態)는 만장(蔓長)이 짧아지고 측지수(側枝數)가 감소(減少)되며 만(蔓)의 유연성(柔軟性)이 없어 쉽게 절단(切斷)되었다. 4) Hop근부(根腐) 피해(被害)의 주물질(主物質)은 heptacholor epoxide로 추정(推定)되었으며, 토양중(土壤中) 잔류농도(殘留濃度)가 0.009 ppm에서도 피해(被害)가 심(甚)하였다. 5) heptacholor피해(被害)는 시용후(施用後) 10년(年)이 경과(經過)되어도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식물성(植物性) 기름 중 유기염소계(有機墮素系) 살충제(殺童劑)의 잔류량(殘留量) (Occurrence of Organochlorine Insecticides in Vegetable Oils Produced in Korea)

  • 이서래;강순영;김용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6-218
    • /
    • 1980
  • 국내산 식물성(植物性) 기름 중 유기염소계 살초제(殺楚劑)의 잔류량(殘留量)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도시에서 판매되는 1976년산 평지씨기름, 쌀겨기름, 참기름, 들기름 및 옥수수기름 43개 시료를 수집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류수준(殘留水準)은 농약의 성분, 기름의 종류 및 생산지역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각 잔류성분(殘留成分)의 전체기름에 대한 평균치는 total BHC 0.010 ppm, heptachlor 0.008 ppm, heptachlor epoxide 0.004ppm, aldrin <0.001 ppm, dieldrin 0.006 ppm, endrin 0.008 ppm, DDT 0.028 ppm이었다.

  • PDF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존재하에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잔류분 분석 1. Florisil Column에 의한 농약과 PCBs의 분리 (Analysis of Organochlorine Pesticide, in the Presence of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I. Florisil Column Separation of the Pesticides-PCBs Mixture)

  • 박창규;이춘령;박노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1-227
    • /
    • 1977
  •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는 유기염소계 농약잔류성분의 GLC분석에 간섭하는 물질이다. 본 실험에서는 PCBs의 존재하에 대표적인 유기염소계 농약 및 이들의 주요대사물의 분석을 목저르오 Florisil column상에서 PCBs와 농약성분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활성화한 Florisil column에서 $\alpha-BHC,\; \gamma-BHC$, Heptachlor, epoxide, Dielerin, p.p'-DDD, p.p'-DDT와 Aroclor 1254는 완전히 그리고 정량적으로 분리하여 GLC로 분석할 수 있었다. Heptachlor와 Aldrin은 Aroclor와 함께 elution되나 Chromatogram 상에서 정량이 가능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용한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는 많은 시료를 대상으로 한 잔류농약의 효과적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