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1c1c7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1초

하고초 에탄올추출물이 유방암 예방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Thesium chinense Tunczaninov on Chemopreventive Enzymes of Breast Cancer)

  • 남경수;김한규;손윤희
    • 생약학회지
    • /
    • 제34권2호통권133호
    • /
    • pp.161-165
    • /
    • 2003
  • Ethanol extract from Thesium chinense Tunczaninov (TCTE) was tested for breast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by measuring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 - induced cytochrome P450 1A1 activity,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glutathione level. TCTE significantly inhibited cytochrome P45O 1A1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90 and 150 mg/ml. TCTE induced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 concentration range of 3-150 mg/ml. In addition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and glutathione level were increased with TCTE in cultured murine hepatoma Hepa1c1c7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CTE has breast cancer chemopreventive potential by inhibiting cytochrome P45O 1A1 activity, inducing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and increasing GSH level.

Effect of Ethanol extract isolated from Peacilomyces tenuipe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epa1c1c7 cell

  • Kim, Deok-Song;Seo, Eun-Sun;Lee, Kyung-Jin;Lee, Jong-Bi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76
    • /
    • 2003
  • Oxidative stress i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many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ging, and cancer. An important etiological mechanism of these diseases may b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oxidants and the generation of lipid hydroperoxides derived from enzymatic reactions or xenobiotic metabolism. (omitted)

  • PDF

참외 추출물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 김혜숙;구강모;서전규;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8-4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참외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나누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다양한 간암세포에서의 증식 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꼭지와 참외 줄기 잎 부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QR 유도활성이 증가하였고, $200{\mu}g/mL$ 농도에서는 각각 3.9, 1.5배의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사멸 활성 측정법을 통한 항암활성 평가 실험에서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인 Hepa1c1c7 세포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꼭지와 줄기 잎 부위에서 높은 암세포 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인체유래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유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농도별로 조사하였다. 꼭지와 줄기 잎 부위 모두 인체유래 간암 세포에 대해 증식 억제효과를 보여주었지만, 특히 꼭지 부위는 최고농도에서 60.3%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보다 인체유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참외의 꼭지 추출물에서 QR 유도활성과 항암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외 비가식 부위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들송이(Agrocybe cylindracea)와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을 배양한 대두추출물의 암예방 효과 (Chemopreventiv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Soybean Fermented with Basidiomycetes)

  • 김소연;손준호;하효철;이항우;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4-13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버들송이(Agrocybe cylindracea)와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의 암예방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상에서 암발생 억제물질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작 즉, Quinone reductase(QR), glutathione S-transerase(GST)의 활성 유도, glutathione(GSH)의 생성 촉진 그리고, polyamine 합성대사의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이 마우스 hepatoma Hepa1c1c7 cell 배양에서 QR과 GST 유도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GSH 생성량은 버들송이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에서 20%, 말똥진흙버섯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에서 40%로 증가하였다. 한편,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의 polyamine 합성대사의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Acanthamoeba castellanii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 20mg/3ml와 40mg/3ml를 처리할 경우 A. castellanii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담자균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은 in vitro상에서 나타난 암과 관련된 각종 활성으로부터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국산 검정콩 색소의 생리활성효과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 손준호
    • 좋은식품
    • /
    • 통권169호
    • /
    • pp.104-115
    • /
    • 2002
  • 한국산 검정콩의 종피색소를 1$\%$ HCL 용액으로 4$^{\circ}C$에서 24시간 추출하여0.45$\mu$m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Sep-pak plus $C_{18}$ cartridge를 통과시켜 흡착된 색소성분을 메탄올로 용출시켜 30$^{\circ}C$에서 농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정콩 세 가지 품종의 조색소액의 생리활성 효과를 살펴본 결과 고혈압에 관여하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는 검정콩 1호, 일품검정콩 및 밀양 95호에서의 $IC_{50}$는 각각 0.22, 0.28, 0.38mg/mL로 나타나 검정콩 1호가 가장 우수하였다. 통풍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실험에서의 $IC_{50}$이 각각 0.118, 0.165, 0.163mg/mL로 나타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실험에서와 동일하게 검정콩 1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효과를 살펴본 결과 $cPLA_2$를 50$\%$ 저해하는 $IC_{50}$값이 19.7, 10.7, 25.3$\mu$g/mL로 나타났으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실험한 결과 각각의 시료 중 밀양 95호가 0.5mg/mL의 농도에서 사람 유래의 결장암 세포주인 HT-29 및 사람과 마우스 유래의 간암 세포주인 HepG2와 Hepa에 대하여 각각 66.0$\%$, 58.2$\%$, 64.4$\%$의 억제능을 보여 시료 중 구성된 검정콩 1호보다는 여러 색소 성분이 공존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여러 가지 가능성을 가지는 색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체유암세포주 MCF-7의 형태변화와 증식에 영향을 주는 항암활성물질, MCH-201 (Antitumoral Compound , MCH-201 , an Effector on Proliferation and Morphology of Human Breast Tumor Cell Line, MCF-7)

  • 김항섭;김세은;김영호;이성우;오구택;김환묵;이정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6-321
    • /
    • 1993
  • MCH-201 was isolated from the mycelium of Streptomyces sp. Ba16 as a potent effector on proliferation and morphology of human breast tumor cell line, MCF-7. Morphological change could be observed at concentration between 2.5${\mu}$g/ml and 250pg/ml and showed cytotoxic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more than 5${\mu}$g/ml. This compound also showed inhibitory effect on DNA synthesis of hepatoma cells, Hepa 1c1c7, and strong cytotoxic effect on prolifer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A549 and XF498.

  • PDF

Valproic acid에 의해 증가하는 PPAR-alpha 및 FGF21의 발현이 간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 (Valproic Acid-induced PPAR-alpha and FGF21 Expression Involves Survival Response in Hepatocytes)

  • 아자모프 바커부딘;강여원;이찬희;심완석;이광민;송박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27-235
    • /
    • 2024
  • 약물이나 허브 제품으로 인한 간세포 손상은 이러한 화합물을 만성적으로 투여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의 치료 과정 중 간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약물 적용에 있어 광범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Valproic acid (VPA)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발레르산에서 파생된 분지형 단사슬 지방산으로 뇌전증과 발작을 치료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VPA는 암, HIV 치료, 신경 퇴행성 질환에 수많은 효과를 발휘하지만, 간에 대한 VPA의 잠재적인 영향과 그 작용 메커니즘은 완전히 설명되지 않았다. 여기서, 우리는 VPA의 처리가 쥐 간세포(Hepa1c1c7)에서 PPAR 알파(PPAR-α)와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21(FGF21)의 전사 수준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VPA에 의해 유도된 FGF21 발현은 PPAR-α 결손 조건에서 상당히 억제되었다. 후속 실험에서 FGF21 신호 경로가 FGF 수용체 억제제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 간세포 생존력이 크게 억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AMPK 인산화가 VPA에 의해 유도된 PPAR-α 증가에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FGF21 발현의 증가가 VPA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이와 같은 결과는 FGF21의 증감 여부가 VPA 치료 중 나타날 수 있는 간 손상을 예측하는 잠재적인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창이자 및 꿀풀하고초에 의한 NAD(P)H:quinone reduct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의 유도 (Induction of NAD(P)H: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by Xanthii Fructus and Prunellae Spica Extracts)

  • 손윤희;이기택;박신화;조경희;임종국;남경수
    • 생약학회지
    • /
    • 제32권4호통권127호
    • /
    • pp.269-273
    • /
    • 2001
  • Ethanol extracts from Xanthii Fructus (XFE) and Prunellae Spica (PSE) were investigated for the effects on the induction of cancer chemoprevention-associated enzymes. The following effects were measured: (a)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QR) (b)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c) reduced glutathione (GSH) level. XFE and PSE were potent inducers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Hepa1c1c7 murine hepatoma cells. Glutathione levels were increased with XFE and PSE. In addition,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as increased with XFE. However, GST activity was not increased with P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XFE and PSE have chemopreventive potentials by inducing quinone reductase and increasing GSH levels.

  • PDF

황기(黃耆) 약침액(藥鍼液)의 Glutathione S-transferase 와 NAD(P)H: Quinone Reductase 유도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NAD(P)H:Quinone Reductase by Astragali Radix Aqua-acupuncture Solution)

  • 류준선;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21-26
    • /
    • 2001
  • 발암물질을 무독화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황기 약침액 및 열수추출액을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에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 황기 약침액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많은 QR 생성율을 보였으며, GSH 생성이 증가하였고, GST 생성 또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