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snowfall are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8초

영동지역 겨울철 강수와 연관된 산악효과와 해양효과 (Orographic and Ocean Effects Associated with a Heavy Snowfall Event over Yeongdong Region)

  • 조구희;권태영
    • 대기
    • /
    • 제22권1호
    • /
    • pp.57-71
    • /
    • 2012
  • Influences of orographic and ocean effect, which depend on the detailed geographic characteristics, upon winter time (December-February)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are investigated. Most of precipitation events in the Yeongdong region during the wintertime are associated with moist northeasterly (coming from the northeast direction) winds and al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shows a great difference between Mountain area (Daegwallyeong) and Coastal area (Gangneung). The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obtained from NCEP/NCAR Reanalysis Data and precipitation amount for each precipitation type is calculated. Mountain type precipitation is dominated by northeasterly wind speed of the low level (1000 hPa and 925 hPa) and characterized with more precipitation in mountain area than coastal area. However, Coastal type precipitation is affected by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ocean and atmosphere, and characterized with more precipitation in coastal area than mountain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mountain type precipit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wind speed at 1000 hPa (925 hPa) and precipitation amount at Daegwallyeong is 0.60 (0.61). The correlation is statistical significant at 1% level. In the case of coastal type precipit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ocean and 925 hPa (850 hPa) over the East sea area and precipitation amount at Gangneung is 0.33 (0.34). As for the mountain type precipitation,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mount at Daegwallyeong and low level wind speed data from wind profiler in Gangneung and Buoy in the East Sea. The results also show the similar behavior. This result indicates that mountain type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is closely related with easterly wind speed. Thu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ew selected meteorological variables can be a good indicator to estimate the precipitation totals in the Yeongdong region in winter time.

PSR과 DPSIR을 이용한 대한민국 대설 취약성 분석 (Heavy Snow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Using PSR and DPSIR Methods)

  • 이근우;이형주;정건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5-352
    • /
    • 202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겨울철 자연재해인 대설 재해 위험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강설의 특징은 지역별 차이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대설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설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PSR 방법과 DPSIR 방법을 사용하였고, 평가 결과 두 가지 평가 방법을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는 대설 위험지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SR 방법은 압력지수, 상태지수, 반응지수로 구분되며, DPSIR 방법은 추진력, 압력, 상태, 영향, 대책 지수로 구분된다. 각 지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방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여 우리나라 전 지역의 대설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최근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대한민국의 대설 피해를 기준으로 PSR과 DPSIR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수를 비교한 결과 DPSIR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취약성 지수가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설 피해 발생 시 대설 취약성 지수가 높은 지역을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고, 효율적인 제설대응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대설피해액에 대한 범주형 예측 및 개선방안 검토 (Categorical Predi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Snow Damage Estimation using Random Forest)

  • 이형주;정건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2
    • /
    • 2019
  • 최근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이례적인 대설과 한파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설피해 저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시군구 별 과거 피해이력이 적고, 피해 발생지역과 관측소 간의 거리가 멀어 정확한 피해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설피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인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한 뒤 랜덤포레스트 모형의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추정되는 대설피해액을 범주형태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또한 설명변수 중 취약성 분석을 통해 도출된 취약성 지수를 설명변수로 이용함으로써 지역적 특색과 특성을 반영하였다. 지금은 과거 피해 자료의 부족, 비닐하우스 설계 기준의 변화 등으로 인해 예측 정확도가 높지 않지만, 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정확한 기상자료가 확보되고, 변수로 사용한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진행된다면 본 연구 결과의 정확도 향상과 재난 발생 전 피해규모 및 범위에 대한 신속한 예측을 통해 대비차원의 재난관리 대처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겨울철 온대저기압의 이동경로에 따른 국가어업지도선의 서해 피항지 선정 (A Selection of the Refuge Area in the West Sea for the National Fishery Supervision Vessel according to the Trajectories of the Extratropical Cyclone in Winter Season)

  • 정기철;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5-562
    • /
    • 2007
  • 겨울철 한반도와 부근 해역은 대륙에서 발달하는 시베리아고기압과 해양에서 발달하는 알류샨저기압으로 형성되는 전형적인 서고동저형의 기압배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기압배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주변 해역, 특히 서해에서는 강한 서풍 내지 북서풍의 계절풍과 강한 바람에 의한 높은 파랑, 폭설 등을 동반하는 악기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겨울철에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11년간 (1994-2004년)의 지상일기도를 분석하여 온대저기압의 주요 이동경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온대저기압의 이동경로별로 섬들의 지형적 특성, 수심, 저질의 상대, 조류의 영향 및 어망의 분포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서해에서 활동하는 국가어업지도선의 안전한 피항지를 선정하였다.

기상조건이 대중교통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Weather Conditions on Transit Ridership)

  • 최상기;이종호;오승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447-245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강우, 불쾌지수, 강설, 체감온도 등 4가지 기상조건이 대중교통수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련 통계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이유를 도출하였다. 모든 자료는 일단위로 수집하였고, 평일-주말과 여름-겨울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샘플수가 부족한 강설을 제외하고는 강우, 불쾌지수, 체감온도의 기상조건이 대중교통 수요를 약 2~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의 감소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는데, 이중 강우와 체감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상관분석 결과도 강우와 체감온도 2가지 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야외에 노출되어있는 버스가 지하철에 비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온 강우와 체감온도, 2가지 지표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평상시에 응답자 중 약 50%가 버스를 이용하였는데, 이중 강우가 발생하거나 체감온도가 낮아지면 버스 이용이 약 30%대로 감소되는 반면, 승용차와 지하철통행은 약 10%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대중교통정책 및 운영방법 결정에 기초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utomatic Power Line Reconstruction from Multiple Drone Images Based on the Epipolarity

  • Oh, Jae Hong;Lee, Chang N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27-134
    • /
    • 2018
  •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are facilities to transport electrical power from a plant to an electrical substation. The towers are connected using power lines that are installed with a proper sag by loosening the cable to lower the tension and to secure the sufficient clearance from the ground or nearby objects. The power line sag may extend over the tolerance due to the weather such as strong winds, temperature changes, and a heavy snowfall. Therefore the periodical mapping of the power lines is required but the poor accessibility to the power lines limit the work because most power lines are placed at the mountain area. In addition, the manual mapping of the power lines is also time-consuming either using the terrestrial surveying or the aerial surveying. Therefore we utilized multiple overlapping images acquired from a low-cost drone to automatically reconstruct the power lines in the object space. Two overlapping images are selected for epipolar image resampling, followed by the line extraction for the resampled images and the redundant images. The extracted lines from the epipolar images are matched together and reconstructed for the power lines primitive that are noisy because of the multiple line matches. They are filtered using the extracted line information from the redundant images for final power lines points.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generated parabolic curves of power lines by interpolating the power lines points though the line extraction and reconstruction were not complete in some part due to the lack of the image contrast.

2011년 2월 11~12일 부산 근해에서 발달한 극저기압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olar Low Developed over the Sea Near Busan on 11~12 February 2011)

  • 이재규;김해민;김유진
    • 대기
    • /
    • 제26권2호
    • /
    • pp.301-319
    • /
    • 2016
  •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polar low, which caused the heavy snowfall in the East Coast area on 11~12 February 2011, was investigated to describe in detail using synoptic weather charts, satellite imageries, and ERA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Re-Analysis) -Interim reanalysis data. It was revealed that 1) the polar low was generated over the sea near Busan where a large cyclonic shear in the inverted trough branched from the parent low existed, 2) during the developing and mature stages, there was a convectively unstable region in the lower layer around the polar low and its south side, 3) the polar low was developed in the region where the static stability in the 500~850 hPa layer was the lowest, 4) the result from the budget analysis of the vorticity equation indicated that the increase in the vorticity at the lower atmosphere, where the polar low was located, was dominated mainly by the stretching term, 5) the warm core structure of the polar low was identified in the surface-700 hPa layer during the mature stage, 6) there was a clos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a development of the polar low and the height of the dynamic tropopause over the polar low, and 7) for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polar low, large-scale circulation systems, such as upper cold low and its combined short wave trough, major low (parent low), and polar air outbreak, should be presented, indicating that the polar low has the nature of the baroclinic disturb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