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promotion policy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실태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A Study on Working Conditions and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정석;황라일;임민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51-564
    • /
    • 2015
  • Purpose: Th study is to explore the working conditions and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Methods: A total of 127 nurses working long-term care facilities, from June to November 2014, completed questionnaires. Face to 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a total of 32 questions, including 5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15 questions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and 12 questions related to job satisfaction(likert scale of 1 to 5). Results: The majority of nurses were employed in institutional care facilities, in urban area, and in privately owned facilities. On average, employed nurses worked 170.7 hours per month. Only 40.9% of them got more than two million won for their monthly salary.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nature and worth of their work and the workplace relationship, but not with their wages and promotion opportunity 40.2% of nurses reported satisfaction with job.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general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olicies must be to improve nurses' working conditions, for wages, and to support them with education and training for skills development.

영양관련 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한 텔레비전의 영양교육적 역할의 검토 (Examination about the Television's Role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Nutrition-related Programs)

  • 이정원;이보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642-654
    • /
    • 1998
  • In order to examine the television(TV)'s role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nutritional interests and problems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1990s, a comtents analysis was done on two nutrition-related TV programs, a regular round-table talk show and a newscast. Broadcast from January 1993 to July 1997 and from January 1997 to July f1997, respectively.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Food and nutrient(39.5%) and diseases(34.7%) were most frequently telecasted, which were followed by food habits and general health(13.0%), traditional dishes and cookery(8.2%), and food sanitation and safety(4.6%). In becoming the latest year, some trends in the issues displayed increased telecasts about disease, dish and cookery, and food safety, while the telecasting of food and nutrient decreased. The contents about the relations hip between life-style(including diet) an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nd the importance of balanced diets and regualr meals for health promotion became particularly emphasized. Overall, two TV programs provided the public with positive, practical, and sometimes practive nutrition education messages for improving eating life and health care. They also raised the public's awareness of the nutritional importance of Korean staple foods such as rice, kimchi, seaweed, and soysauce, and they sometimes satified the audience's curiosities by introducing Korean food culture or foods of Buddhist priests. When the accident of food toxicity occurred concrete information about how to manage it was rapidly given to the public. In addition they played a role in food balance policy by telecasting over-product foods such as garlic and onion. However some negative points appeared. Telecasts on milk and its products and diabetes mellitus showed the least frequently. These shows should be broadcast more often considering the present nutrition and health problems in Korea. Some functions or effects of foods were mostly explained by only physicians of Chinese medicine. Sometimes misinformed, unclear, overemphasized, biased, or unfair information was televised to the public. If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through the sincere cooperation between nutrition faculty and TV produces, become televison could a more complete and effective medium for educating the public about nutrition.

  • PDF

일 지역 정보통신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on Job Stress of Regi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Employees)

  • 유승희;최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351-358
    • /
    • 2018
  •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정보통신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건강행태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시에 소재한 K회사에 종사하는 138명 근로자이며,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한 역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69, p<.001),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장애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상관계수가 적었다(r=.23, p<.001). 개인의 건강행태 중 흡연, 음주정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였으며(${\beta}=-.69$, p<.001), 4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21.8, p<.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보통신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적 건강행태의 변화보다는 조직적 차원의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문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 심규범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5-48
    • /
    • 2007
  • Background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and taking courses related with those subjects by college students and analyse th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these issues so that provide a basic material in developing policy and education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for them.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pplied 1,500 college students for two months from October 10 to 30, 2007. Results: 1) When viewing the objects of this study as general traits and social economic ratio, 'female' was 59.4%, BMI index of '20-14' was 52.7%,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was 47/7%, and 'their own house' was 51.0%. 2) When viewing the experience of taking courses related with health by the trait of demography and sociology, 'no' was most high by showing 42.2%, and those of female. under 19 in BMI index, and th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showed no experience. 3) When viewing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they showed $3.00{\pm}0.71$, stress level in college life $2.84{\pm}0.41$,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2.06{\pm}0.65$. 4) When viewing taking courses related with health, stress in college life. and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they showed $2.06{\pm}0.59$. 5) When viewing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traits, the habit of eating was $2.48{\pm}0.52$ and health care was $2.96{\pm}0.47$. 6) When viewing the effect of factors on health behavior, there were gender, age, residence area, grade,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Conclusion: As we can see from the results above, it is the fact that the students in college are neglecting the subjects related with health owing to short period of education and major based education by the education aim of fostering professional career manpower. Therefore it needs open many culture courses for the subject related with health in college for the students to increase their health level as well as their major, and also there needs combined improvement of college and government system.

  • PDF

조선소 근로자들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의 차이 (Relationship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o Oral Health Awareness among Shipbuilding Workers)

  • 김은주;우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40-246
    • /
    • 2012
  • 작업공정 특성상 작업환경이 열악하다고 판단되는 조선소 근로자의 구강보건증진과 구강보건교육계획, 산업구강보건정책 및 제도 개선에 기여하고자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한 전남 지역 조선소 및 협력업체 10곳에 근무하는 조선소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310명 중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없는 근로자는 89.4%이었고, 구강보건교육 무경험자는 구강보건 지식정도, 인식정도, 관심정도, 중요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 지식정도, 인식정도, 관심정도, 중요정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무경험자가 구강보건교육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기회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교육내용은 치아우식증예방 및 치료법, 선호하는 교육방법은 치의사의 강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근로자일수록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없는 근로자보다 구강보건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의 현황과 과제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Out of School Children Health Check-up)

  • 김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46-558
    • /
    • 2019
  • 건강불평등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상의 차이를 일컫는다. 여러 학자들은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건강 불평등을 축소하려는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여성가족부가 지난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을 한국 사회의 건강불평등 감소 정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가건강검진제도에서 소외됐던 학교 밖 청소년을 검진제도 내로 편입한 것은 국가차원의 건강불평등 완화 정책으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지금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한국 사회에서 소외집단이었을 뿐 아니라, 건강검진제도 내에서도 사각지대에 있었다. 이중의 상당수는 가족주의가 굳건한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거리로 쫓겨난 어린 노동자임에도 불구하고 '일탈적인 10대', '가출 청소년', '비행 청소년' 등으로 불리며 차별받았다. 현행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은 대안학교에 다니거나 쉼터에 거주하는 등 비교적 주거파악이 쉬운 청소년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이 제도의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주거가 불안정한 가출 청소년까지 검진제도 내로 포섭하는 접근성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 사후관리, 예방접종과 정신건강, 검진주기 단축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한 방법과 실행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건강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한 도서관의 역할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the Library's Role via the Provision of Health Information Service)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7-144
    • /
    • 2019
  • 현 시대는 고령화 사회,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증대, 의료비 감소를 위한 국가의 관심 증대 등으로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증가된 상황이다. 이에 문헌정보학계의 연구노력, 도서관계의 건강특화서비스 제공 노력, 그리고 국가차원에서의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도서관계에서의 통합적 및 체계적으로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나 전략은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수행된 선행연구 및 정책연구, 그리고 사례조사를 통해서 도서관에서 건강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건강정보제공통합시스템 구축, 건강관련정보의 총체적 DB 구축, 건강특화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건강정보서비스 총괄지원센터 운영, 건강정보서비스관련 부처 및 기관 간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이후 도서관이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on Or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주온주;김인자;손주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09-315
    • /
    • 2020
  •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이 구강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향후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대상으로 계통추출법으로 진행 하였다. EQ-5D와 씹기 문제는 운동능력이 없는 그룹 통증불편이 있는 그룹, 불안우울이 있는 그룹에서 씹기 문제 오즈비(OR)가 증가하였다 (p<0.05). EQ-5D와 말하기 문제는 운동능력이 없는 그룹, 통증불편이 있는 그룹, 불안우울이 있는 그룹에서 말하기 문제 오즈비(OR)이 증가하였다 (p<0.05). 본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 (EQ-5D)는 노인의 구강건강과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EQ-5D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구강보건교육 및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가 요구되어진다.

건강개염(健康槪念)의 사상의학적(四象醫學的) 고찰(考察) (A Study on 'Health' conc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황민우;임진희;정용재;김상복;이수경;고병희;송일병;이태규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8-99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 : The status of development of instruments to assess the 'health status' reflecting the conc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still far from satisfaction, despite their importance in building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treatment, health policy and so on. for these reasons the health scal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hod be developed. Therefore as from of preliminary research,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of health and symptoms in health status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Methods : It was researched as bibliologically with Dong-mu's chief medical writings such as ${\ulcorner}Dongyi$ Soose $Bowon{\lrcorner}$(東醫壽世保元)${\ulcorner}Dongyi$ Soose Bowon Sasang Chobongyu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lrcorner}$ - Results and conclusion : 1.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suggested that Inherent vitality(命脈實數) has relations to health and Knowledge-Acting(知行) is a primary factor which affects health. And it is thought that Healthy condition(完實無病) is that human being has enough Healthy energy(保命之主) of Small viscera. 2.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thought that stool, urine, sweating and digestion become important indexes to measure the physical health state. 3.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thought that the mental health is in control of inclination of mind by golden mean(中庸) and in tranquillity of constant mind according to constitution. 4.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thought that the social health is state thar can do social acting harmoniously by keeping away from alcohol, sexual appetite, property and power.

  • PDF

정신건강과 주관적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rated Oral Health on Convergence Study)

  • 원영순;김지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39-248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정신건강과 주관적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제5기(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55세 이하의 성인 3,59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정신건강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의 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은 다변량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산출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OR=1.62; 95% CI=1.36-1.95), 치통경험에서는 2주 이상 연속 우울감이 있는 경우(OR=1.40; 95% CI=1.06-1.85), 저작불편호소경험에서는 정신문제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OR=2.31; 95% CI=1.28-4.18), 악관절 증상경험에서는 2주 이상 연속 우울감이 있는 경우(OR=1.83; 95% CI=1.39-2.42), 말하기 문제의 경우 정신문제 상담을 받은 경우(OR=4.80; 95% CI=2.10-10.94)에서 위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인지, 우울증상 경험, 정신문제 상담경험이 주관적 구강건강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구강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두 가지 영역에 융합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