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abutment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7초

Healing abutment case를 이용한 healing abutment의 효과적인 세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cleaning of healing abutment using healing abutment case)

  • 김현경;조인호;송영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8
    • /
    • 2022
  • 목적: 본 연구는 Healing abutment case (HA case)를 이용한 Healing abutment (HA)의 효과적인 세척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구강 미생물을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플란트를 동일 악에 2개 이상 식립 한 32명의 환자, 총 64개의 HA (실험군 32, 대조군 32)를 선정하여 실험군은 알코올 솜으로 세척 후 HA case에 넣어 0.05% chlorhexidine 소독용액을 담은 초음파세척기에서 5분간 세척하였고, 대조군은 알코올 솜으로 세척하였다. 관찰 시기는 1차, 2차 내원 시 각 군을 세척 전 관찰하였고, 실험군은 1차 내원 시 세척 후 추가로 관찰하였다. 이 때 미생물의 양에 대하여 400배의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1차 내원 시 각군의 구강미생물 양을 관찰한 결과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성별, 상·하악, 협·설측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치은연상, 연하에 따른 구강미생물 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5), 실험군 세척 전·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2차 내원 시 각 군별 비교에서 구강미생물 양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결론: Healing abutment case를 이용한 healing abutment의 세척은 단순 알코올 솜 세척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증례 (Posterior single implant prosthesis using scannable healing abutment)

  • 김성민;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2-438
    • /
    • 2019
  • 임플란트 보철 치료의 성공에 정확한 인상 채득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보철의 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에는 임프레션 코핑과 인상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과 구강 스캐너와 디지털 인상 코핑(scanbody)을 이용한 디지털 인상채득법이 있다. 하지만 인상용 코핑과 scanbody는 모두 구강 내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제거하고 장착해야 한다. 때문에 술자는 치유 지대주와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를 여러 번 체결하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는 교합면보다 높게 솟아 있어 환자는 지속적으로 개구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치유 지대주에 scanbody의 스캔 가능 부분(scannable part)을 부여하여 치유 지대주를 제거할 필요 없이 구강 내에서 직접 구강 스캐너로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scannable healing abutment)가 소개되었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하여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를 수복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맞춤형 치유 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복 증례 (Clinical case of implant restoration using customized healing abutment)

  • 박정완;홍민호;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22-227
    • /
    • 2015
  • 최근 임플란트 수복 영역에서 심미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수술 후 초기 연조직 회복 과정에서 기성 치유 지대주를 사용하는 것은 연조직 형태 및 치경부 출현각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증례에서는 맞춤형 치유 지대주를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맞춤형 치유 지대주의 형태는 원형이 아닌 최종 맞춤형 지대주 형태로 제작하여 임플란트 수복 시 심미성의 향상을 관찰 하였다. 본 증례는 임플란트 수술 후 맞춤형 치유 지대주를 이용하여 연조직의 치유를 도모함으로써 이후, 최종 맞춤형 지대주 장착 시 연조직의 변위를 줄여보다 심미적이고 기능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용 코핑의 정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mplant digital impression coping)

  • 안교진;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29-40
    • /
    • 2020
  • 목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pick-up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법의 정확도를 다른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모형을 제작하고 0°, 10° 및 20°의 근심경사로 3개의 임플란트를 위치 시켰다. 각각의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체결하고 주모형을 스캔하여 참조 모델을 만들었다. P군 모델은 pick-up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15개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지대주를 장착 후 스캔하여 제작하였다. E군과 S군의 모델은 각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주모형에 체결하고 구내 스캐너를 이용해 15회씩 인상채득을 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STL 파일은 best fit alignment를 이용해 참조 모델과 중첩하였고 root mean square (RMS) 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RMS 값은 P군에서 가장 작았고(25.56 ± 2.53 ㎛), 그다음 S군(35.27 ± 2.56 ㎛), E군(38.29 ± 4.12 ㎛) 순 이었다. S군과 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P군은 S군과 E군 보다 작았다(P < 0.05). 임플란트 각도와 RMS 값의 상관관계는 E군에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Pick-up 인상용 코핑 방법은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채득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방법은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ncoded healing abutment의 임상적 사용은 가능하나 경사진 임플란트의 인상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 healing abutment 높이와 타진각도에 따른 타진방식 임플란트 안정성 측정기기의 수치 차이 (Differences in percussion-type measurements of implant stability according to height of healing abutments and measurement angle)

  • 박양훈;이성복;이석원;백장현;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78-286
    • /
    • 2018
  • 목적: 인조골에 동일한 조건으로 식립한 임플란트에 대하여 타진방식의 임플란트 안정성 측정기기인 Periotest와 AnyCheck을 사용하여 안정성 수치를 측정함에 있어서, healing abutment의 높이와 타진각도의 변화에 따른 각 측정기기의 안정성 수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총 60개의 임플란트를 주문제작한 인조골 블록에 식립하고 2, 3, 4, 5 mm 높이의 healing abutment를 각각 15개씩 네 그룹으로 나누어 체결하였으며, 각각 식립 토크, implant stability test, Periotest value를 측정했다. 임플란트 식립 시 45 - 55 Ncm의 토크를 유지하였다. 임플란트 장축에 수직인 지면을 기준으로, implant stability test는 AnyCheck을 사용하여 $0^{\circ}$, $30^{\circ}$의 기울기로 측정했으며 Periotest value는 Periotest M을 사용하여 $0^{\circ}$, $30^{\circ}$의 기울기로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식립 토크는 그룹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AnyCheck과 Periotest M으로 측정했을 때, healing abutment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안정성 수치가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AnyCheck과 Periotest M을 $0^{\circ}$$30^{\circ}$ 기울기로 측정 시 $0^{\circ}$로 측정한 그룹에서 안정성 수치가 더 낮게 측정되었다. 결론: 임플란트의 안정성 수치를 타진방식으로 측정할 때에는 healing abutment 높이와 타진각도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측정해야 표준화된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욱 세밀한 사용법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The effects of hard and soft tissue grafting and individualization of healing abutments at immediate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

  • Thoma, Daniel S.;Jung, Ui-Won;Gil, Alfonso;Kim, Myong Ji;Paeng, Kyeong-Won;Jung, Ronald E.;Fickl, Stefa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9권3호
    • /
    • pp.171-184
    • /
    • 2019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ra-alveolar socket grafting,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s, and individualized abutments on peri-implant hard and soft tissue outcomes following immediate implant placement. Methods: This randomized experimental study employed 5 mongrel dogs, with 4 sites per dog (total of 20 sites). The mesial roots of P3 and P4 were extracted in each hemimandible and immediate dental implants were placed. Each site was randomly assigned to 1 of 4 different treatment groups: standardized healing abutment (control group), alloplastic bone substitute material (BSS) + standardized healing abutment (SA group), BSS + individualized healing abutment (IA group), and BSS + individualized healing abutment + a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IAG group). Clinical, histological, and profilo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calculated using the Bonferroni test, set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t P<0.05. Results: Clinically, the control and SA groups demonstrated a coronal shift in the buccal height of the mucosa ($0.88{\pm}0.48mm$ and $0.37{\pm}1.1mm$, respectively). The IA and IAG groups exhibited an apical shift of the mucosa ($-0.7{\pm}1.15mm$ and $-1.1{\pm}0.96mm$, respectively). Histologically, the SA and control groups demonstrated marginal mucosa heights of $4.1{\pm}0.28mm$ and $4.0{\pm}0.53mm$ relative to the implant shoulder, respectively. The IA and IAG groups, in contrast, only showed a height of 2.6mm.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mucosa in relation to the most coronal buccal bone crest or bone substitute particl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Volumetrically, the IA group ($-0.73{\pm}0.46mm$) lost less volume on the buccal side than the control ($-0.93{\pm}0.44mm$), SA ($-0.97{\pm}0.73mm$), and IAG ($-0.88{\pm}0.45mm$) groups. Conclusions: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the most favorable change of height of the margo mucosae and the largest dimensions of the peri-implant soft tissues. However, the addition of a bone substitute material and an individualized healing abutment resulted in slightly better preservation of the peri-implant soft tissue contour.

The reliability of Anycheck device related to healing abutment diameter

  • Lee, Dong-Hoon;Shin, Yo-Han;Park, Jin-Hong;Shim, Ji-Suk;Shin, Sang-Wan;Lee, Jeong-Yo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83-88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Anycheck device and the effect of the healing abutment diameter on the Anycheck values (implant stability test, IS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implants were placed into three artificial bone blocks with 10 Ncm, 15 Ncm, and 35 Ncm insertion torque value (ITV), respectively (n = 10). (1) The implant stability was measured with three different kinds of devices (Periotest M, Osstell ISQ Mentor, and Anycheck). (2) Five different diameters (4.0, 4.5, 4.8, 5.5, and 6.0 mm) of healing abutments of the same height were connected to the implants and the implant stability was measured four tim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nycheck. The measured mean valu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n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and IST value was 0.981 (P<.01)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nt periotest value (PTV) and IST value was -0.931 (P<.0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ST values with different healing abutment diameters. CONCLUSION.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Periotest M and Anycheck values and between the ISQ and IST. The diameter of the healing abutment had no effect on the Anycheck values.

임시의치와 스캔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Multiple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ing temporary denture and scannable healing abutment: a case report)

  • 김형준;김현;장우형;윤귀덕;박상원;임현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50-259
    • /
    • 2023
  •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에 있어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정보를 통합하여 진단 및 가상 수술을 통해 예지성 있는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디지털 스캐닝 방법은 치유지대주 제거 및 스캔 바디 연결 등 여러 번의 구성요소 착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스캔 가능한 치유지대주는, 스캐닝이 치유 지대주상에서 직접 수행되어 연조직 봉쇄가 유지되며 스캐닝이 간소화된다. 악간관계 채득시에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수술 가이드, 환자 맞춤형 스캐닝 장치 또는 임시의치 내면 스캔 등을 이용해 무치악 환자들의 악간 관계를 채득하는 여러 디지털 기술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스캔가능한 치유지대주 및 임시의치 내면 스캐닝을 통한 악간 관계 채득을 통해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치료과정을 간소화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지대주 풀림과 조임시 지대주 세척방법에 따른 임플란트 주변 골소실의 양에 대한 평가 (Effect of cleansing methods on the bone resorption due to repeated dis/re-connection of implant abutment)

  • 양승민;신승윤;계승범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535-542
    • /
    • 2007
  • Background : Repeated dis/re-connection of implant abutment caused bone loss around implant fixtures due to the new formation of biologic width of the mucosal-implant barrier. The aim of this clinical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repeated dis/re-connection of implant abutment cause bone loss clinically and the effect of cleansing methods on a bone loss during the early healing period. Methods : A total 50 implants were installed in 20 patients and repeated dis/re-connection of abutment was performed at the time of surgery and once per week for 12 weeks. 0.9% normal saline solution as group1 and 0.1% chlorhexidine solution as group 2 was used to clean abutments. All patients had radiographs taken at the placement of implant and 4, 8, and 12 weeks postoperatively. The data for bone loss around implant were analyzed. Results: The marginal bone loss at 12 weeks were $1.28{\pm}0.51mm$, $1,32{\pm}0,57mm$ in the mesial and distal sides in group1, $1.94{\pm}0.75mm$, $1.81{\pm}0.84mm$ in group 2, respectively. In view of marginal bone los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clusions : Repeated dis/re-connection of implant abutment may not cause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 fixture although limited samples and short-term observation period. In spite of more bone loss in group 2,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ontext of those result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repeated dis/re-connection of implant abutment and the cleansing method of abutments is debatable when it comes to marginal bone loss during early healing period.

All-ceramic versus titanium-based implant supported restorations: Preliminary 12-months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Weigl, Paul;Trimpou, Georgia;Grizas, Eleftherios;Hess, Pablo;Nentwig, Georg-Hubertus;Lauer, Hans-Christoph;Lorenz, Jonas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1호
    • /
    • pp.48-54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to compare prefabricated all-ceramic, anatomically shaped healing abutments followed by all-ceramic abutments and all-ceramic crowns and prefabricated standard-shaped (round-diameter) titanium healing abutments followed by final titanium abutments restored with porcelain-fused-to-metal (PFM) implant crowns in the premolar and molar regio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patients received single implants restored either by all-ceramic restorations (test group, healing abutment, final abutment, and crown all made of zirconia) or conventional titanium-based restorations. Immediately after prosthetic incorporation and after 12 months of loading, implant survival, technical complications, bone loss, sulcus fluid flow rate (SFFR) as well as plaque index (PI) and implant stability (Periotest) were analyz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RESULTS. After 12 months of loading, an implant and prosthetic survival rate of 100% was observed. Minor prosthetic complications such as chipping of ceramic veneering occurred in both group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both groups with only a minimum of bone loss, SFFR, and PI. CONCLUSION. All-ceramic implant prostheses including a prefabricated anatomically shaped healing abutment achieved comparable results to titanium-based restorations in the posterior region. However, observational results indicate a benefit as shaping the peri-implant soft-tissue with successive provisional devices and subsequent compression of the soft tissue can be avo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