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substances discharg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44초

소규모 폐수배출시설 관리 강화의 필요성 (Necessity of Strengthening Small-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Management)

  • 박재홍;류덕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6-233
    • /
    • 2018
  • Small-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account for 98% of all workplaces, but in the generation and emission of major pollutants, they account for 27.5 % and 23.5 %, respectively. Since the proportion of the emission load of the small-scale workplace is not large, the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has been established mainly around large-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However, in the case of specific hazardous substances in water, the amount of the discharge load of the small-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y was 2.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tion load. Certain types of specific hazardous substances in water, which have a higher discharge load than large-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account for 24 ~ 32 %. There are also cases in which the discharge load from a small-scale discharge facility is more than four times higher, depending on the specific kind of water pollutant. As a result of inspections, the violation rate of the small-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y among the total violations by facilities is 93.9 ~ 97.5 %. As a result, the ecotoxicity value of small-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was high in most industries, and there was a fluctuation in the measured value. This indicates that the ecological integrity of the water system can be largely influenced by small-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mall-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and in some cases,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in quality may be more significant than in the management of large-scale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방전 프라즈마 화학반응을 이용한 유해물질의 분해 (Decomposition of Hazardous Gaseous Substances by Discharge Plasma)

  • 우인성;황명환;산외번장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9-83
    • /
    • 1996
  • In this study, in attempt to develop a new application technique of discharge plasma, we employed a kind of discharging method called SPCP ( short for Surface discharge induced Plasma Chemical Process). Applications of SPCP have been widely used for years. Compact ozonizers to deodorize household equipments like refrigerators we a part of such applications. We took advantages of the compactness and durability of the SPCP electrode to set up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decompositing vapor of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benzene and xylenes, which are major substances given off In painting or washing processes and aggravate working conditions.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romatic hydrocarbon vapors of up to 2,000ppm were almost thoroughly decomposed at the flow rate of 4ℓ/min or lower under the discharge with electric power of 400 Watts. 2) In dry air, as the decomposition progresses, tar-like substance deposits on the discharging areas, which deteriorated the decomposition rate in the end. This substance, however, was almost thoroughly removed by keeping discharge in dry air containing no solvent vapor.

  • PDF

소방청사 차고지 공기질 분석 및 유해물질 노출 관리 방안 (Analysis of Air Quality and the Management Plan for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in the Garage of a Fire Station)

  • 박제섭;한동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4-404
    • /
    • 2020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diesel exhaust gas emissions generated during vehicle checking in the garage of fire stations and of the related improvement plans for prope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s: The researcher measured changes in the air quality inside garag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xhaust facility and before and after vehicle checking at three fire stations. Results: During the checking of fire engines, a large volume of hazardous substances exceeding management standards were generated, and improvement of the discharge facilities was required for proper air quality management.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hazard evaluation of firefighters' exposure to exhaust gas, to operate exhaust gas ventilation facilities, and to prepare technical standards for prope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항만에서 위험물 운송 중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성에 관한 연구 (Risk Analysis of Transporting Hazardous Substances in Harbor Using Modeling Program)

  • 윤수경;윤자연;한지윤;정승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2-278
    • /
    • 2018
  • Recently, the use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 international trade volume is growing and chemical accidents have increased. Nowadays, the safety awareness of the public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chemicals have been strengthened. However, the port policy of Korea has focused on increasing the volume of cargo through facility development. Thus,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For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society,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to efficiently ensure safety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scenarios where hazardous materials were moved in a dangerous container, not only on appropriate wharfs but also in ports that were close to a big city. The BTX substances were selected among the toxic chemicals with large import and export volumes, and the risk distance and damage effects were predicted using various risk assessment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used to improve a por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could be utilized to determine the safety distance in case of an accident.

영산강수계 주요 산업단지 폐수배출시설과 배수로에 대한 수질오염물질 배출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Water Pollutants in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and Drainpipes of Yeongsangang)

  • 이재영;민화인;최경축;주현진;김경수;윤설희;이재춘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86-599
    • /
    • 2018
  • 산업단지의 배출시설관리와 배수로 수질오염물질의 배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남산업단지와 첨단과학산업단지의 배출업체 16개 업체와 산업단지 배수로 4개를 포함한 11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배출업체 16개 업체 중 12개(75 %)의 업체에서 폐수배출시설 설치 허가 및 신고 시 등록한 항목이외의 특정수질유해물질이 검출되었고, 기타오염물질은 16개 업체 중 11개(약 69 %)의 업체에서 허가 및 신고 항목과 다른 오염항목이 검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Formaldehyde, Mn, Zn, Ba 항목이 16개 업체 중 11개 업체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정수질유해물질 중 Cu는 0.029 ~ 0.929 mg/L로 모든 배출시설에서 검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산강수계 주요 산단 배수로 및 본류에서도 As, Dichloromethane, Chloroform 등이 검출되었으나, 제한적인 범위(1종 ~ 3종)에서 수행되어 배출업체에서 배출되었다고 개연성을 평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배출업체의 범위를 확대 조사하여 수질오염물질 DB를 구축하고, 허가 및 신고사항을 배출물질에 맞게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해양배출 규제체계 개선의 필요성과 규제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gulations on the Emission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from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 이문진;김계원;강원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37-74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해양산업시설 현황과 규제법규 체계, 그리고 이들 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실태 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규제체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말 현재,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해양산업시설은 약 1천1백여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해양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어 해양유입 가능성이 높은 위험유해물질은 190여종으로 추정되며, 이중 해양유입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물질은 수계로 배출되는 것으로 파악된 20여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관련 법규정의 미비로 인하여, 배출되는 물질이 예외적 배출물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워,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규제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양환경관리법의 예외적 배출기준과 해당 물질의 종류에 대해 명확히 규정해야 하며, 예외적 배출물질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선정체계와 물질의 위해성 평가체계, 그리고 관련 위험유해물질의 배출정보수집 및 모니터링체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성능요건 기반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of Mechanical System for Recovery of Seabed-Deposit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Performance Requirements)

  • 황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9-697
    • /
    • 2020
  • 위험유해물질(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은 해상운송 과정에서 다양한 사고에 노출되어 있어 많은 양이 바다에 유출될 우려가 있다. HNS 유출에 따른 해양환경의 손상은 유류 유출에 의한 손상보다도 훨씬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해저로 침강하여 침적되는 HNS는 해저생태계에 돌이키기 어려운 피해를 주게 되므로, 반드시 회수되어야 한다. 해저로부터 HNS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해저침적 HNS에 대한 정확한 탐지, 안정화 처리 및 회수를 위한 절차와 장비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회수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능지표를 이용하여 성능요건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기계적 회수장치에 대한 개념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저침적 HNS의 회수 절차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회수장치에 대한 개념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개념설계안으로 해저침적 HNS를 회수하기 위한 기본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자체적 밀폐 성능을 가지는 흡인 기초를 활용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기계적 회수장치는 흡인 기초, 오염 방지, 펌프 시스템, 제어 시스템, 모니터링 장비, 위치정보 장비, 이송 장비, 탱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념설계안은 기계적 회수장치의 부품 및 형상을 결정하는 기본설계에 반영되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도료공정 발생 폐기물 중 미규제 중금속류의 배출특성 (Content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non-regulated hazardous substances in waste from the paint industry)

  • 정성경;김우일;강영렬;김동운;조윤아;신선경;오길종
    • 분석과학
    • /
    • 제24권5호
    • /
    • pp.387-39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해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도료공정에서 발생한 폐기물 중 미규제 중금속의 배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업장은 올바로시스템에 등록된 폐기물 배출업체를 대상으로, 유럽의 도료공정(European Waste Catalogue, EWC 08)과 유사한 폐기물 발생 업체로 하였으며 조사대상 사업장 64개 업체를 현지 방문하여 원료, 생산제품, 생산 공정, 폐기물의 종류 및 배출과정을 조사하고 생산 공정에서 배출되는 73개의 폐기물을 채취하였다. 모든 시료에 대하여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고, 특히 고상시료 16건에 대해서는 중금속 8항목(Ba, Be, F, Ni, Sb, Se, V, Zn)에 대한 용출분석을 수행하였다. 도료공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중 ICP-MS를 이용한 Ba의 함량분석 결과는 ND (Not Detected)~44,973.00 mg/kg의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다. 특히 폐페인트 시료 7건, 폐수처리오니 2건, 공정오니 1건 및 폐유기용제 1건에서 Ba이 제안기준인 500 mg/kg을 초과하였으며 나머지 미규제 항목은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관리 지침개발을 위한 국외 사례 검토: US EPA 배출지침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the Effluent Guidelines of Foreign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HNS) from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Management Guidelines, Korea: Focusing on the US EPA Guidelines)

  • 최기영;김창준;김영일;강원수;이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spc호
    • /
    • pp.44-49
    • /
    • 2022
  • 해양환경의 위험유해물질 배출규제는 주로 선박이나 해양시설 등으로부터의 오염규제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안 인접 산업시설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수립 등의 해양배출제도의 수립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정보를 자세히 제공하고 있는 미국 환경보호청(US EPA)의 자료를 중심으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수립 등 배출 제도 체계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 배출지침 적용에 대해 고찰했다.

산업폐수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수질오염물질 배출목록 구축에 대한 연구: 1차 철강 제조업과 석유정제품 제조업 (A Study on the Water Pollutant Discharge Inventories for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Primary Steel Manufacturing Facility and Petroleum Refining Products Manufacturing Facility)

  • 안태웅;김동민;손대희;김재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53-467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ntory the water pollutant discharge of wastewater from two facilities, one primary steel manufacturing facility and one petroleum refinery, both of which are located in Korea, and to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Probability evaluation was used to inventory the substances in polluted water. The samples collected in this study included original wastewater, on processing wastewater, and treated water. The general description of wastewater occurrence, major sources, and treatment facilities were also investigated to obtain an integrated database of the pollutants created by different industrial categories. Based on our analysis of raw wastewater and final effluent, the detected pollutant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their presence in the raw or supplemental materials, the potential of formation as byproducts, and the possibility of inclusion as impurities. The compounds detected for each category were screened via investigation of their possible sources and confirmed as the final water pollutant inventories. Thirty kinds of water pollutants were emitted by the primary steel manufacturing facility (reference in case A), including 14 specified hazardous water pollutants. The petroleum refinery (reference in case B) emitted 36 water pollutants, including 16 specified hazardous water pollut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