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m and sausage product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3초

솔빈산 칼륨이 첨가되지 않은 육제품의 저장 수명과 품질 특성 (Shelf-lif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tassium Sorbate-free Meat Products)

  • 이근택;황보식;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4
    • /
    • 1998
  • This study aimed for the examin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afety of potassium sorbate-free meat products. Therefo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frankfurter sausage and pressed ham, which were stored at 4 and 30$^{\circ}C$ for up to 40 days. The potassium sorbate concentrations of the frankfurter sausage and pressed ham obtained from local market ranged from 1.087 to 1.449g / kg, which were below the permitted value as prescribed in the Korean Hygienic Regulation. At the 0 day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of frankfurter sausage and pressed ham were in the level of around 103.0 and 103.4 CFU / g, respectively. However, they were prominently increased after 20 days at 4$^{\circ}C$ and 10 days at 30$^{\circ}C$ to higher than 105 CFU / g. After 30 days the counts were increased to 106.5 and 107.2 CFU / g, respectively. The growth curve of lactic acid bacteria was shown to be similar with that of total bacteria. the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oducts stored at 4$^{\circ}C$ were 101∼102 CFU / g lower than those stored at 30$^{\circ}C$. Coliform bacteria was not detected in both of the products stored at 4$^{\circ}C$ even after 40 days storage, but after 10 days at the 30$^{\circ}C$.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icrobial count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observed between frankfurter sausage and pressed ham. The biochemical tests on the isolated colonies from Clostridein agar showed no presence of Clostridium botulinum and Clostridium perfringens in the meat products examined. The pH of frankfurter sausage and pressed ham at the beginning was about 6.6, which level was maintained relatively constant during the storage at 4$^{\circ}C$, but it was increased after decrease to about 5.5 during the storage at 30$^{\circ}C$. TBA value was increased slightly till 30 days, but after that time increased sharply. VBN value was increased slowly during the whole storage, but it was more than 30 mg% for the samples stored at 30$^{\circ}C$.

  • PDF

돈육가공저장식품(豚肉加工貯藏食品)의 Nitrite 잔존량(殘存量)과 지방산패(脂肪酸敗) -가내제조(家內製造)한 Dry Sausage와 Dry Ham의 지방산패(脂肪酸敗) 및 저장성(貯藏性)과 Dry Ham의 기호도에(嗜好度)에 관(關)하여- (Residual Nitrite and Rancidity of Dry Pork Meat Products -A Rancidity and Storability of Home-made Dry Sausage and Dry Ham and Public Taste of Dry Ham-)

  • 우순자;맹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1
    • /
    • 1983
  • 돈육(豚肉)을 원료(原料)로 하여 가내제조(家內製造)한 dry sausage와 dry ham의 저장성(貯藏性)을 지방(脂肪)의 산패(酸敗)로서 측정(測定)하고 nitrite의 확산화효과(擴酸化酵果)를 조사하였다. 또한 dry ham에 대(對)한 기호도조사(嗜好度調査)를 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주(主)로 지방(脂肪)의 산패(酸敗)에 기인하는 dry sausage와 dry ham의 저장성(貯藏性)은, POV 10을 기준치로 하였을 때 dry sausage는 35일(日) 정도, dry ham은 50일(日) 이내(以內)에 그 저장성(貯藏性)이 상실된다고 보인다. 2. 건조육제품(乾燥肉製品)의 NaCl 함량변화(含量變化)는 가공육(加工肉)의 숙성과정(熟成過程)을 그대로 반영(反映)하며, dry ham의 중량감소와의 상관계수는 0.85였다. 3. 대학생(大學生) 35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한 ham의 기호도(嗜好度)는 ‘먹을만 하다’거나 ‘맛없다’는 편이 66%나 되며, ‘술안주’로 좋겠다는 편이 60%로서 dry ham의 식생활(食生活)참여는 아직 힘든 것 같다.

  • PDF

햄 및 소시지류에서의 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Clostridium perfringens on Ham and Sausage Products in Korea)

  • 고은경;문진산;위성환;박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8-124
    • /
    • 2012
  • 본 연구는 햄 및 소시지류에서의 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를 국제기준(Codex)의 원칙과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오염수준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결과와 현재의 국내 유통환경, 관련제품의 특성, 섭취량 및 소비행태 등을 반영한 노출평가용 "product-retail-consumption pathway" frame-work 모델을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엑셀(Excel)기반 노출평가용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RISK를 활용하여 위해(risk) 수준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국내에서 1일 1인이 햄 및 소시지류의 섭취를 통한 Cl.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발생 확률은 평균적으로 $3.97{\times}10^{-11}{\pm}1.80{\times}10^{-9}$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행한 QMRA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수준에서의 한계점과 미래에 더욱 발전된 국내 QMRA 연구 및 활용을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가열에 위한 식육 및 식육제품 중 니트로사민이 생성량 변화 (Change of N-nitrosamine Contents in Meat and Meat Products by Cooking Condition)

  • 김준환;신효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
    • /
    • 1996
  • This study i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ntents of nitrosamine in meat (beef, pork) and meat product (ham, bacon, sausage) by gas chromatograph-thermal energy analyzer. The author also determained the formation of nitrosamine in these products when they were cooked in frying pan at 21$0^{\circ}C$ for 4 minutes and microwave for 45 and 75 seconds. N-ni-trosodimethylamine (NDMA) analysis was impossible in the most products because of their impurieties. On the other hand, N-nitrosopyrrolidine (NPYR) of 0~9.4 ug/kg in meat and 0~15.6 ug/kg in meat products were detected, respectively. When meat and meat products were cooked, generally contents of NDMA and NPYR have a tendency to be increased a little. Meat and product being cooked in microwave rather than frying pan, contents of NDMA and NPYR were detected more. Especially, in sausage contained much flsh, contents of NDMA was detected more.

  • PDF

돈육가공저장식품(豚肉加工貯藏食品)의 Nitrite 잔존량과 지방산패(脂肪酸敗) - 가내제조(家內製造)한 dry sausage와 ham의 Nitrite 및 Nitrate 잔존량 - (Residual Nitrite and Rancidity of Dry Pork Meet Products - Residual Nitrite and Nitrate in Home-Processed Dry Sausage and Ham -)

  • 우순자;이혜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3호
    • /
    • pp.186-193
    • /
    • 1982
  • 육제품(肉製品)에 대한 세계적 Nitrite 함량 규제한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환경조건 하에서 가내가공(家內加工)한 dry ham과 dry sausage의 Nitrite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itrite와 Nate를 합(合)하여 ham에 264ppm, sausage에 185ppm $NaNO_2$ 당량을 첨가하여 자가제조(自家製造)한 dry meat products의 Nitrite 잔존량(殘存量)은 법적허용한계 양(量) 70ppm에 미달한 $32{\sim}67ppm$이었다. 시중판매제품(市中販賣製品) press ham들도 Nitrite 잔존량이 40ppm이하이며 제품회사마다 많은 차가 있었다. 2) Nitrite 잔존량은 제조첫날로 부터 증가하여 dry sausage는 2주(週), 또는 3주(週)에, dry ham은 5주(週)에 가장 높은 67ppnm을 나타냈고 저장기간이 길수록 점차 낮아졌다. 내장에 Casing한 Sausage와 여름철에 제조한 ham에선 각각 3주(週)와 4주(週)에 이미 10ppm 이하로 떨어져 있었다. 이는 Nitrite 잔존량이 제품의 염적 및 숙성과정에서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차가 심한 것을 보여 준다. 3) Nitrate 함량은 Nitrite 함량이 가장 높은데 (sausage 3주, ham 5주에) 가장 낮은 상반된 값을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수록 높아졌다.

  • PDF

시판 식육제품 중 N-Nitrosamine의 생성 제1보. 시판햄 및 소시지 중 N-Nitrosamine의 검출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commercial Cured products 1. Occurrence of N-Nitrosamine in commercial Ham and Sausage)

  • 박계란;이수정;신정혜;김정균;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0-405
    • /
    • 1998
  •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시판 햄 26종과 소시지 30종을 구입하여 NA 함량을 GC-TEA로 분석하였고, 동시에 NA 생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질산염 및 아질산염도 분석하였다. 시판햄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 질소는 각각 1.2~16.6 mg/kg 및 0.6~2.3 mg/kg의 범위였으며, 소시지는 각각 0.1~21.1 mg/kg 및 0.1~7.8 mg/kg으로 아질산염 질소가 질산염질소에 비해 낮게 정량되었다. 대부분의 시판햄 및 소시지에서 NDMA가 검출되었으며, 햄의 경우 단일햄 및 혼합햄이 각각 $<0.5~61.5\;\mu\textrm{g}/kg\;및\;<0.5~12.5\;\mu\textrm{g}/kg$이었고, 단일소시지 및 혼합소시지가 각각 $0.5~36.8\;\mu\textrm{g}/kg\;및\;<0.5~61.5\;\mu\textrm{g}/kg$이었다. 햄보다 소시지에서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량이 높게 정량되었고 NDMA 함량은 혼합소시지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 PDF

꿩고기 가공제품의 저장중 미생물과 휘발성 염기태질소의 변화 (Changes in Microbial Content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of Pheasant Meat Products during Storage)

  • 최성현;김찬조;최성희;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68-175
    • /
    • 1998
  • 꿩고기 가공제품들의 저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들 제품을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과 식중독균을 검사하고 VBN 함량을 측정하여 그 신선도 유지상태를 검사하였다. 1. 가공제품의 저장 중 Salmonella, Shigella, Staphylococcus속 균 등 식중독 원인균과 Escherichia coli는 어느 제품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2.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속도가 빨라 $20^{\circ}C$$30^{\circ}C$ 저장에서는 대부분의 제품들이 5~10일 이내에 $10^6/g$ 이상의 균수를 보였으나 frank sausage, Ioin harm, pressed ham, salad 제품은 $20^{\circ}C$ 저장시 20~30일까지 $10^5/g$ 이하의 균수를 보였다. 3. $10^{\circ}C$ 저장에서는 훈연제품, 전기구이, pressed ham은 10일 이내에 $10^4/g$ 이상을 보였으나, frank sausage, Ioin ham, salad 제품은 $10^3/g$ 이하를 보여 비교적 좋은 저장성을 보였다. 4. 가공제품의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VBN 함량이 높았으며, 훈연제품, 전기구이, frank sausage는 $10^{\circ}C$ 저장에서도 5일에 40mg%, 10일에 80mg% 이상을 보여 가식한계를 벗어났으나, Ioin ham, pressed ham, salad는 $10^{\circ}C$ 저장에서 10일까지 20mg%이하의 VBN 값을 보여 비교적 양호한 저장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꿩고기 가공제품들은 비교적 저장성이 약한 것으로 보이나 이들중 Ioin ham과 salad는 타제품에 비하여 저장성이 좋아 $10^{\circ}C$에서 약 10일 정도의 보존이 가능하다고 사료되며, Ioin ham과 salad 외의 제품들은 $10^{\circ}C$ 이하의 냉장 및 냉동유통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햄.소시지제품에 대한 소비자 의식 및 구매 실태 (Consumer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Demand on Ham and Sausage Products)

  • 조수현;박범영;진구복;유영모;채현석;안종남;이종문;윤상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73-282
    • /
    • 2003
  • 본 설문조사는 국내 육가공제품의 시장에 대한 소비자 의식과 구매형태를 파악하고 시장확대를 위한 기본방안 구축을 위하여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조사한 결과이다. 육가공제품의 구입횟수는 월 1-2회로 구입하는 소비자가 40.7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주 1-2회 구입하는 것(28.07%)으로 나타났다. 햄과 소시지를 구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구분한다가 86.75%로 나타난 반면 구분하지 못한다가 13.25%로 나타났다. 햄과 소시지를 구분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은 그 이유로서 두 제품의 고기 함량 및 첨가내용물들이 비슷하여서라는 응답이 47.19%로 가장 많았다. 햄과 소시지를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회사명(brand name)인 것으로 나타났으며(32.76%) 원료육의 종류(16.53%), 유통기한(16.38%) 및 원료육 생산지(16.23%)인 것으로 나타났다. 햄 또는 소시지 구입시 제품설명 표시내용을 읽느냐는 질문에 응답자들 중 72.25%가 그렇다고 응답한 반면 27.25%는 읽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소비자들은 햄과 소시지 구입시 불만사항으로 소비자들이 제품내에 고기보다는 결착제를 비롯한 다른 첨가제들이 많아서 고기맛을 거의 느낄 수 없다고 응답하였으며(47.65%), 외관 및 내용물이 비슷한 제품이 너무 많다고 응답한 소비자 및 맛이 없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각각 27.70%, 11.62%인 것으로 나타났다. 햄 및 소시지 제품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고기 함량이 높은 제품을 생산하기를 원한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64.04%였다. 햄과 소시지 제품 판매시 품질에 따른 가격차등제 실시에 대하여 찬성한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83.54%인 것으로 나타나 현재 많은 소비자들이 햄과 소시지 제품의 품질에 따른 가격차등제 실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품질에 따른 등급기준 설정과 품질별 가격차등제 실시를 통하여 육가공 제품시장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국내돈육의 비선호부위의 소비촉진도 가능할 것이다.

온라인 축산물 유통 실태 조사 (Distribution status survey of livestock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 김지연;서은주;고바라다;서두리;정보람;서미희;임진택;김은선;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20
    • /
    • 2016
  •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distribution status of online-market livestock products by purchasing and examining 120 cases of livestock products (seasoned meat: 17, 33 cases of packaged meat, 23 cases of ground meat, 19 cases of ham, 11 cases of sausage, 4 cases of bacon, 1 case of meat processing, 8 cases of Meat extract processed, and 4 cased of Dry storage of meat) at 17 On-line markets from April to August. 2015. We checked the weight of them first, and carried out ingredients test for each of processed meats. And we performed gene screening test on the products which were labelled 'Hanwoo' to investigate that the products were made of Korean native cattle. we also carried out test of identifying domestic animal species on ham, sausage and ground processed products. After weighing all products, we could know that all of them were delivered more than labelled weight or in allowable error. The result values of test which measured level of preservatives, Nitrite, Volatile Basic Nitrite (VBN), and tar Color by the type of processed meat products were in permissible range or not detected. Also, 17 beefs inspected Korean native cattle gene test were confirmed that they were made by real korean native cattle. But 2 cases of Ham, sausage, and ground processed products had difference between label and goods. In this study, we could make a decision that livestock products, distributed in On-line markets, were safe and expect to make higher degrees of hygiene for livestock products seller. Futhermore, we hoped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y basic data for progressive national policy dec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