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t

검색결과 1,185건 처리시간 0.046초

담배나방의 배자발생(胚子發生)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Guenee(Lepidoptera: Noctuidae))

  • 박계청;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1-149
    • /
    • 1985
  •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ee)의 배자 발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우화시킨 성충의 난(卵)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배자발생기간을 조사하였으며, $25^{\circ}C$에서의 조직분화 및 기관형성과정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卵)은 적도직경 0.53mm, 높이 0.56mm인 구형이며, 표면에는 정방형(正方形)의 요철(凹凸)무늬가 있고, 난(卵)의 정부(頂部)에는 1개의 micropyle이 있었다. 2. 담배나방의 배자발생기간은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147, 81, 61, 67시간이 있으며 $35^{\circ}C$에서의 배자기 치사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3. 난(卵)의 외형(外形)은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색깔 및 무늬의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발생시간에따라 특징적이었다. 4. $25^{\circ}C$에서는 배자발생이 시작된 후 14시간이 경과하면 기관형성이 일어나며, 44시간 경과 후에는 소화기관 형성이 완성되고, 80시간 후에 부화하였다. 5. 발생 초기에 난(卵)의 장축을 따라 형성된 배자는 발생시작 24시간 경과 후에는 $90^{\circ}$ 회전하고 , 이어서 배의 장축을 중심으로 $180^{\circ}$ 회전하며, 머리부분이 micropyle을 향하여 부화시까지 고정되었다.

  • PDF

노랑무당벌레의 발생기주 및 생물학적 특성 (Host plants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leis koebelei Timberlake (Coleoptera: Coccinellidae: Halyziini) in Gyeonggi-do)

  • 이영수;장명준;이진구;김준란;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5-301
    • /
    • 2015
  • 경기도 8개 지역에서 2010년부터 2012년 동안 식균성인 노랑무당벌레의 발생기주를 조사한 결과, 흰가루병에 감염된 12종의 식물에서 관찰이 되었다. 특히 가장 밀도가 높았던 배과원에서 노랑무당벌레는 7월 상순부터 11월 상순까지 발견되었다. 식균성인 노랑무당벌레의 장내에서는 흰가루병 균사나 포자 외에 다른 먹이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고, 알과 번데기를 제외한 전 발육단계에서 균을 섭식하는 특성을 볼 때 절대적 식균성 곤충으로 생각된다. $25^{\circ}C$에서 오이 흰가루병균을 섭식한 노랑무당벌레의 발육기간은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이 각각 3.9, 10.4, 4.1, 37.7일 이었고, 발육단계별 오이 흰가루병 섭식량은 45.6, 144.4, 372.2, 628.1, $473.7mm^2$로 4령, 성충, 3령, 2령, 1령 순으로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노랑무당벌레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섭식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유용 토착천적으로써 대량사육기술, 저독성 약제 선발 등 작물 흰가루병 종합방제기술(IPM)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사육과 부산물 응용 기술 (A Grub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Rearing Technique Using Cellulose-digesting Bacteria and Natural Recycling of Rearing Byproduct to an Organic Fertilizer)

  • 강상진;박천우;한상찬;이영근;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9-197
    • /
    • 2005
  •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Coleoptera: Dynastidae)) 후장에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세균은 각각 Yersinia와 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다. 이 두 세균의 셀룰로오스 분해능력은 참나무 톱밥으로 사육되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nlensis (Coleoptera: Cetoniidae))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이때 먹이 톱밥에 10% 이상의 밀가루를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의 발육은 더욱 증진되었다. 한편 동정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사과원 전정목 톱밥에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는 이를 먹이원으로 성장하였다. 이들 굼벵이의 대량사육에 따른 배설물은 높은 유기물 함량과 극소량의 독성 중금속을 함유하여 퇴비로서의 기능을 보유하였다. 이 굼벵이 배설물을 상추 재배지에 투입할 경우 상추발육을 촉진시켰다.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유래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하여 굼벵이 사육을 도모하는 데 일차 응용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부차적으로 사과원 폐목과 굼벵이 배설물의 자연 순환 모델을 제시하였다.

Ginseng berry polysaccharides on inflammation-associated colon cancer: inhibiting T-cell differentiation, promoting apoptosis, and enhancing the effects of 5-fluorouracil

  • Wang, Chong-Zhi;Hou, Lifei;Wan, Jin-Yi;Yao, Haiqiang;Yuan, Jinbin;Zeng, Jinxiang;Park, Chan Woong;Kim, Su Hwan;Seo, Dae Bang;Shin, Kwang-Soon;Zhang, Chun-Feng;Chen, Lina;Zhang, Qi-Hui;Liu, Zhi;Sava-Segal, Clara;Yuan, Chun-S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282-290
    • /
    • 2020
  • Background: Ginseng is a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 in treating various medical conditions. Chronic gut inflammation is a recognized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CRC). In this project, Asian ginseng berry polysaccharide preparations were used to assess their effects on CRC and related immune regulation mechanisms. Methods: Ginseng berry polysaccharide extract (GBPE) and purified ginseng berry polysaccharide portion (GBPP) were used to evaluate their activities on human HCT-116 and HT-29 CRC cell proliferation. Interleukin-8 secre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HT-29 cells. Naive CD4 cell isolation and T-helper cell differentiation were performed and determined using flow cytometry for Th1 and Treg in addition to cell cycle and apoptotic investigation. Results: GBPE and GBPP significantly inhibited interleukin-8 secretion and cancer cell proliferation, inhibited CD4+IFN-γ+ cell (Th1) differentiation, and decreased CD4+FoxP3+ cell (Treg) differentiation. Compared to the GBPE, GBPP showed more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n the malignant cell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observation that GBPP can also inhibit Th1-cell differentiation better, suggesting that it has an important role in antiinflammation, whereas Treg cells hinder the body's immune response against malignancies. Supported by cell cycle and apoptosis data, GBPE and GBPP, at various degrees, remarkably enhanced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5-fluorouracil. Conclusion: Data from this project suggested that Asian ginseng berry potentially has clinical utility in managing enteric inflammation and suppressing CRC through immunomodulation mechanisms.

프로바이오틱 Pediococcus pentosaceus BCNU 9070 균주 (Probiotic Potential of Pediococcus pentosaceus BCNU 9070)

  • 신화진;최혜정;김동완;안철수;이영근;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94-1200
    • /
    • 2012
  • 유산균은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알려져 있다. 가능성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세포결합과 부착능 즉, 장상피세포 부착능 및 세포표면의 소수성이 기초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몇몇의 토착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세포표면 소수성에 근거한 가능성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 한종을 선발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균주로서 선별한 분리균주(BCNU 9070)의 16S 리보좀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Pediococcus pentosaceus에 속하는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P. pentosaceus BCNU 9070 균주는 위액과 담즙산에 대하여 내성을 가졌으며 또한 Listeria monocytogenes 및 Shigella sonnei를 포함하는 6종의 식중독 병원균에 대하여 생육저해활성도 나타내었다. 게다가 P. pentosaceus BCNU 9070 균주는 담즙산 가수분해활성 및 콜레스테롤 동화능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P. pentosaceus BCNU 9070은 기능성 식품에 적용가능한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Inhibits Erythropoietin Receptor-Mediated Colonocyte Focal Adhesion Through Inactivation of Janus Kinase-2

  • Nam, Seung Taek;Seok, Heon;Kim, Dae Hong;Nam, Hyo Jung;Kang, Jin Ku;Eom, Jang Hyun;Lee, Min Bum;Kim, Sung Kuk;Park, Mi Jung;Chang, Jong Soo;Ha, Eun-Mi;Shong, Ko Eun;Hwang, Jae Sam;Kim, 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629-1635
    • /
    • 2012
  • Previously, we demonstrated that the erythropoietin receptor (EpoR) is present on fibroblasts, where it regulates focal contact. Here, we assessed whether this action of EpoR is involved in the reduced cell adhesion observed in colonocytes exposed to Clostridium difficile toxin A. EpoR was present and functionally active in cells of the human colonic epithelial cell line HT29 and epithelial cells of human colon tissues. Toxin A significantly decreased activating phosphorylations of EpoR and its downstream signaling molecules JAK-2 (Janus kinase 2) and STAT5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5). In vitro kinase assays confirmed that toxin A inhibited JAK 2 kinase activity.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JAK2 (with AG490) abrogated activating phosphorylations of EpoR and also decreased focal contacts in association with inactivation of paxillin, an essential focal adhesion molecule. In addition, AG490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occludin (a tight junction molecule) and tight junction level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inhibition of JAK2 by toxin A in colonocytes causes inactivation of EpoR, thereby enhancing the inhibition of focal contact formation and loss of tight junction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enzymatic activity of toxin A.

Galectin-9 Induced by Dietary Prebiotics Regulates Immunomodulation to Reduce Atopic Dermatitis Symptoms in 1-Chloro-2,4-Dinitrobenzene (DNCB)-Treated NC/Nga Mice

  • Kim, Jeong A;Kim, Sung Hak;Kim, In Sung;Yu, Da Yoon;Kim, Gwang Il;Moon, Yang Soo;Kim, Sung Chan;Lee, Seung Ho;Lee, Sang Suk;Yun, Cheol-Heui;Choi, In Soon;Cho, Kwang 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9호
    • /
    • pp.1343-1354
    • /
    • 2020
  • Atopic dermatitis (AD) is a skin disorder that causes chronic itch.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a mixture of prebiotic short-chain galacto-oligosaccharides and long-chain fructooligosaccharides (scGOS/lcFOS), inulin, or β-glucan on AD development in 1-chloro-2,4-dinitrobenzene (DNCB)-treated NC/Nga mice.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groups: untreated mice, AD control, positive control (DNCB-treated NC/Nga mice fed a dietary supplement of Zyrtec), and DNCB-treated NC/Nga mice fed a dietary supplement of prebiotics such as scGOS/lcFOS (T1), inulin (T2), or β-glucan (T3). The prebiotic treatment groups (T1, T2, and T3) showed suppression of AD symptoms, Th2 cell differentiation, and AD-like skin lesions induced by DNCB. In addition, prebiotic treatment also reduced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such as Firmicutes, which is associated with AD symptoms, and increased the levels of Bacteroidetes and Ruminococcaceae, which are associated with alleviation of AD symptoms.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prebiotics on AD development by improving the Th1/Th2 cytokine balance and beneficial symbiotic microorganisms in in vitro and in vivo models.

친환경 복합효소제 첨가가 이유자돈의 설사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friendly Multi-enzyme on Diarrhea and Immune Response of weaned Pigs)

  • 민예진;김준수;김신아;장기범;문다예;김병현;최지환;송민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1-161
    • /
    • 201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enzyme on diarrhea and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 A total 36 weaned pigs ($5.92{\pm}0.48kg\;BW$; 28 d 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3 pigs/pen, 6 replicates/treat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 typical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and CON with 0.1% multienzyme (Multi; mixture of ${\beta}-mannanase$, xylanase, ${\alpha}-amylase$, protease, ${\beta}-glucanase$, and pectinase). Pig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for 6 wk. Frequency of diarrhea, levels of packed cell volume (PCV), white blood cells (WBC), immunoglobulins, cortisol,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and C-reactive protein (CRP) were measured. Multi group tended to decrease (p<0.1) diarrhea frequency than CON group during 2 wk after weaning. Lower values of PCV on d 3 (p<0.05) and d 7 (p<0.1) were found in Multi group compared with CO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WBC number and immunoglobulin (Ig) M and A between Multi and CON groups. However, Multi group tended to increase (p<0.1) Ig G on d 7 than CON group. Moreover, Multi group showed modulated immune responses, indicated by decreased levels of cortisol (p<0.05) on d 7 and 14, $TNF-{\alpha}$ on d 3 (p<0.05) and d 7 (p<0.10), $TGF-{\beta}$ on d 2 (p<0.05) and d 7 (p<0.10), and CRP (p<0.10) on d 3 and 7 after weaning compared with CON group. Consequently, inclusion of multi-enzyme in diets for weaned pigs improved gut health and modulated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

한강 하구 습지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및 섭식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ers with a Note on their Feeding in the Wet Lands of the Lower Han River)

  • 김세화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66-572
    • /
    • 2017
  • 2015년 10월부터 2016년 7월까지 가을, 겨울, 봄, 여름의 계절별로 한강 하구의 시암, 성동, 공릉천, 산남, 장항습지 등 5개 습지에서 동물플랑크톤 채집을 실시하였다. 25종의 윤충류를 포함하는 총 46종류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기수종은 요각류 2종만이 출현하였고 10월에 성동과 장항습지에 출현한 15종류가 가장 다양하게 출현한 것이었다. 최대 출현량은 3월에 시암습지에서 윤충류의 대량 출현에 의해 $8,000indiv.\;L^{-1}$로 기록되었다. 3월에는 다른 정점에서도 $5,000indiv.\;L^{-1}$ 이상의 높은 출현량이 나타났지만 나머지 기간 중에서 수백 개체의 낮은 밀도가 지속되었다. 종다양성지수는 0.4~1.8 사이에서 변동하였다. 요각류 유생의 장내용물질 분석 결과 미동정물질들과 함께 규조류가 주먹이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수온은 $10.1{\sim}28.2^{\circ}C$, pH는 7.1~8.6 용존산소량은 $4.5{\sim}11.0mg\;L^{-1}$ 사이에서 변동하여 정점에 따라 하계 수온상승에 의한 용존산소량 부족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2-648
    • /
    • 1999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한 4$\~$5개의 맹낭 형태인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 relative length of gut)는 1.04(n=10)였다. 소화관의 조직층은 장막, 근육층, 점막하층, 점막층으로 구성되는데, 점막하층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매우 미약했다. 식도 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분지형이었으며, 점막근층은 아주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상피층은 입방형 또는 원주형 상피세포와 점액분비세포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의 자유면에서 미세융모의 관찰은 어렵다. 위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미분지형이며, 위의 근육충과 점막근층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충의 표면상피에서는 미세융모가 관찰되며, 위선과 분비과립은 체부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주름은 불규칙한 분지형이다 장은 점막주름의 길이와 조직학적인 특징에 의해 전장부, 중장부, 후장부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유문수와 장의 선조연과 배상세포는 후장부에서, 영양분흡수세포는 중장부에서 가장 발달된 양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