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pH

검색결과 6,235건 처리시간 0.041초

혐기소화액에서 분리한 아질산 산화세균의 생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Nitrite Oxidizing Bacteria Isolated from Anaerobic Digestion Liquor)

  • 장현민;장재은;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1호
    • /
    • pp.73-80
    • /
    • 2010
  • 음식물류폐기물 혐기소화액으로부터 아질산성 질소를 산화하는 세균 2종, NOB1 과 NOB2를 분리하여 이들의 아질산성 질소산화능 및 온도, pH, 용존산소의 농도에 따른 생장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두 균주 모두 최적의 생장조건은 pH 7.0과 배양온도 $35^{\circ}C$로 나타났으며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생장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는 요인으로는 pH와 용존산소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pH 5.0 및 9.0에서, 용존산소 1.0 ppm 이하에서 생장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아질산성 질소의 산화능력은 1.0 ppm 이하의 농도에서 1.0 ppm 이상에서 보다 약 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의 생성율 및 질소산화능은 NOB2가 NOB1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 산성강우가 벼, 콩, 참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imulated Acid Rain Effec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Soybean and Sesame)

  • 강영길;김성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7-243
    • /
    • 1992
  • 산성비가 벼, 콩, 참깨의 생육 및 수량과 토양의 산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탐진벼, 섬진벼, 백운콩, 백천(콩), 삼다깨, 수원 128호(참깨)의 경엽에 공시작물의 생육 기간 동안의 평년 강우량과 같은 양의 인공강우[pH 4수준; 2. 6, 3. 6, 4. 6, 5. 6(대조구)]를 주 2회에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공강우의 pH가 가장 낮은 처리구에서도 외관상 생육 장해를 보였던 작물은 없었다. 벼의 출수기, 간장, 등숙율을 제외한 수량 구성 요소 등은 인공강우의 pH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등숙율과 정조수량은 pH가 낮을수록 낮아졌다. 콩의 경우 성숙기, 100립중을 제외한 수량 구성 요소 등은 인공강우의 pH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100립중과 종실 수량은 pH가 낮아짐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참깨에 있어서는 종실 수량을 비롯한 모든 형질이 인공강우의 pH에 유의성 있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품종과 인공강우의 pH 수준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형질은 어느 작물에서도 없었다. 벼, 콩, 참깨 재배 후 토양의 pH도 인공강우의 pH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몇 수종(樹種)의 종자발아(種子發芽), 유근생장(幼根生長) 및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Radicle Growth and Seedling Growth of Several Woody Species)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30-39
    • /
    • 1992
  • 인위적으로 농도를 조절한 Al용액과 인공산성우처리가 4수종의 종자발아와 유근의 생장, 잎의 피해,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t와 발아 시험기에 종자를 파종하였다.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와 지하수 및 Al 용액(0.5, 1.0 및 2.5 mM aluminum ammoniumsulfate)을 처리하면서 종자발아율, 유근생장, 엽피해율 및 묘목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나무는 pH5.0 처리구에서, 가중나무는 대조구에서, 함박꽃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함박꽃나무와 가중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함박꽃나무는 pH4.0 처리구에서, 가중나무는 대조구에서 각각 묘고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가중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함박꽃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함박꽃나무와 가중나무는 pH4.0 처리구에서, 소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리기다소나무는 pH5.0 처리구에서 각각 최대건중량을 보였다. 4. 처리산성우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피해엽수 및 피해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토양산도는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6. 소나무의 유근생장은 용액의 산도와 Al농도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 PDF

화분생장에 미치는 석탄이온의 작용과 그 농도, 산성도 및 온도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On the action of Ca in pollen growth as influenced by interaction of the different Ca concentration, acidity and temperature)

  • 곽병화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8권1_2호
    • /
    • pp.19-23
    • /
    • 1965
  • Interaction occuring among the different Ca concentrations, pH and temperatures in the promotive effect of Ca in pollen growth was studied by using pollen from Crinum asiaticum and Cryptostegia grandiflora. Data for pollen tube elongation were found to be more indicative of representing the promotive action of Ca ion in pollen growth than those for pollen germination, and were served to evaluate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ollen growth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Ca increase. The optimal pH range for pollen growth shifted from the lower pH to the higher as the concentration of Ca increase. The characteristic Ca effect was disappeared, and no pH effect at various ranges was observed when pollen grains were grown at the low temperature(8$^{\circ}C$). The Ca effect became quite pronounced if temperature were raised. The Ca effect became even mroe striking if the condition was in higher pH ranges (weak alkaline). Higher pH ranges were found to be more favorable for the Ca action, whereas higher temperature was required to bring about more pronounced Ca effect. Thus, the longest pollen tube was obtained with the highest pH, temperature adopted for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Ca in the present experiment, and the shortest tube with the lowest temperature applied at the highest pH. Pectin synthesis in pollen tube was considered as a metabolic process, whereas Ca binding in pectin of the pollen tube wall as non-metabolic in nature. Disappearance of Ca effect at the low temperature was probably brought about by blocking the metabolic synthesis of pectin, and nonmetabolic Ca binding seems to take place more extensively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Ca and at higher pH levels than the lower.

  • PDF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lettuce (Lactuca sativa L.)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acidic and non-acidic soils

  • Yun-Gu Kang;Jun-Yeong Lee;Jun-Ho Kim;Taek-Keun Oh;Yeo-Uk Yun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713-721
    • /
    • 2023
  • Soil acidification challenges global food security by adversely influences soil fertility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Carbonized agricultural residues present a sustainable and ecofriendly way to recycle agricultural waste and mitigate soil acidification. We evaluated the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lettuce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wo soils with different pH levels. Carbonized rice husk was produced at 600℃ for 30 min and rice husk was treated at 1% (w·w-1). Carbonized rice husk increased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carbon content, and nitrogen content compared with untreated and rice husk treatment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lettuce grow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il pH, with increasing soil pH up to pH 6.34 resulting in improved lettuce growth parameters.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also sup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pH and lettuce growth parameters.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 use of carbonized rice husk increase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lettuce, such as carbon, nitrogen, and phosphate content. The potassium content of lettuce followed a similar trend; however, was higher in acidic soil than that in non-acidic soil. Therefore, improving the pH of acidic soil is essential to enhance agricultural productivity. It is considered advantageous to use agricultural residues following pyrolysis to improve soil pH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pH와 탄소원이 Chlorella sorokiniana의 heterotrophic 배양 및 하폐수고도처리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on the growth,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organic compound removal in heterotrophic culture of Chlorella sorokiniana applied wastewater treatment)

  • 박정은;조용범;장산;황선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3-709
    • /
    • 2013
  • Among many microalgae cultivation types, heterotrophic culture with low cost carbon sources and energy saving culture method is crucial. A result of estimating the effects of pH on wastewater treatment using heterotrophic growing microalgae Chlorella sorokiniana show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icroalgae growth amount and nitrogen, phosphorus removal rate by wide range of pH(5 ~ 9). From pH 5 to 9, total nitrogen, phosphorous and glucose removal rates were 10.5 mg-N/L/d, 2 mg-P/L/d, 800 ~ 1000 mg/L respectively. This study reveals that C. sorokiniana cannot metabolite glycerol heterotrophically, however, glucose and acetate were proper carbon sources for growth and T-N, T-P and TOC removal.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potential of heterotrophic microalgal growth with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wide range of pH and carbon sources.

인공산성비가 만수국(Tagetes patula L.)의 생육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Antioxidant System in French Marigold (Tagetes patula L.))

  • 김학윤;김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9-163
    • /
    • 2005
  • 도시의 화단 및 꽃길 조성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만수국을 대상으로 산성비에 의한 식물 피해 양상을 조사하고, 산성비 처리가 활성산소 생성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지를 조사함과 동시에 산성비에 대한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인공 산성비(pH 2.0, 3.0, 4.0, 5.6)를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생육 피해는 심하게 나타났으며 pH 3.0 이하의 처리에 의해 암회색 또는 적갈색의 괴사 반점이 생성되었다. MDA 함량은 pH 2.0 처리에서 약 2배 정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산성비의 $H^+$ 부하량 증가에 따라 DHA/AsA 및 GSSG/GSH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SOD, AP, GP 등의 항산화효소 활성도 산성비의 $H^+$ 부하량의 증가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성비는 만수국 식물에 활성산소 생성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일으키며, 이를 무독화하기 위해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이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관개용수 pH가 벼 생육, 수량, 미질에 미치는 영향(I) (Effect of pH in Irrigation Water on the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 최선화;김호일;안열;허유만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51-554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H of irrigation water on the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It acquire fundamental knowledges to set up irrigation water quality standards. The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treatments using irrigation waters with various pH values(control, 4, 6, 8, 10) and replicated four times with randomized block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ptake of N, P, and K, Ripened grain ratio and yield of rice tended to be reduced at the irrigation water of pH 4 and pH 10. P uptake, Ripened grain ratio and yield of rice at pH 4 wa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K uptake at pH 10 wat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Plant height, SPAD value and protein content of rice were not affected by the pH of irrigation water.

  • PDF

바다부유물질로 만든 퇴비를 시용한 토양에서 발생한 딸기의 질소결핍증 해결 사례연구 (Case Study of N Deficiency Symptom of Strawberry in the Soil Applied with Sea Deposit Compost)

  • 김유학;김명숙;강성수;윤성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23-1026
    • /
    • 2011
  • pH가 높은 바다부유물질로 만든 퇴비를 시용한 토양은 암모니아 휘산이 야기되어 토양 중 질산태 질소함량이 낮고, 딸기는 질소를 흡수하지 못하여 생육이상증상이 유발되었다. 이 토양의 pH를 질산을 처리하여 낮추어 주고 부족한 질소와 인산 및 칼륨을 공급한 결과 회복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pH가 높은 토양에서 발생하는 질소결핍증은 토양의 pH를 낮추어 주어야 회복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복토의 pH 및 칼슘이 양송이의 균사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of Casing Soil and Calcium on Mycelial Growth and Yield of Agaricus bisporus (Lge.) Sing)

  • 박원목;김동수;박용환;곽병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62
    • /
    • 1971
  • 양송이를 재배할 때 복토의 최적 pH와 칼슘원의 효과를 구명코저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양송이 복토의 최적 pH는 7.5이었다. 중성내지 약알카리성토양에서 칼슘의 촉진적 효과가 뚜렷하였다. 즉, 복토에 첨가되는 수산화칼슘 및 탄산칼슘의 효과는 pH교정뿐만 아니라 칼슘의 생장촉진효과도 중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