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inhibitory effects

검색결과 1,197건 처리시간 0.031초

개량된 방법에 의한 사람혈소판으로부터 TGF-$\beta$ 1의 분리 (Purification of TGF-$\beta$ 1 from Human Platelets by an Improved Method)

  • 신충건;김상국;문병조;김평현;전계택;남상욱;김장환;이종원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9-16
    • /
    • 1999
  •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TGF-$\beta$1)은 여러 가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는 관계로 의학적 치료제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혈소판추출, 젤여과, 양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역상 HPLC등 네 단계의 정제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정제공정을 이용한 TGF-$\beta$1을 값싸고 효울적으로 정제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얻어진 TGF-$\beta$1은 비환원조건하에서 SDS-PAGE를 행한 결과 구매된 TGF-$\beta$1 표준품과 일치한 위치에서 한 개의 band가 관찰되어 순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것이 Westem blot를 통하여 TGF-$\beta$1 항체와 결합하는 것으로부터 TGF-$\beta$1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mink lung epithelial cell line 을 이용한 성장저해 실험을 통해 정제된 TGF-$\beta$1이 구매되TGF-$\beta$1 표준품보다 조금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농축혈소판 10단위로부터 약 3.7$\mu$g의 정제된 TGF-$\beta$1이 얻어져 그 최종수율은 약 21%였다.

  • PDF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마늘 물추출물의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Aqueous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 이승윤;남상현;이현정;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0-216
    • /
    • 2015
  • 본 연구는 마늘의 물추출물(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S. aureus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는 각각 24, 48 그리고 24 mg/mL이었으며, 최소살균농도(MBC)는 모든 균에 대하여 96 mg/mL이었다. AGE 24 mg/mL을 E. coli O157:H7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균의 증식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1). 그러나 AGE 24 mg/mL을 S. aureus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AGE 96 mg/mL을 투여한 경우에서는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가 나타났다(p < 0.01). AGE 48 (p < 0.05)과 96 mg/mL (p < 0.001)을 S. typhimurim에 투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늘의 물추출물은 항생제와 화학적 식품보존제의 대체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raB의 발현에 따른 대장균의 성장 저해의 원인 규명 (Implications of Growth Arrest Induced by Overproduction of RraB in Escherichia coli)

  • 류상미;염지현;고하영;신은경;이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3-227
    • /
    • 2010
  • RNase E는 대장균 내에 있는 수많은 RNA의 분해와 가공에 관여하며, 또한 RNA 대사 작용에 관련된 거대한 단백질 복합체인 데그라도좀을 구성하는 중요한 효소로 알려져 있다. RraA와 RraB는 최근에 밝혀진 RNase E의 단백질 저해제이며, 진화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RraA를 발현 시킬 때와는 달리 세포 내에서 RraB를 발현 시키면, RNase E의 과발현에 따른 세포의 성장 저해를 회복시키지 못하고 더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현상이 RraA와 RraB가 세포내 RNase E의 기질들에 대해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 개의 RNase E 기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lE1-타입 플라스미드의 복제수를 조절하는 RNA I과 라이보좀 단백질 S15를 코딩하는 rpsO mRNA의 경우 RraA가 RraB 보다 효과적으로 RNase E의 활성을 저해하며, RNase P의 RNA 구성요소의 전구체인 pM1 RNA에 대한 RNase E의 효소 활성은 RraB가 저해하지 못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RraB가 RraA보다는 높은 기질 특이적으로 RNase E의 효소활성을 저해하며, 이러한 이유로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한 세포의 성장 저해를 RraB의 과발현으로 극복할 수 없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옥수수 (Zea mays) 뿌리의 알데히드 산화효소와 생장에 미치는 텅스텐산 나트륨의 영향 (The Effect of Sodium Tungstate on the Aldehyde Oxidase and the Growth in the Primary Root of Maize (Zea mays))

  • 오영주;조영준;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90-995
    • /
    • 2007
  • 몰리브덴 보조인자 형성을 방해하는 텅스텐산 나트륨이 옥수수 뿌리에서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른 식물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옥수수 뿌리에서도 텅스텐산 나트륨은 그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는데, 억제 활성은 식물체에 직접 처리한 경우에만 나타나고 추출된 효소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효과가 없었다. 텅스텐산은 알데히드 산화효소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Western분석에 의하면 알데히드 산화효소 단백질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반응산물이 효소함량을 증가시키는 양성 되먹임 조절관계를 나타내었다. 텅스텐산 나트륨은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농도에서 옥수수 원뿌리의 생장과 곁뿌리발생을 억제하였지만 굴중성 반응에는 영향이 없었다. 전자의 두 반응은 옥신 절대함량에 의존하고 후자는 상대량에 의존하므로 텅스텐산 나트륨에 의한 옥신 함량 변화로 관찰된 결과들의 설명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뿌리의free IAA의 함량 변화는 검출되지 않았다. 옥신 함량 조절에는 강력한 항상성 기작이 관여하므로 IAA conjugate분해와 nitrilase에 의한 생합성 증가 등 결과 설명에 적용 가능한 내용들을 논의하였다.

고 농도의 비타민 C 첨가가 3T6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on the Growth of 3T6 Fibroblasts)

  • 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51-65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C의 산화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하나인 과산화수소에 착목하여 비타민 C용액 중에서 과산화수소의 발생에 관한 model 실험을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세포에 적용하여 비타민 C에 의한 세포독성의 본체에 e하여 고찰하였다. 3T6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비타민 C의 적절한 농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DMEM-10배지에 비타민 C 0.01~2mM 첨가하여 세포배양을 하였다. 0.01 mM과 0.05mM의 비타민 C를 첨가한 경우 무첨가와 비교하여 세포수가 증가하였으나, 사람의 혈장농도의 약 6배에 달하는 0.3mM이상에서는 증식율이 저하하였으며, 2mM의 농도에서는 거의 증식하지 않고 사멸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배지 중의 과산화수소가 비타민 C로부터 유래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타민 C 첨가후 2시간까지는 급속히 과산화수소가 발생되었고 그 후는 완만히 증가하여, 과산화수소의 발생은 비타민 C의 농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배양시 비타민 C를 배지중에 용해하여 사용하므로 배지중의 비타민 C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발생을 완전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용액 중의 혈청농도가 70% 이상 요구되어지므로 세포배양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고농도의 비타민 C가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원인이 과산화수소의 발생 때문이라고 추측되어, 과산화수소분해효소인 catalase를 배지중에 첨가하여 비타민 C에 의한 세포독성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Catalase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효과 검토에서 0.5mM 농도의 비타민 C에서 발생하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0.5mM 농도 이하의 비타민 C는 세포증식을 촉진하였으나 0.3mM이상의 비타민 C 농도에서는 오히려 세포증식의 억제가 초래되었고, catalase를 첨가한 경우 비타민 C에 의한 세포독성은 발현되지 않았으므로, 비타민 C는 다른 생체성분과 상호작용 또는 자신의 존재농도에 의해 세포증식을 촉진 또는 억제함을 알 수 있다.

  • PDF

백부자 에탄올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성장, 산생성, 부착 및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onitum Koreanum Extract on the Growth, Acid Production, Adhesion and Insoluble Glucan Synthesis of Streptococcus Mutans)

  • 강선영;안소연;이민우;권심교;이동혁;전병훈;김강주;유용욱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2
    • /
    • 2015
  • Streptococcus mutans triggers dental caries establishment by two major factors. One is synthesis of organic acids which demineralize dental enamel and the other is synthesis of glucans which mediate the attachment of bacteria to the tooth surface.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s of Aconitum koreanum (A. koreanum ) on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S. mutans. Ethanol extracts of the A. koreanum showed concentration 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S. mutans, and produced significant inhibition at the concentration of 0.016 mg/m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p<0.05). The extracts inhibited S. mutans adherence to hydroxyapatite treated with saliva, and cell adherence was repressed by 50%, 54% at the concentration of 0.063, 0.125 mg/ml. On the study of activation of glucosyltransferase which synthesizes water insoluble glucan form sucrose, the ethanol extract of A. koreanum showed remarkable inhibition over the concentration of 0.016, 0.031, 0.063 and 0.125 mg/ml (p<0.05). Especially on the concentration of 0.063, 0.125 mg/ml, the extracts suppressed the glucan synthesis by 100%. We analyzed the component of the extracts of A. korean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 of A. koreanum had strong phenolic compound, glycosides and organic aci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koreanum may inhibit the caries-inducing properties of S. mutans, and which may be related with strong phenolic compound, glycosides and organic acids.

당귀잎 추출물의 기능성과 당귀잎을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의 품질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Angelica gigas Nakai Leave (AGL)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malangi Kimchi Added AGL)

  • 김미림;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728-735
    • /
    • 2006
  • 본 연구는 기능성을 가진 무말랭이 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당귀잎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암활성을 검토하고 당귀잎을 0-3%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당귀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sim}$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40-80%, 에탄올 추출물은 37-81%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당귀잎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1,000 ppm 농도에서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29%, 35%였다. 당귀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의 유방암세포(MDA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35%, 32%, 폐암세포(A549 cell)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각각 27%, 23%였다. 무말랭이 제조를 위하여 무를 햇볕에서 15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켰을때 수분함량은 여름무(39.5 %)가 가을무(32.6%)에 비하여 높고, 여름무는 건조과정에서 갈변현상을 나타내었다. 당귀잎을 1-3% 첨가한 무말랭이 김치를 20$^{\circ}C$에서 4주간 저장하였을 때 당귀잎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모수가 낮았으며 당귀잎 첨가에 의하여 무말랭이 김치의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무말랭이 김치의 관능검사 결과, 맛, 색상, 물성, 향, 뒷맛,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당귀잎 2% 첨가한 김치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특히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당귀잎 2%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었다(p<0.05).

$GA_3$ 및 ABA 사용이 매장처리 중 미국삼 종자의 후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_3$ and ABA Application on After-ripening of Panax quinquefolium Seeds during Stratification)

  • Guixing Ren;Feng Chen;Haozhe Lian;Jinghui Zhao;Xianzong Gao;Chongming Gu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83-87
    • /
    • 1996
  • The effects of gibberilin ($GA_3$) on levels of endogenous indole-3-acetic acid (IAA) and zeatin in both fresh and stratified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seeds were investigated. In our first experiment, the fresh seeds were stratified after soaked in 80 ppd $GA_3$ solution for 24 hours. We found that the IAA concentration in embryo increased by 50.7% and 82.1% respectively at the 120th day and the 188th day of stratification, and the zeatin concentration also increased by 3.8% and 51.6% respectively. In our second experiment, we treated the seeds after 134 days stratification with 80 ppm GA3 for 24 hours and then continued to stratify them. We found that the IAA concentration in embryo increased by 32.9% and 17.7% respectively at the 164th day and the 208th day of stratification while zeatin concentration increased by 22.7% and 30.6% respectively In our another experiment, we studied the effects of $GA_3$, abscislc acid (ABA) and GA, plus ABA on germination rate of seeds treated with these plant hormones during stratification. We found that when the stratified seeds whose ratio of embryo had reached 75% were treated with 80 ppm GA3 for 24 hours and then were allowed to be stratified for another 88 days, the weight and length of embryo (p < 0.05), and germination rate (p < 0.01) increased. In contrast, the 25 ppm ABA treated with for 24 hours was found to Inhibit the growth of embryo (p < 0.05) and reduce the germination rate (p < 0.05) . The experiment of combination treatment of $GA_3$ and ABA showed that $GA_3$ could relieve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ABA on the development of the seeds.

  • PDF

Beta-asarone Induces LoVo Colon Cancer Cell Apoptosis by Up-regulation of Caspases through a Mitochondrial Pathway in vitro and in vivo

  • Zou, Xi;Liu, Shen-Lin;Zhou, Jin-Yong;Wu, Jian;Ling, Bo-Fan;Wang, Rui-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0호
    • /
    • pp.5291-5298
    • /
    • 2012
  • Beta-asarone is one of the main bioactive constituent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corus calamu.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it has antifungal and anthelmintic activit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its anticancer effect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s on LoVo colo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to clarify the underlying mechanisms in vitro and in vivo. Dose-response and time-course anti-proliferation effects were examined by MTT assay.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LoVo cell viability showed dose- and time-dependence on ${\beta}$-asarone. We further assessed anti-proliferation effects as ${\beta}$-asarone-induced apoptosis by annexin V-fluorescein isothiocyanate/propidium iodide assay usinga flow cytometer and observed characteristic nuclear fragmentation and chromatin condensation of apoptosis by microscopy. Moreover, we found the apoptosis to be induced through the mitochondrial/caspase pathway by decreasing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reducing the Bcl-2-to-Bax ratio, in addition to activating the caspase-9 and caspase-3 cascades. Additionally, the apoptosis could be inhibited by a pan-caspase inhibitor, carbobenzoxy-valyl-alanyl-aspartyl-[O-methyl]-fluoromethylketone (Z-VAD-FMK). When nude mice bearing LoVo tumor xenografts were treated with ${\beta}$-asarone, tumor volumes were reduced and terminal deoxynucleotide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s of excised tissue also demonstrated apoptotic change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for the first time provide evidence that ${\beta}$-asarone can suppress the growth of colon cancer and the induced apoptosis is possibly mediated through mitochondria/caspase pat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