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cover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9초

토지피복분류에 있어 신경망과 최대우도분류기의 비교 (A comparison of neural networks and 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cover)

  • 전형섭;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3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방법 중 파라메트릭한 분류와 비-파라메트릭한 분류의 대표성을 띤 최대우도 분류법과 신경망을 이용한 분류방법을 사용하여 분류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분류정확도의 평가에 있어서 일반적인 분석가들이 사용하는 훈련지역에 대한 분류정확도의 분석뿐만 아니라, 시험지역에 대한 정확도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최대우도분류기에 비하여 신경망의 분류기가 일반적인 훈련데이터의 분류에 있어서 약 3% 우월하였으며, 지상검증데이터를 사용한 분류결과에서는 시험에 사용된 두 분류기 모두 빈약한 분류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신경망에 의한 분류가 최대우도에 비하여 약 10%정도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asture Vegetation Changes in Mongolia

  • Erdenetuya, M.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105-106
    • /
    • 2004
  • The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ataset is unique or main tool to assess the global, multi seasonal, multi annual, and multi spectral changes over the World. These features are useful for environmental studies in particular, for the vegetation coverage monitoring of the country as Mongolia, where are large pastureland and pastoral animal husbandry, which dependent on natural conditions. Pasture vegetation cover is changing accordingly with both of global climate change and anthropogenic effect or human impacts. Using past 20 years (1982-2001) NDVI derived from NOAA satellite, its dynamical trend has been decreased in all natural zones differently. Also applied the method named "Two Years Differences" which could calculate the number of years with increased or decreased NDVI values at the same place. From May to September have occurred the 9 years maximum decreases of NDVI over Mongolia, but it obtained differently in spatial and temporal scale. In 24.4 ? 32.7% of all territory occurred one year decrease of NDVI and in 18% occurred more than 3 years frequent decrease of NDVI. According to the linear trend of NDVI and in 18% occurred more than 3 years frequent decrease of NDVI dynamics over 69% of whole territory of Mongolia NDVI values had been decreased due to both natural and human induced impacts to the pasture condition. In this paper also included some results of the integrated analyses of NOAA/NDVI and ground truth data over Monglia separately by natural zones.

  • PDF

Terra MODIS 위성영상과 SWAT 모형을 이용한 융설이 충주댐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Snowmelt Impact on Chungju Dam Watershed Inflow Using Terra MODIS Data and SWAT Model)

  • 김샛별;안소라;신형진;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457-46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유역($6,642.0km^2$)을 대상으로 Terra MODIS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과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융설이 댐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WAT 모형의 융설 매개변수인 적설면적 감소곡선(Snow Cover Depletion Curve; SCDC)을 결정하기 위해 10 sets (2000-2010)의 Terra MODIS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적설분포도와 지상 강설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한 적설심분포도(snow depth distribution; SDD)를 도출한 결과, 50% 적설면적일 때의 적설면적감소계수(sno50cov)는 0.4~0.7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년의 융설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융설기간 (11~4월)동안의 유출을 보정한 결과 평균 $R^2$는 0.54이었다. 10년 동안 융설기간의 유출량은 평균 104.3 mm로 연 유출량의 1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 변화: 1983~1994 아시아 지역의 특징 (Land Cover Change: A Regional Context, Asia, 1983~1994)

  • 성정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3-86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월별 AVHRR-NDVI 합성자료와 벡터 자료와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아시아 지역의 각 국가별 토지피복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표 식물에 대한 인간의 영향에 중점을 두고 NDVI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국가별 연평균 변화를 고찰한 결과, 고위도 지역과 중국 동부의 일부 지역과 북서 인도지역에서 NDVI의 증가 경향이 나타났다. NDVI의 감소 경향은 일본과 한국과 중국 동남부의 일부지역과 베트남과 라오스와 캄보디아와 태국과 미얀마와 인도 남서 및 동부의 일부 지역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토지피복 변화 패턴은 인간의 활동을 반영하는 사회경제적 지표들과 크게 일치하였으며, NDVI의 변화 추세는 삼림지역 변화추세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NDVI 변화는 삼림지역의 변화와 인구변화에 민감함을 보였다.

  • PDF

GIS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수질 오염인자의 공간 변화 분석 (A Spatial Change Analysis of Water Quality Pollutant using GIS and Satellite Image)

  • 조명희;권봉겸;부기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0-70
    • /
    • 1999
  • GIS와 두시기의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금호강 상류의 수질 오염인자에 대한 소유역별 공간분포의 변화를 탐지하고 수질측정지점에서 관측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질오염원과 관련 있는 유역의 인자들을 ARC/INFO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1985년과 1997년의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감독분류의 최우법으로 토지피복 분류도를 작성하였다. 아울러 두 시기의 토지이용변화 탐지 및 공간분석을 수행하여 소유역 분지별로 변화면적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수질오염원의 변화량을 단계구분도로 작성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중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질오염인자들 중에서 인구, 가축, 그리고 과수원 밭의 분포변화가 금호강 수질오염의 주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금호강 상류에 있어서의 소유역별 오염원의 분포는 도시지역을 포함하고있는 대창천, 오목천 유역분지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이 본 연구에서 밝혀졌다.

  • PDF

극궤도 기상위성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의 지면피복 분류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Polar Orbiting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 서명석;곽종흠;김희수;김맹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6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극궤도 기상위성인 NOAA/AVHRR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지면 피복을 분류하였다. 일주기 기상위성자료로부터 구름이 없는 상태의 지면상태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10일 간격 최대치 합성법 자료를 작성하였으며 27개의 10일주기 식생지수 자료들(겨울철 12, 1, 2월 자료 9개 제외)로부터 4개의 식생 계절성 자료를 작성하였다. 또한 위성자료로부터 분석한 연 최고 및 연평균 지면온도, 그리고 지형고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지면 피복에 대한 특성 자료 수집이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는 2단계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즉, 초기 입력자료는 신경망 기법의 일종인 SOFM을 이용하여 군집화한 다음 결정나무를 이용하여 각 군집을 분류하였다. 최종 분류 결과는 식생지수의 시계열과 지상 자료로 검증한 결과 대도시, 농지, 낙엽수림 및 상록수림 등 우리 나라의 지면 피복을 개략적으로 잘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소일시멘트 복토후 터널굴착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Soil-Cement Fill for Tunneling)

  • 신일재;강준호;서영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5호
    • /
    • pp.359-368
    • /
    • 2005
  • NATM 터널을 굴착하기에 토피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보통 개착터널공법이 적용된다. 그러나 토피가 매우 낮거나 없는 계곡부에서 개착터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두 곳의 갱구 형성과 복토가 이루어질 때까지 임시 사면에 대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런 경우에는 복토를 통해 토피를 확보한 후 터널을 굴착하는 방안이 유효하다. 이 연구는 터널 굴착이전에 소일시멘트로 복토한 후 굴착작업이 이루어진 대만고속철도 C240현장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소일시멘트의 포틀랜드 시멘트 함유량은 $2\~4\%$이고, 1회 복토층의 두께는 $130\~250\;mm$ 범위가 되도록 시공하였다. 터널 굴착에 따른 소일시멘트 사면 및 터널내 최종 구조물인 콘크리트 라이닝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Cushion plant Silene acaulis is a pioneer species at abandoned coal piles in the High Arctic, Svalbard

  • Oh, Minwoo;Lee, Eun 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1호
    • /
    • pp.1-9
    • /
    • 2021
  • Background: Abandoned coal piles after the closure of mines have a potential negative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such as soil acidification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Therefore, revegetation by efficient species is required. For this, we wanted to identify the role of Silene acaulis in the succession of coal piles as a pioneer and a nurse plant. S. acaulis is a well-studied cushion plant living in the Arctic and alpine environment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t has a highly compact cushion-like form and hosts more plant species under its canopy by ameliorating stressful microhabitats. In this research, we surveyed vegetation cover on open plots and co-occurring species within S. acaulis cushions in coal piles with different slope aspects and a control site where no coal was found. The plant cover and the similarity of communities among sites were compared. Also, the interaction effects of S. acaulis were assessed by rarefaction curves. Results: S. acaulis was a dominant species with the highest cover (6.7%) on the coal piles and occurred with other well-known pioneer species. Plant communities on the coal pi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site. We found that the pioneer species S. acaulis showed facilitation, neutral, and competition effect in the north-east facing slope, the south-east facing slope, and the flat ground, respectively.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stress gradient hypothesis because the facilitation only occurred on the north-east facing slope, which was the most stressed condition, although all the interactions observe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S. acaulis was a dominant pioneer plant in the succession of coal piles. The interaction effect of S. acaulis on other species depended on the slope and its direction on the coal piles. Overall,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ion of coal piles in the High Arctic, Svalbard.

북극권 자원개발 건설환경 조사를 위한 위성 영상 분석 기법 연구 - 캐나다 앨버타주 대상 (Study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echniques to Investigate Construction Environment Analysis of Resource Development in the Arctic Circle - Alberta, Canada)

  • 김세원;김영석
    • 지질공학
    • /
    • 제31권4호
    • /
    • pp.549-559
    • /
    • 2021
  • 북극권은 막대한 양의 화석연료와 광물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개발과 건설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천연자원의 의존도는 매우 높다. 본 논문에서는 북극권 국가 중 비전통(오일샌드) 에너지·자원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인 캐나다(앨버타주)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조사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토지피복도의 픽셀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캐나다(앨버타주) 오일샌드 개발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계절별 건설환경(지표 온도 변화, 적설분포 면적 등)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조사·분석 방법론은 북극권 자원 개발 사업의 성공적 추진과 운영을 위한 전략수립, 기본 설계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편경사지에 굴착한 반개착식 천층터널에서 아치슬래브의 거동 (Behavior of arch slab in the shallow tunnel constructed perpendicular to slope by semi-cut-and-cover method)

  • 양재원;이상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57-164
    • /
    • 2010
  • 최근 아치슬래브를 이용한 새로운 반개착식 터널공법이 터널안정성 확보와 건설비용 감소, 환경훼손 최소화를 위해 적용되고 있다. 반개착식 공법은 원지반을 터널 천단아치부 까지만 굴착하고 아치형 구조물을 설치하여 복토한 후에 터널하반을 굴착하는 공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편경사 지역에서 반개착식으로 굴착 할 경우 편경사에 따른 아치슬래브의 거동을 실내모형실험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아치슬래브의 거동은 원지반의 편경사 크기, 굴착심도, 굴착사면의 경사 및 기반암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치슬래브의 측력은 전반적으로 압축력이 지배하나 편경사가 커질수록, 저지대에서 부분적으로 인장력이 발생하였다. 아치슬래브의 모멘트는 편경사가 증가할수록 고지대에서는 압축모멘트가 발생하며, 저지대에서는 인장모멘트가 발생하였다. 지점반력은 편경사가 커질수록 고지대에서는 증가하며, 저지대에서는 감소하여 좌우편차가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