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by product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저온용출법을 이용한 검은콩, 작약, 녹차 추출물의 두피 개선 효과 (Low-temperature Rendering Technology Applied to Extract Black Beans, Peony and Green Tea for Scalp Repair)

  • 민대진;박녹현;황정선;문성호;이기현;이존환;안수미;김한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1-46
    • /
    • 2009
  • 두피의 이상은 탈모, 비듬, 가려움증 등의 두피 질환으로 이어지며,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여서 발병하면 치료가 쉽지 않다. 따라서 두피의 생리적인 항상성을 유지해서 두피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두피 질환 예방 및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최근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분야에서는 한의학적으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약재들을 원료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한약재는 대량생산과 규격화 등의 문제로 뜨거운 물에 우려낸 열수추출물을 제형에 혼합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온에 의한 영양소와 효능성분의 파괴는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으로 두피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검은콩, 작약, 녹차 잎을 대상으로 성분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저온용출법으로 효능 성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물들의 두피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저온용출물들은 열수 추출물보다 평균 2배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보유하였으며, 모낭 및 모발 강화, 두피 보습, 가려움 방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검은콩, 작약, 녹차잎의 저온용출물은 두피 트러블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두피 개선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Ensiled or Oven-dried Green Tea By-product as Protein Feedstuffs: Effects of Tannin on Nutritive Value in Goats

  • Kondo, Makoto;Kita, Kazumi;Yokota, Hiro-om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880-886
    • /
    • 2007
  • Ensiled or oven-dried green tea by-products (GTB) were evaluated in goats for their nutritive potential as protein feedstuffs based on in vitro and in vivo digestibility.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ea tannin on in vitro digestibility, polyethylene glycol (PEG) was used as a tannin binding agent. Both ensiled and dried GTB contained 31.9 to 32.6% of crude protein (CP) on a dry matter (DM) basis. Phenolics and tannins in soybean meal and alfalfa hay were low or not detected, but they were high in both ensiled and dried GTB (7.3-10.1% DM as total extractable tannins).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in the rumen ranked: soybean meal>alfalfa hay cube>ensiled GTB = dried GTB. The protein digestibility post-ruminally of these feedstuffs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in the rumen, but the digestibility of ensiled GT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ried GTB. Addition of PEG improved the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both kinds of GTB in the rumen and post-ruminally, indicating that tannins suppressed the potential protein digestibility of GTB. The increased protein digestibility by PEG addi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nsiled and dried GTB in the rumen, but the percentage increment of ensiled GTB was higher than dried GTB post-ruminally. In the in vivo digestibility trial, ensiled and dried GTB were offered to goats as partial substitutes for soybean meal and alfalfa hay cubes. Offering both GTB to goats as 5-10% on a DM basis did not affect nutrient digestibility, ruminal pH, volatile fatty acids, and ammonia concentration. However, the eating time of the GTB-incorporated diet was longer than that of the basal diet. It took 1.4 and 1.6 times longer than the control diet, to eat the diet completely when GTB silage was offered at 5 and 10% levels, respectively, of the total diet. These results show that ensiled and dried GTB are useful as partial substitutes for soybean meal and alfalfa hay cubes for goats with respect to nutritive value. Because of lessened palatability, it is recommended that GTB be incorporated into the diet at 5% on a DM basis.

오미자박과 미강 첨가배지가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γ-aminobutyric acid(GABA) 함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chizandra berry dregs and rice bran treatment on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enhancement in Pleurotus ostreatus)

  • 정윤경;김정한;백일선;강영주;지정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8-93
    • /
    • 2017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흑타리'의 기본배지 조성에 농산물 부산물 유래 첨가용 배지를 추가하였을 경우 기억력 증진물질 중인 하나인 GABA(Gamma-amino butyric acid)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지재료와 첨가수준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흑타리'는 5% 녹차가루 처리에서 발이율과 수량이 현저히 떨어졌고, 다시마가루는 첨가된 전체 처리구에서 생육이 불량하였으며, 10% 녹차박과 오미자박 처리구에서는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녹차박 처리구보다는 오미자박 처리구에서 기능성물질 함량이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첨가 수준에 따른 자실체의 GABA 함량은 무처리 대비 녹차가루는 2%, 녹차박은 10%, 다시마가루는 1% 정도 증가되었으나, 오미자박은 5%, 10%, 15%, 미강은 1%처리구에서 1.2~2.1배 수준까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느타리버섯 '흑타리'의 발이율과 생육 뿐만 아니라 GABA 함량 증가를 고려한 적합 첨가 배지로는 오미자박과 미강처리시 가장 양호했으며, 자실체 GABA 함량은 오미자박 10% 처리구에서 2.1배, 미강 1% 처리구에서 12%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사료내 녹차 첨가가 넙치 유어기의 면역성 및 세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Sources of Green Tea on Immune System and Challenging Test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조성환;이상목;박범희;지성춘;권문경;김이청;이종하;박상언;한형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4-89
    • /
    • 2006
  • 사료내 다양한 녹차 원료 첨가에 따른 넙치 유어기의 성장, 면역성 및 세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엑기스를 첨가한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어체중증가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 건조잎 또는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녹차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의 사료전환효율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 건조잎 또는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Iysozyme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과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Iysozyme 활성이 나타났다. 3시간에서의 세균 살해능은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살해능이 녹차 생잎과 부산물 또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6시간에서의 세균 살해능은 녹차 엑기스, 건조일, 생잎, 부산물 및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 대조구에 비하여 엑기스, 건조잎 및 생일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균 공격실험 결과, 복강 주사 2일째부터 넙치의 폐사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4일 동안 폐사는 계속되었으며 녹차 생잎과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서의 누적폐사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누적폐사율을 보였으나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녹차엑기스와 건조잎의 사료내 첨가는 넙치의 면역성 향상과 세균공격성에 내성 향상 면에 있어서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타내었고 $25^{\circ}C$ 실험구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T에서는 수온 스트레스 직후 10 및 $25^{\circ}C$ 실험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의 지남에 따라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15^{\circ}C$ 실험구의 경우에는 6 h째에 가장 높은 CAT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후 차츰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30^{\circ}C$ 실험구의 경우에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SP70 mRNA의 발현은 대조군($20^{\circ}C$)과 비교하여 $25^{\circ}C$ 48 h째 실험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20^{\circ}C$에서 순치된 시볼트전복은 급격한 수온 스트레스에 대해 많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 기작이 분자 레벨인 HSP70 mRNA에서는 신속히 발현되어 스트레스에 대처하지만, SOD나 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다소 늦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의 지남에 따라 $5^{\circ}C$ 내외의 스트레스와 저수온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화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10^{\circ}C$ 이상의 고수온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생리학적 방어기작이 한계점에 이르러 더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옥피 단백질 필름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Corn Fiber Protein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 양현주;이지현;이지현;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45-151
    • /
    • 2015
  • 옥수수의 습식 분쇄 공정 중 나오는 부산물인 옥피로부터 옥피 단백질(CFP)을 추출하였다. 다양한 가소제와 가교제를 첨가하여 CFP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소제와 가교제 중, 2 g fructose와 0.03% cinnamaldehyde를 첨가한 필름이 가장 좋은 물성을 가졌다. 또한 여러 농도(0, 0.5, 1.0, 1.5%)의 녹차 추출물(GTE)을 첨가한 CFP 필름을 제조하였다. GT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FP 필름의 인장강도, 수분 용해도, 불투명도는 증가하였고, 반면에 신장률과 필름의 수분투과도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GTE 첨가한 CFP 필름의 항산화성은 DPPH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는데, GT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리고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aureus 에 대한 항균성 실험을 한 결과 또한 GT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GTE 첨가는 CFP 필름의 항산화, 항균효과를 가져다 준다고 판단된다.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 확인 및 이를 방어하는 피부 외용제 소재의 탐색 (Identification of Ozone-induced Skin Damage and Screening of Antioxidant for Ozone)

  • 최신욱;김창수;정재형;김남경;한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51
    • /
    • 2004
  • Ozone(O$_3$), one of best-known toxic air pollutant, act as a strong oxidant. It is possible that skins exposed to the air can be easily damaged by such oxidative air pollutant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anti-oxidative effects of natural product. on $O_2$ㆍ and ㆍOH were investigated by EPR. Ozone caused protein damage and lipid oxidation, in HaCaT and B16F10 leading ultimately to programmed cell death. It also reduced the level of antioxidant molecules including ascorbic acid and tocopherol in stratum comeum. However, antioxidants originated from natural products could protect skin from these products could protect skin from these oxidative damages. We concluded that eight natural extracts including Rosa davurica, Ligularia sibrica, Green tea acted as strong antioxidants against ozone.

Inhibitory Effects of Corni Fructus Extract on Angiogenesis and Adipogenesis

  • Hwang, Jae-Ho;Kim, Jong-Deo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2011
  • Natural products in Chonnam, Korea were screened via anti-angiogenesis experiments, and 1 candidate product was identified, Corni fructus, which exerted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against angiogenesis, adipogenesis, and cell adhesion. C. fructus extract (CFE) exhibits an angiogenesis inhibitory effect superior to that of the EGCG from green tea leaves. The expression level of angiogenesis and adipogenesis-related signal molecules in the western blotting was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added CFE. Moreover, a diet supplemented with CFE was deemed more effective in inducing weight loss in LB mice than a representative synthetic diet drug, orlistat, which incidently caused the side effect of denuding the mice of their hai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 fructus may prove to be a useful anti-adipogenic compound, and these in vitro results may be reflected later under in vivo conditions.

녹차씨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Seed Shell Ethanol Extracts)

  • 성낙윤;송하연;안동현;유영춘;변의백;장범수;박철환;박원종;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58-965
    • /
    • 2016
  • 본 연구는 산업 부산물의 이용성 증진을 위하여 폐자원인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녹차씨껍질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약 1.4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라디칼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 저해능,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해마 유래 뇌신경세포에 녹차씨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후 $H_2O_2$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독성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뇌신경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항산화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하고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녹차씨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녹차씨껍질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한다면 폐자원인 녹차씨껍질을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

쑥부쟁이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인식도 및 요구도 분석 (The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er Demand of Product with Aster Yomena)

  • 김민성;홍완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6-264
    • /
    • 2020
  • This paper provides basic data for product developers by investigating the consumption status,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er demand on products using Aster Yomena. Two hundred ninety-five people over 20 years of a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In the purchase of Aster Yomena products, men were the higher purchasers except for powder. In age, noodles, wild vegetables, jangajji, tteok, and powder were consumed by those older than 30 years. In an analysis of purchase when developing Aster Yomena products, the male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in all items except for kalguksu in the staple, and male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in only bibimbapseasoning among aster powder addition sauce and all items in dessert. The purchase intention of those older than 30 years was higher in all items of staples, aster powder addition sause and sause The purchase intention of those older than 30 yearse was higher in green vegetables juice and milk tea among drink, and all items except ice cream among dessert. An analysis of the popularization of Aster Yomena revealed higher perceptions of men in the medium (TV, internet, online cafe, agro-fishery market), experience program (area tourism, exposition), and product development (convenience food, recipe development). The medium (agro-fishery market), experience program, and product development were more recognized in their 30s or more. The products with aster yomana require the most effective marketing to men 30 years and older, and require a strategy that will interest those in their 20s.

남은 음식물과 녹차 부산물이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Leftover Food and Green Tea By-Product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우간바야르 담딘수렌;구민정;배인휴;양철주;선상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4호
    • /
    • pp.121-131
    • /
    • 2006
  •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남은 음식물과 녹차 부산물이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시동물은 50주령 Tetran Brown종 산란계 210수를 7처리 5반복 (반복당 6수)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와 옥수수 곡류와 대두박을 대용한 건조된 남은음식물 10, 20, 30 및 40% 첨가구 (10% DLF, 20% DLF, 30% DLF 및 40% DLF)와 1.0%의 녹차 부산물 첨가구 (1.0% GTB)와 30% DLF와 1.0% GTB를 첨가한 혼합 첨가구를 두어 사양실험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산란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10, 20 및 40% DLF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난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10% DLF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보다 20% DLF 처리구와 30% DLF와 1.0% GTB의 혼합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10% DLF 처리구와 1.0% GTB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난황 콜레스테롤은 DLF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변화가 없었다 (P>0.05). 난황의 리놀렌산은 DLF 처리구와 1.0% GTB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