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y coat colo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의 유전 양성과 후보 유전좌위의 유전적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s of Candidate Loci and Inheritance Ppatterns of Gray Coat Color in Jeju Horses.)

  • 한상현;이종언;김남영;고문석;정하연;이성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93-798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전신성 백모색 발생의 유전 양상과 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모색은 표현형과 MC1R 유전자형 분석 자료의 조합을 근거로 결정한 가라, 유마, 적다 등 모든 기본 모색에서 관찰되었다. 제주마에서는 타 품종들에서 KIT 유전자의 이형 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백색에 대한 잠재적 돌연변이 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STX17 유전자의 intron 6 에서 4.6-kb 중복을 보유한 개체들에서 특이적으로 탈색된 백모색이 관찰되었다. 관찰기록과 STX17 유전자형에 따라 제주마에서 관찰되는 탈색된 백화현상은 총마(점진적 백화증, Gray) 로 확인되었다. 가계도 분석에서 총마 형질은 상동염색체성 우성유전형 질로 나타났으며 상동염색체성 열성형질인 albinism과도 구분되었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이 자마 시기에는 명확하게 발현되는 않으며, 종종 다른 표현형들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총마와 이와 유사한 표현형으로 출생 시부터 혼합 모색을 나타내는 조모색, 상처 치료 후 백화, 백반 유사피부 백색증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마와 유전적 배경의 관계를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제주마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미지 데이터와 HTML 색도표를 이용한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의 종피색 분포확인 및 그 응용방법 모색 (Seed Color Classification Method for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Using Imagery Data and an HTML Color Chart)

  • 이수경;이채원;김영욱;백정호;한경덕;강만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50-35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집한 200 자원의 강낭콩 유전자원의 종피 색깔을 분석하여 HTML색 도표에 위치시켜 강낭콩 종피색의 특징을 세분화하고, 종피 내 성분을 예측하는 한편, 종피색의 분류에 따른 응용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다양한 종피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강낭콩 이미지 데이터를 HTML 색도표를 이용해 객관화시켰다. 이를 통해 강낭콩 유전자원의 종피색은 크게 연두색, 노란색, 갈색, 빨간색, 흰색, 회색, 그리고 남색 총 7개 색상에 분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종피색이 각 색상별 농도에 따른 분포를 보인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낭콩 종피는 붉은색에서 농도별 분포가 가장 많았고, 회색과 연두색은 농도별로 분포를 보이지 않고 한가지 색에만 분포했다. 이와 같이 색깔별로 분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우점하고 있는 색소를 예측하자면, 연두색 강낭콩은 클로로필, 노란색 강낭콩은 카로티노이드, 갈색, 빨간색, 흰색, 회색 그리고 남색은 안토시아닌 색소가 종피 색깔에 영향을 많이 주고 있는 색소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렇게 색상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면, 종피색에 따른 체계적인 유전자원의 관리와 육종, 재배에 응용이 가능하며, 정밀한 색 분별을 통한 기호 분석을 통해 마케팅에 응용하거나 원하는 색의 제품 생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팥과 같은 다양한 종피색을 가진 타 작물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Assessment of Phenolic Content, Sapon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Gray, Red, and White Adzuki Bean Germplasm: A Multivariate Analysis

  • Kebede Taye Desta;Hyemyeong Yoon;Myoung-Jae Shin;Sukyeung Lee;Xiaohan Wang;Yu-Mi Choi;Young-ah Jeon;YoungKwang Ju;JungYoon Y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147-166
    • /
    • 2023
  • Seed color is controlled by several genes and is a key trait in determining the metabolite content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egume genotypes. In this study, 296 adzuki bean accessions, including 159 grey, 99 red, and 38 white adzuki beans, were grown in Korea. Variations in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saponin content (TSC), DPPH scavenging activity, ABTS•+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assessed and were reported to be in the ranges of 1.52-8.24 mg GAE/g, 14.36-114.22 mg DE/g, 0.23-12.84 mg AAE/g, 1.05-17.66 mg TE/g, and 0.59-13.14 mg AAE/g, respectively, with a wide variation across adzuki beans. Except for DPPH scavenging activity, the average values declined in the order gray > red > white adzuki beans, each demonstrating a significant variation (p < 0.05). White adzuki beans, which showed low metabolit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clearly separated from the gray and red genotype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Moreover, TPC, TSC,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strongly correlated, regardless of seed color. Overall, the diversity of the TPC, TSC,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 broad population of adzuki bean genotypes was determined.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seed color variation in adzuki bea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tabolit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Superior accessions with high levels of TPC, TSC,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lso discovered and could be used for functional plant breeding and human consum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ed coat color and metabolite concentration in adzuki beans, paving the way for molecular-level analyses.

16세기 탱화에 나타난 조선전기 복식연구 (Study on the Costume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16th Century Taenghwa)

  • 김소현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45-63
    • /
    • 2014
  • In the Taenghwa(Buddhist paintings), the clothing habits of the times can be observed since it depicts the lives of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These 16th century Taenghwas were draw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itual costumes of early Joseon dynasty appearing in works such as oryeui Se-jong-sil-lok; Sejong chronicles and Gyong-guk-Dae-jon. It shows the perception of various types of clothing such as the Myeon-Bok(King's Full Dress), Won-yu-gwan-bok(King's Ceremonial Dress), and Gon-ryong-po(royal robe at work), and describes the early King's Won-yu-gwan-bo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equips Bang-sim-gok-ryong(Round Neck Band). Various officials' uniforms and various men's coats are described. From it, one can visually verify the records of Joong-jong-sil-lok; Joongjong chronicles that describes the appearances of various hats and coats. They also tell us that Chang-ot(light outer coat) was worn prior to the 17th century. It also shows us that the ritual costume of women in Koryo was passed down to early Joseon. Also, in regards to the Buddhist priest costumes, the jang-sam's gray color and ga-sa's red color has been passed down until today.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for clothing materials were horsehair, silk, ramie, hemp, and cotton.

들깨의 성분개량 연구 III. 들깨 품종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Quality Improvement in Perilla III.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 이정일;박충범;손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2
    • /
    • 1993
  • 들깨 국내 수집 유전자원 80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품종육성에 오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최고 28.5%, 최저 17,9%, 평균 24.6%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숙기와 천입중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피색에서는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았는데 암갈색에 비해 은회색은 1.4% 더 높았다. 3. 들깨 수집 유전자원 80종의 총 필수아미노산은 품종에 따라 최고 44.85%, 최저 36.41%, 평균 40.55% 였으며 일반 아미노산 함량은 최고 60.01%, 최저 47.23%, 평균 55.29%였다. 4. 필수 아미노산 함량과 종피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0.3389**) 관계로서 종피색이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들깨에서 필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arginine과 leucine, 가장 적었던 것은 methionine 이었고, 일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e와 asparagine이었다. 6.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lysine, methionine, valine 등의 평균함량은 FAO 권장량 보다 높았다.

  • PDF

들깨 수집종의 생육 및 수량관린 형질 비교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Korean Perilla Collections)

  • 남상영;홍성택;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22-226
    • /
    • 2004
  •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국적으로8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 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2. 천립중은 평균 2.7g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는데, 대부분 중$.$소립종이었다. 립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3. 종피색은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4.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 그리고 화방군당삭수와 화방군장은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당삭수와 천립중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5 .회백색 계통 1개 수집종과 3.5g이상의 대립인 경남 함양 종 등 4개 수집종을 교배모본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케이트 미들턴의 로열 패션(Royal Fashion) 스타일 분석 (Kate Middleton's Royal Fashion Style Analysis)

  • 이승희;김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1호
    • /
    • pp.1-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shion style of Kate Middleton, the Royal Family, and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f Middleton fashion. We selected 314 photographs collected from a Google site and Gettyimages.com April 2011-December 2016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We categorized the situation by domestic events, royal events, diplomatic activities,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analyzed fashion styles focusing on item composition, color, material, silhouette, detail, trimming, and lengt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ne piece was the highest in the combination of items, and the color was the most in white. The color tones were mostly vivid, and the material texture was silky. The image was classic, and the dress code was high in semi-formal. In a situational style, the coat was the most common at the Royal Family events and blue or white of the light tones appeared in the formal style of the classic image. In domestic events, there were many silky textures of modern image, and vivid, strong tonal knee length H line dress was the most prevalent. During diplomatic activities, various colors such as red, green, gray appeared in addition to blue or white and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many dresses of vivid and dark tones of red appeared in the dress code as semi-formal. In conclusion, the stylistic features of Kate Middleton and the Royal Family are largely in the form of royal and noble, low cost and chic, and body-conscious styling.

한국 속 재래품종의 지리적 분포와 형질변이 및 주변지역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Collected Local Lines of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in Korea and Their Ethnobotanical Relation to Adjacent Areas)

  • 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4-339
    • /
    • 1983
  • 재배식물이나 품종의 분화 발달 및 분포와 그의 주변지역과의 개연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재래성이 강한 속품종을 전국적으로 91계통을 수집하여 아세아수개국에서 수집된 238품종 또는 계통과 함께 조사 연구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수집계통의 66%가 차조이고 이들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메조는 32%로서 산간지와 재배밀도가 높았든 제주도에 주로 분포된 경향이었다. 2. 저온(8$^{\circ}C$)에서의 발아율 및 평균발아일수로 나타낸 저온발아성은 수집계통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경기 및 전남북지방에서 수집된 계통들간에 변이가 크고 다양하였으나 품종의 지리적 분포와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다. 3. 수집계통들의 1,000립중은 변이가 크고 대체로 대립품종은 전남 및 제주와 같은 극남부지방 수집계통중에 많고 중북부 산간지에서 수집된 것 중에 소립계통이 많은 경향이었다. 4. 종피색은 황색계통이 전체의 약 70%로서 주류를 이루고 황백색, 등색 및 회색의 순이었으며 경북수집계통들이 가장 다양하고 충남, 전남 및 경남 수집계통들은 모두 황색이며 회색종피는 전남 및 경북 수집계통에서만 볼 수 있었다. 5. 한국 수집계통은 저온발아성이 중화민국품종에 비하여 높은 계통이 많고 또한 일본 및 중화민국 품종에 비하여 대립계통도 많은 경향이었다. 6. Pheonl반응은 한국 수집계통중 2계통을 제외하고는 모두 -반응을 나타내어 일본 및 중공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한 반면에 +반응을 나태내는 품종이 많은 중화민국(대만), 필리핀 및 인도의 품종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7. Esterase isozyme의 분석결과는 한국 수집계통들의 zymogram형은 ZT-1과 ZT-8형이 주이고 ZT-3과 ZT-9형이 약간 있어서 일본품종들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하지만 ZT-4, ZT-9 및 ZT-3형이 주가 되고 있는 중국품종이나 전부가 ZT-1 및 ZT-3형을 나타내는 중화민국, 필리핀 및 인도의 품종들과는 전혀 다른 pattern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한국과 중공이 변이가 많은 다양성의 중심지역임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과 중국 길림성 재래종 들깨의 작물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Perilla (Perilla ocimoides L.) Collected from Korean and Chinese Jilim Province)

  • 김인재;김민자;이철희;윤태;박성규;이우영;남상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9-185
    • /
    • 2005
  •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85점, 중국 길림성 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국내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 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중국 길림성 수집종은 모두 조생종이었다. 1,000립중은 국내 수집종에서는 평균 2.79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고, 대부분 중${\cdot}$소립종이었다. 입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중국 수집종은 평균 2.6g이었으며, $2.2\~3.1g$으로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립중이 다양하지 않았다. 종피색은 국내 수집종의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중국 수집종은 암갈색이 $20\%$, 갈색이 $80\%$이었다.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는 국내${\cdot}$중국 수집종 모두에서, 화방군 당 삭수와 화방군장은 국내 수집종에서, 1,000립중과 성숙기, 화방군수와 경장, 절수는 중국 수집종에서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 당 삭수와 1,000립중과는 국내 수집 종에서, 화방군장과 경장, 분지수, 절수, 화방군수와는 중국 수집종에서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2006-2007 F/W 중국 대련시 여성 스트리트 패션 분석 (An Analysis of 2006-2007 F/W Women's Street Fashion in Dalian, China)

  • 백정현;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2호
    • /
    • pp.59-7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style, color, and items of '06-07 F/W women's street fashion in Dalian. The cultural, racial and geographical uniqueness, asks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individual local area on the part of Korean fashion company desiring to launch into China fashion market. I w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of fashion in northeastern area, thereby, affording a fundamental resources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Korean fashion brands in China. The period of investigation is about 15 weeks from 23 Sep. 2006 until 6 Jan. 2007, with combined use of camcorder and digital camera. The site was Victory Shopping Plaza, in center of City, also with Mycal, Ansung, Dasang department store situated in the Economic Development Zone. Finally, 900 photos were selected for analy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eferred clothing styles are jean casual 45.4%(409), sports casual 16.3%(147), character casual 8%(72), feminine 20.6%(185), Classic 9.7%(87). Compare to the former study about Spring, Sports casual showed dominant rate about 36.0% in casual style. In Winter, however, the preference were changed from sport casual to jean casual. 2. Preferred clothing items are parka/padding coat 32.3%(291), jumper 31%(279), T-shirts 16%(144) and jacket 7.5%(67) for tops, pants 91.8%(826) and skirts 8.2%(74) for bottoms. In the pants, straight pants 78.4%(648), bell bottom pants 10.9%(90), capri pants 7.4%(61), cargo pants 2.9%(24), bermuda pants 0.4%(3) were listed respectively. In the skirts, A-line skirt 51.3%(38), pleats skirt 25.7%(19), flare skirt 12.2%(9), semi-tight skirt 8.1%(6), tight skirt 2.7%(2) were listed. Finally the skirt length midi 75.7%(56), mini 18.9%(14) and maxi 5.4%(4) were listed. 3. Preferred colors are red 21.8%(196), white 21.6%(194), black 16.4%(148), yellow 10.0%(90), beige 9.3%(84), green 7.9(71) and blue 6.3%(57) for tops, and black 40.8%(367), blue 37.7%(339), gray 4.6%(41), white 4.3%(39) etc. for bot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