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avity load

Search Result 37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ASEM을 이용한 KSR-III Nose Fairing 분리운동 예측

  • 옥호남;김인선;라승호;김성룡;오범석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1호
    • /
    • pp.171-181
    • /
    • 2003
  • KSR-III의 탑재부를 보호하고 있는 nose fairing은 목표 고도에 도달하면 화약 폭발에 의한 분리 장치의 작용으로 탑재부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로켓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분리된 fairing이 로켓에 부딪치지 않고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분리력이 가해져야 하며, 이러한 분리력의 결정에 있어서 공기의 영향이 거의 없는 고도도 조건을 가정하였다. 그러나 KSR-III의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발사체의 임무에 수정이 가해졌으며, fairing의 분리도 고도고가 아닌 공력의 영향이 상당 부분 남아 있는 고도 45km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으로써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서도 충분히 안전한 분리를 이룰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병렬형 부스터 분리 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되었던 6자유도 운동방정식 해석 프로그램인 PASEM을 fairing 힌지를 모사할 수 있도록 수정을 가하여 fairing의 분리 운동을 예측하였다. 먼저 지상 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힌지 운동 모사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정확한 분리 조건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고도 45km에서 받음각, 중력 작용 방향, 돌풍의 존재 여부 등을 바꾸어 가며 안전한 분리가 가능함을 판단하였으며, 힌지 이탈각을 60도에서 45도로 줄여줌으로써 훨씬 더 안전한 분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사 당일의 기상 조건의 변화에 따라 분리 고도가 40km로 낮추어져도 안전한 분리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이아그리드 구조시스템의 접합부개발과 성능평가 (An Structural Design for Cyclone Tower's Connections Using Diagrid System)

  • 이세정;이성희;김진호;최성모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05-115
    • /
    • 2010
  • 최근 초고층 건축물은 비정형적 외관을 갖는 랜드 마크적인 역할과 택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수직 도시 기능을 수행한다. 건축물의 외관은 비정형적인 요소로서 3T형태(Twisted, Tilted, Tapered)의 설계안들이 대부분 제안되고 있으며, 세장한 형태의 형상비를 만족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시스템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의 하중 전달 메커니즘은 대각 가새(Diagrid)의 삼각형 형상에 기인하여 중력하중 뿐만 아니라 횡하중을 전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둥이 제거되게 된다. 또한 대각 가새의 축방향 거동(인장/압축)에 의해 전단력을 전달하여 전단 변형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기둥이 전단력을 전달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비정형적인 외관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싸이클론 타워의 건축 계획안을 바탕으로 접합부 디테일 선정 과정과 접합부의 구조안전성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응력집중 완화 방안을 제시하여 적절한 캡 플레이트 두께와 캡플레이트 확장 길이를 제시하여 응력집중 현상을 완화하였다.

  • PDF

한반도 중부권 지각물질의 구조와 물성연구(2) : 퇴적암류 코아시료의 탄성파 속도와 점재하 강도 비교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Earth Crust material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2) : Comparison between elastic Velocity and point-load of core specimen of sedimentary rocks.)

  • 송무영;황인선
    • 지질공학
    • /
    • 제3권1호
    • /
    • pp.21-37
    • /
    • 1993
  • 석회암, 사암과 셰일의 퇴적암 코아시료를 대상으로 암석의 비중, 공극률, 함수율 등을 구하고 탄성파 전파 속도와 점재하 강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이들 암석물성 사이의 관계로부터 석회암에 대한 밀도와 탄성파 속도의 관계는 $Vp=4085d^2-20747d+303,{\;}V_s=3899d^2-21442d+318$의 다소 곡선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밀도가 높은 셰일의 탄성파 속도가 사암에서보다 작으며 이는 셰일의 층리 영향띠문인 것으로 보인다. 석회암, 사암, 셰일의 P파 속도와 S파 소ㄷ도는 대체로 직선 양상을 보여주며 각 관계식은 석회암에서는 $V_s=0.26V_p+1041.6m/sec,{\;}사암은{\;}V_s=0.43V_p+424.2m/sec$, 셰일에서는 r= 0.86으로 나타났다. 석회암에 대한 점재하 강도 시험에 의하면 점재하 강도 이방성을 시료가 다소 호상구조를 보이더라도 뚜렷하지 않았다. $30^{\circ}-60^{\circ}$내외의 변화를 보이는 층리면 경사각은 직경방향과 축방향의 점재하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점재하 강도 실험결과 점재하강도 지수가 증가하면 P파 속도도 증가하지만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았다.

  • PDF

불균형모멘트와 펀칭전단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의 파괴모델 (The Failure Model of RC Flat Plates Considering Interrelation between Punching Shear and Unbalanced Moment)

  • 최정욱;송진규;송호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3-530
    • /
    • 2008
  • 구조설계기준에서, 슬래브의 최대 펀칭전단응력은 연직하중에 의한 직접전단과 불균형모멘트에 의한 편심전단의 조합응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슬래브에 작용하는 펀칭전단응력에 불균형모멘트의 영향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부재의 저항성능 즉 펀칭전단강도에는 슬래브의 불균형모멘트강도 영향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불균형모멘트-펀칭전단 상관모델을 제시하였다. 상관모델에서 불균형모멘트와 펀칭전단의 하중영향 및 저항성능 관계는 2차원으로 표현된다. 상관모델을 이용하여, "슬래브의 펀칭전단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불균형모멘트강도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단보강재가 불균형모멘트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구조설계에 반영하기 위한 유효폭확대계수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상관모델은 하중과 전단보강재에 따른 펀칭전단과 불균형모멘트 강도를 실제 거동에 가깝게 정의할 수 있고 슬래브의 휨지배파괴 또는 전단지배파괴의 최종적인 파괴모드를 쉽게 예측할 수 있어 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을 예측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목재(木材)파아티클과 철선(鐵線) 복합체(複合體)가 보오드의 물리적(物理的) 및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Wood Particles and Steel Wire Compositions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oards)

  • 박헌;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3-44
    • /
    • 1986
  • 목재(木材)파아티클과 성질(性質)이 전혀 다른 철선(鐵線)을 물리적(物理的)으로 결합(結合)시킴으로써 목재(木材)와 철재(鐵材)의 재료적(材料的) 특성(特性)을 서로 보완(補完)하여 목재(木材)파아티클과 철선(鐵線)의 새로운 복합체(複合體)인 목질(木質)-철선(鐵線)보오드를 제조(製造)하고 그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여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하였다. 메란티 합판제조폐재(合板製造廢材)을 이용(利用)한 팔만칩을 12mesh를 통과하고 20mesh체에 남는 큰 파아티클과 20mesh을 통과하고 60mesh체에 남는 작은 파아티클로 구분하여 요소수지를 분무한 다음, 굵기 1mm인 철선(鐵線)을 나비방향과 길이방향으로 1, 2 및 3층(層)으로 배열하여 성형(成型)하고 시험용(試驗用) 복합(複合) 파아티클 보오드를 제조하였다. 1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의 경우에는 철선간(鐵線間)의 배치간격(配置間隔)을 나비방향과 길이방향(方向)으로 각기 0.5cm, 1cm, 1.5cm, 2cm 및 2.5cm 등(等) 5가지로 하여 24가지의 철선구성방법(鐵線構成方法)으로 하였으며, 2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 )보오드는 철선구성간격(鐵線構成間隔)을 1cm로 하였고 철선구성방법(鐵線構成方法)을 3가지로 하였으며, 3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는 철선구성간격(鐵線構成間隔)을 1cm로 하고 철선구성방법(鐵線構成方法)을 11가지로 하여 제조(製造)한 보오드는 대조(對照)보오드를 포함(包含)하여 312개였다. 보오드를 성형(成型)한 열압온도(熱壓溫度) 160$^{\circ}C$, 악력(壓力) 35kgf/$cm^2$, 열압시간(熱壓時間) 9분(分)으로 하여 보오드를 제조(製造)하고 이 목질(木質) 철선복합(鐵線複合)보도드의 물리적(物理的) 및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측정(測定)분석(分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큰 파아티클과 작은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에서 철선구성층수(鐵線構成層數) 및 구성철선(構成鐵線)의 수(數)가 많은 보오드일수록 그 비중(比重)은 컸었다. 2. 큰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는 철선구성(鐵線構成)으로 인하여 두께팽창율(膨脹率)의 감소(減少)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철선구성층수(鐵線構成層數)가 많을수록 이 팽창율(膨脹率)은 더 개선되었다. 3. 큰 파아티클 및 작은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 공(共)히 철선구성층수(鐵線構成層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철선(鐵線)의 강도적(强度的) 특성(特性)이 파아티클 휨강도(强度) 성질(性質)을 보강(補强)하여 파괴계수(破壞係數), 탄성계수(彈性係數), 휨 극한하중(極限荷重) 일량(量) 등(等)이 개선(改善)되었으며, 2층(層) 및 3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의 경우 보오드의 하층(下層)의 철선구성방향(鐵線構成方向)이 보오드의 길이방향(方向)과 일치(一致)하는 보오드가 특(特)히 큰 휨강도(强度) 향상(向上)을 보여 인장라미네이션을 얻었다. 4. 1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는 철선구성간격(鐵線構成間隔)에 따른 개구면적(開口面積)과 파아티클의 크기에 따라 파괴계수(破壞係數), 탄성계수(彈性係數), 휨 극한하중(極限荷重) 일량(量) 등(等)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큰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의 파괴계수(破壞係數)는 개구면적(開口面積)이 1.5~3$cm^2$이고, 나비 방향(方向)의 철선구성간격(鐵線構成間隔)이 1~2cm이면서 길이방향(方向)의 철선구성간격(鐵線構成間隔)이 1.5~2.5cm인 보오드가 높은 값을 나타냈고 작은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의 파괴계수(破壞係數)는 개구면적(開口面積)이 0.5~1.5$cm^2$ 및 3.75~6.25$cm^2$이고 나비 방향(方向)의 철선간격(鐵線間隔)이 0.5cm이거나 2.5cm인 보오드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5. 큰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1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의 탄성계수(彈性係數)는 개구면적(開口面積)이 1.5~3$cm^2$이고 나비방향(方向) 및 길이방향(方向)의 철선구성간격(鐵線構成間隔)이 1~2.5cm에서 큰 값을 나타냈으며, 한편 작은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의 탄성계수(彈性係數)는 개구면적(開口面積)이 0.75~1.25$cm^2$ 민 3~6.25$cm^2$이고, 나비방향(方向)의 철선구성간격(鐵線構成間隔)이 0.5 또는 2.5cm에서 큰 값을 나타내었다. 6. 큰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1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의 휨 극한하중(極限荷重) 일량(量)은 개구면적(開口面積)이 1~3$cm^2$인 보오드가 큰 값을 보였고, 작은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의 경우의 그것은 철선(鐵線)의 개구면적(開口面積)이 좁은 것이 크게 나타났다. 7. 박리저항(剝離抵抗) 및 나사못보지력(保持力)은 큰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3층(層) 및 2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에서 대부분(大部分) 대조(對照)보오드보다 큰 값을 보였으나 작은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보오드에서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큰 파아티클로 제조(製造)한 1층(層) 철선구성(鐵線構成)보오드의 박리저항(剝離抵抗) 및 나사못보지력(保持力)은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水準)을 보였고 작은 파아티클로 제조한 보오드에서는 개구면적(開口面積)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박리저항(剝離抵抗)은 증가(增加)하고 나사못보지력(保持力)은 감소(減少)하는 현상(現象)을 보였다.

  • PDF

실내 모형실험에 의한 지반보강 개량체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Behavior and Strength of Cement using Improved Materials by Laboratory Model Test)

  • 오필진;박민철;이송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7호
    • /
    • pp.19-29
    • /
    • 2012
  • 항만구조물의 기초는 육상과 다른 지층분포 및 기초지반의 특징에 대한 토질 공학적 이해가 필요하며 가장 먼저 접근해야 할 사항은 육상의 지층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약한 점토지반이 주를 이룬다는 것이다. 해상이라는 지리적 환경과 중력식 구조물이 주가 되는 항만구조물의 기초를 시공하기 위하여 연약한 점토지반의 특성에 따라 필연적으로 기초처리 공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항만구조물 기초가 놓이게 되는 점토지반에 대한 기초처리공법 중에서 시멘트계열 개량체의 강도별 거동을 실내 모형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내 모형실험은 시멘트와 물, 원지반 점토를 일정 비율로 교반하여 일축압축강도 기준 25kPa과 125kPa의 2 case로, 시멘트계열 개량체를 직경 5cm, 높이 70cm 크기로 제작하여 직경 38cm, 높이 80cm인 원형 토조에 말뚝식 배치로 11%, 35%, 61%의 치환율로 조성하고 각 단계별로 10kPa, 30kPa, 50kPa의 하중을 재하하여 시멘트계열 개량체와 점토지반에 작용하는 응력분담비, 침하관계를 분석하였다.

스쿼트 동작 시 발뒤꿈치 보조물 경사각에 따른 하지근과 척추기립근의 근육활동 비교 (Effect of Different Heel Plates on Muscle Activities During the Squat)

  • 채원식;정현경;장재익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1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plates($0^{\circ}$, $10^{\circ$}, $20^{\circ}$)under heels on the lower limb muscles and erector spinae during squat exercise. Ten high school korean traditional wrestling players(age: $18.5{\pm}0.7$, weight: $1972.2{\pm}128.5N$, height: $177.8{\pm}6.0cm$, weight of barbell: $1004.5{\pm}132.4N$) performed squat exercise using three different tilting plates under heels at a cadence of 40beats/sec with 80% one repetition maximum load. Surface electrodes were placed on the participants' left and right erector spinae, and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biceps femoris, medial gastrocnemius, and lateral gastrocnemius in the right lower extremity. One S-VHS camcorder(Panasonic AG456, 60fields/s) was placed 10m to the side of the participant. To synchronize the video and EMG data, a synchronization unit was used for this study. Average and Peak IEMG values were determined for each participant. For each variable,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different tilting plates under heels. Wh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lates type, post ho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Tukey procedure. A confidence level of p<.05 was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maximum nEMG values of the tibialis anterior in $0^{\circ}$ pl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the other plates during the knee extension. This increased activation in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indicates an increase in displacement of center of gravity of body. It is very likely that additional muscle activation are needed to stop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muscular activities of quadriceps femoris and erector spina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ngle of plates. This suggests that increasing angle of plate may help to sustain the balance and posture of squat exercise. It is considered that very few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ree different plates($0^{\circ}$, $10^{\circ}$, $20^{\circ}$) since elite players with much experience in squat exercise, were chosen as a participant of this study. In order to obtain meaningful results regarding the tilting angle of heel plates in squat exercise, kinetic and 3D kinematic analysi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study.

중층 트롤 어구 시스템 운동의 유체역학적 시뮬레이션 (Hydrodynamic Simulation of Midwater Trawl System Behavior)

  • 차봉진;이춘우;이주희;김현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2호
    • /
    • pp.164-17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중층 트롤 어구 시스템의 운동을 예측하기 위한 운동방정식을 정의하였고 중층 트롤 어구 시스템의 운동을 유체역학적으로 해석하여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계산한 결과를 해상에서 실험한 결과들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해상실험은 1997년 8월 28일부터 1997년 8월 30일까지 동해상(36$^{\circ}$05'N, 130$^{\circ}$25'2E~36$^{\circ}$20'N,130$^{\circ}$47'E)에서 부경대 실습선 가야호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층 트롤 시스템의 운동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된 운동 방정식은 m$_{i}$equation omitted/=f$_{i}$으로 기술하였고, 여기서 m과 /equation omitted/는 각각 질점 i의 질량과 가속도이며, f$_{i}$는 질점에 작용하는 힘이다. 2. 각 질점에 작용하는 힘은 내력과 외력으로 구성되며, 내력은 질점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으로 어구 시스템 구성에 사용된 각 종 줄과 그물실의 탄성에 의한 힘이며, 외력은 질점에 작용하는 저항, 부력 그리고 중력 등이다. 3.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해상실험의 결과와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끌줄길이 250m, 예망속력 2m/s에서의 전개판 간격, 전개판 수심 망고 그리고 망폭을 비교하였다. 이 때 전개판 사이의 간격과 망폭은 계산치와 실험치가 거의 일치하며, 전개판의 수심과 망고는 각각 5m와 4m의 오차를 가지고 있었다. 4. 시뮬레이션 도중 끌줄의 길이, 예망속력, 부력 그리고 전개판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어구의 형상을 계산한 결과를 앞선 해상 실험들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때 끌줄길이를 증가시킨 경우 어구의 예망수심이 깊어졌으며 전개판의 간격이 증가하였다. 예망속력을 증가시킨 경우 어구가 수면으로 부상하였으며 전개판의 간격이 줄어들었다. 부력을 증가시킨 경우에도 어구가 수면으로 부상하였으며 전개판의 간격과 망폭이 줄어들었다. 마지막으로 전개판의 면적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전개판의 전개력이 증가하여 전개판 사이 간격이 커지고 망폭이 증가하였다.

아산만지역 충적점토의 토질특성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lluvial Clayey Deposits in the Bay Area of Asan (II))

  • 유능환;유연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5-66
    • /
    • 198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engineering properties and correlationshops among the soil constants of alluvial clayey deposits distributed in the bay of Asan and thei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Grain size distribution of soil was consisted of 12 % of clay, 46-73 % of silt, 2-23 % of sand, and as for the consistency characteristics, 26-36 % of liquid limit, 18-21 % of plastic limit and 6-16 % of plastic index, and so the soil belonging to as a lower plastic nonorganic clay, it's specific gravity was 2,66-2.70, and the location on the plastic chart was approximately above the A-line. Z The natural moisture content and unit weight were 30-43 % and 1.76-1.87 g I cm$_3$,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increment of natural moisture content, the unit weight was decreased, and the initial void ratio and degree of saturation were shown of 0,87-1119 and 92- 100 %, most of saturated. 3. Cone resistance value which was shown 2.4 - 6.5 kg / $cm^2$ was a little lower and it was increased with the depth of layer and shown the formular $q_c=0.7_z+1.32$. 4.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was about 0.18-0.43kg /$cm^2$, cu, 0.1-0.22kg / $\psi$, $2-6^{\circ}$ under uu-test condition of triaxial, and CCU, 0.08-0.3 kg/cm , $\psi$, $12-18^{\circ}$ under the condition of cu-test. 5. Pre-consolidation load of characteristics of consolidation was 0.4-0.8 kg / $cm^2$, compression index, about 0.17-0.33. 6. Liquid limit and plastic index were incresased with the increment of clay content but most of alluvial clay was appeared as a normal through non-activity clay soil shown more natural moisture content than liquid limit, and their relationship as follows : LL=0.38( cy+54.8), PI=0.836(LL -17.8), PI =0.468(LL -0.48) 7. The initial void ratio presented correlationship of positive among clay content, natural moisture content and liquid limit, and that of reverse with unit weight, and their results as follws : $e_o=0.024(w_n+0.2)$, $e_o=e_o=0.0003c_y+0.0005 LL+0.0151 W_n+\frac{3.58}{r-t}-1.52$ 8. It was shown that the compression index has correlationship of postive among the clay content, liquid limit, plastic index, natural moisture content and initial void ratio, and their relationships as follows ; $c_c=0.44(e_o-0.47)$, $c_c=0.001$

  • PDF

Comparison of Relative Thickness of the Iliotibial Band Following Four Self-Stretching Exercises

  • Kim, Hyun-Sook;Yoon, Tae-Lim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3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stretching exercises for iliotibial band (ITB) (Side-lying; right hip and knee were flexed to support the pelvis while left hip was extended and adducted, Standing A; side-bending of the trunk on standing with crossed leg, Standing B; same as Standing A, except the hands were clasped overhead and shifted right side, and Standing C; same as Standing B, except moving the arms diagonally downward) to help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self-stretching method to stretch ITB. Twenty-one healthy subjects who do not have ITB shortness from Yonsei University (14 men and 7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to 28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Ultrasound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ITB between the long axis of the ITB and the level parallel to the lateral femoral epicondyle during four self-stretching exercises. All data were found to approximate a normal distribution. We used a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compare the thickness of the ITB among all self-stretching exercises.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alpha}$=.05. The ANOVA was followed by Bonferroni's correction. The overall mean of ITB thickness was $1.14{\pm}.4$ mm (${\pm}$ standard deviation) in resting status. The change in the ITB thickness in percentages between the tested position of each self-stretching exercises and resting status was significant (p<.05) (Side-lying $26.62{\pm}10.18%$ with 95% confidence interval [CI]=21.99~31.25%; Standing A $29.46{\pm}16.19%$ with 95% CI=22.09~36.84%; Standing B $44.06{\pm}14.82%$ with 95% CI=37.31~50.81%; Standing C $53.76{\pm}12.1%$ with 95% CI=48.25~59.29%).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self-stretching exercises except Side-lying versus Standing A (p<.01).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anding C self-stretching exercise was the most effective in stretching the ITB thickness among four types of ITB self-stretching exercises. Additionally, the Side-lying self-stretching exercise using gravity to stretch the ITB is recommended as a low-load (low-intensity), long-duration stre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