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cultivar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산 포도 품종의 주요 페놀계 화합물 함량 비교분석 (Determination of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rs of Grape in Korea)

  • 장석원;김현주;송정희;이기열;김익환;노용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8-334
    • /
    • 2011
  • 폴리페놀화합물인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카테킨, 에피카테킨류는 항암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내 육성 포도 품종과 외국 도입 품종에 대하여 포도내 대표적인 폴리페놀계 화합물인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카테킨, 에피카테킨류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의 함량은 레스베라트롤과 쿼세틴보다 훨씬 높게 검출되었다. 폴리페놀계의 화합물은 과피색 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동일 과피색내의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각 과피색 그룹에서 흑색 포도에서는 캠벨얼리, 청색 그룹에서는 세네카, 그리고 적색그룹에서는 베니가드 품종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성분별로 적게 함유하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는 품종도 일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도 육종개발 및 가공 분야에 응용되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육성 포도 품종 아그데 적포도주 품질 특성 (Red wine quality of new Korean grape cultivar, Ageude)

  • 최정실;박서준;허윤영;이동훈;김수진;임동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47-856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양조용 품종으로 개발한 아그데 품종의 양조 적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캠벨얼리와 머스캣 베일리 에이 그리고 유럽의 양조용품종인 피노 뮈니에와 가메를 이용하여 포도주를 제조하여 일반적인 품질 및 페놀화합물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포도주의 pH는 3.75-4.57이었고 총산 함량은 0.39-0.58%이었다. 아그데 포도주의 산 함량은 0.47%로 다른 품종으로 제조한 포도주에 비해 높지 않았다. 반면,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7.85 °Brix로 다른 시료들에 비해 높은편이었다. 또한, 색에 있어서도 적색도, intensity뿐만 아니라 hue값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페놀화합물 함량과 총안토시아닌 함량에서도 아그데가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프로안토시아니딘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것으로 아그데 품종이 신맛이 적고 단맛이 있는, 총안토시아닌 함량 및 적색도가 높아 색이 진한 적포도주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와인용 품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프로안토시아니딘이 없어서 장기 숙성용 와인보다는 단기 숙성용 와인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아그데 포도 자체의 향이 풍부하므로 아그데 포도주의 향과 맛에 대한 연구와 숙성에 따른 품질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compounds biosynthesized in pink-colored skin of Japanese indigenous Vitis vinifera cv. Koshu grape

  • Kobayashi, Hironori;Suzuki, Yumiko;Ajimura, Kosei;Konno, Tomonori;Suzuki, Shunji;Saito, Hiroshi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1호
    • /
    • pp.79-88
    • /
    • 2011
  • Vitis vinifera cv. Koshu is a traditional grape cultivar that has been grown for centuries in Japan. The Koshu grape has pink-colored skin and Koshu wines have slight astringency. W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e characterization of hydroxycinnamic acids, flavan-3-ols, and flavonoids in Koshu grape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gross weight of phenolic compounds excluding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Koshu grape at harvest was higher than those in Sauvignon Blanc, Chardonnay, and Merlot grapes. In addition, hydroxycinnamic acid and monomeric flavonol contents in Koshu grape were also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grape cultivars. Transcription analysis of cinnamic acid 4-hydroxylase, p-coumarate 3-hydroxylase, caffeate methyltransferase, and flavonol synthase genes indicated high accumulation of hydroxycinnamic acids and flavonols in Koshu grape skin compared with the other cultivars. These findings obtained by chem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partially explained the phenolic characteristics and the peculiar astringency of Koshu grap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Japanese indigenous grape cultivar 'Koshu' (Vitis vinifera) leaf and berry skin during grape development

  • Kobayashi, Hironori;Fujita, Keiko;Suzuki, Shunji;Takayanagi, Tsutomu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225-241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transcriptional profiles of Japanese indigenous grape cultivar 'Koshu' (Vitis vinifera) leaf and berry skin during ripening. In leaf, 64 genes were abundantly transcribed at the end of $v{\acute{e}}raison$ (14 weeks post-flowering), whereas the expression of 61 genes was upregulated at the end of ripening (20 weeks post-flowering). In berry skin, 67 genes were abundantly transcribed at the end of $v{\acute{e}}raison$, whereas the expression of 86 genes was upregulated at the end of ripening.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biological processes was activated in both tissues at the end of ripening.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photosynthesis, sugar synthesis, anthocyanin synthesis, cinnamic acid synthesis, and amino acid metabolism was observed in leaf and berry skin during ripening, together with the accumulation of sugars, anthocyanins, cinnamic acids, and amino acids. Transcripts of AUX/IAA family proteins that repress the activities of auxin-induced proteins were expressed in berry skin at the end of $v{\acute{e}}raison$. Transcripts of genes related to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that degrades AUX/IAA family proteins were abundantly expressed in berry skin at the end of ripening, suggesting that the expansion of skin cells at $v{\acute{e}}raison$ is suppressed by AUX/IAA family proteins, and that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nduces the expansion of skin cells during ripening by degrading AUX/IAA family proteins. These transcriptional profiles, which provide new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Koshu' grapevine during ripening, may expl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shu' grap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European grapes used for winemaking, and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shu' grape quality.

포도 캠벨 품종으로부터 과육 특이발현 VVTL1-homolog 유전자의 분석 (Gene Analysis of A Fruit-specific Thaumatin-like Protein, VVTL1-homolog, from Campbell Cultivar of Grape)

  • 김인중;김석만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55-261
    • /
    • 2001
  • VVTL1은 포도 과육에서 특이적으로 다량 발현되는, PR5 계열의 thaumatin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는 단백질로서, 품종에 따라 염기서열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포도의 VVTL1에 대해서 몇몇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인 캠벨에서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 품종으로부터 VVTL1-homolog 유전자의 게놈 DNA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VVTL1-homolog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PR5 유전자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인, intron이 없는 하나의 exon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염기서열로부터 추론된 VVTL1-homolog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VVTL1을 비롯한 다른 품종의 포도에서 분리된 TLP와는 달리 염기성의 등전점을 가지고 있었다. Primer extension 분석을 통해 전사개시 부위를 결정하였고, promoter영역을 포함하는 5'upstream 지역에 전사에 중요한 TATA box (4개)와 CAAT box (1개)가 존재하였으나, 이들의 위치와 수는 다른 PR5 유전자의 promoter와는 다랐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VVTL1-homolog 유전자의 발현이 과육 성숙과정동안 abscisic acid와 스트레스 또는 자극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고 있음을 제시해준다. 포도 과육특이발현 promoter인 VVTL1-homolog 유전자의 promoter 분리는, 유전자의 도입에 의해 유용형질을 과육에 나타내는 포도품종을 개발하고자 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품질 무핵 포도 품종 '흑이슬' 육성 (Breeding of a Seedless Table Grape Cultivar 'Heukisul' (Vitis sp.) with High Quality)

  • 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507-509
    • /
    • 2011
  • 무핵 포도 품종을 육성하고자 2000년에 'Kyoho'와 'Thompson seedless' 교잡으로부터 '흑이슬'이 육성되었으며, 2004년도에 1차 선발되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두 곳에서 KTS014의 이름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06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흑이슬'은 'King Dela'에 비하여 화방의 과실 착과가 우수하여 화진현상이 낮았다. 발아기는 4월 23일경, 만개기는 6월 9일경이며 수확기는 8월 29일경으로 중생종 품종으로 생각된다. 평균 과립무게는 4.0g이고 당도는 $21.9^{\circ}Brix$이다. 과피색은 과분이 많은 자흑색이고 과육은 단단하다. 착립밀도가 높아 알솎기가 필요 없다. 또한 열과율이 대단히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Carbonic maceration 발효 방법으로 제조된 국내산 포도,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s Early의 포도주 특성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s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 박원목;박혁구;이숙종;강경일;이철호;윤경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73-778
    • /
    • 2004
  • 국내산 Campbell's Early 품종 포도를 사용하여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방법으로 제조된 포도주의 특성을 밝히고자 본 시험을 하였다. 본 방법은 온전한 포도송이를 발효시키므로 과립 파쇄와 과경 제거 작업이 불필요하다. 발효를 위한 yeast를 접종하지 않아도 수율은 77%로 재래식 발효의 수율 76%보다 못하지 않았다. 발효과정에서 발효열이 일어나지 않았다. CM 포도주의 pH는 3.6으로 재래식 포도주의 3.3보다 높았다. 총산도는 0.79%인 재래식 포도주와 차이가 없었다. Tartaric acid는 재래식 포도주가 1,813ppm인데 비하여 CM으로 제조한 free run wine은 4,691ppm이고 pressed wine은 5,633ppm으로 CM wine이 높았으나, malic acid는 재래식 포도주에서 3,446ppm에 비하여 free run wine과 pressed wine이 각각 2,077ppm과 2,275ppm으로 재래식 포도주의 약 2/3 수준으로 낮았다. Citric acid와 acetic acid의 양은 재래식 포도주와 거의 동일하였다. Alcohol 농도는 free run wine이 6.5%이었고, pressed wine은 8.1%로 낮은 편이었다. 색상은 진한청색으로 자연 포도색이었고 포도향이 매우 높았다. 본 발효방식은 국내산 포도주의 품질 향상의 한 가지 방안으로 연구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arentage Identification of 'Daebong' Grape (Vitis spp.) Using RAPD Analysis

  • Kim, Seung-Heui;Jeong, Jae-Hun;Kim, Seon-Kyu;Paek, Kee-Yoeup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67-70
    • /
    • 2002
  • The RAPD data were used to assess genetic similarity among f grape cultivars. Of the 100 random primers tested on genomic DNA, 10 primers could be selected for Benetic analysis, and the selected primers generated a total of 115 distinct amplification fragments. A similarity matrix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bands. The 7 grape cultivars analyzed with UPGMA were clustered into two groups of A and B. The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of cultivars was high. The mean similarity index for all pairwise comparisons was 0.851, and ranged from 0.714 ('Rosaki' and 'Black Olympia') to 0.988 ('Kyoho' and 'Daebong'). After due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in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theoretically identical cultivars, it could be deduced that 'Daebong' is a bud sport of 'Kyoho' cultivar.

국내산 포도와 수입산 포도의 페놀계화합물 함량 (Phenolic compounds in domestic and imported grape cultivars in Korea)

  • 정성민;김수진;허윤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05-211
    • /
    • 2020
  • 국내산 포도 품종 'Campbell Early', 'Kyoho', 'Heukbosuk', 'Hongju Seedless (SDS)'와 수입 포도 'Crimson SDS', 'Thomson SDS'의 페놀계 화합물을 비교하기 위해 LC-MS/MS와 HPLC를 이용하여 함량을 비교하였다. 수입포도 'Crimson SDS'와 'Thompson SDS' 품종은 국내산 포도 품종보다 가벼운 과피무게(300-350 mg)와 단단한 경도(5.2-5.6 kg·f)를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Crimson SDS' 품종의 과피에 함유된 페놀계 화합물 함량은 다른 포도 품종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resveratrol (25-29 mg/kg), quercetin (350-380 mg/kg), myricetin (31-32 mg/kg) 함량은 'Hongju SDS' 품종과 유사하였다. Anthocyanin 함량은 포도 품종에 따라 달랐는데, 'Hongju SDS' 품종은 Delphinidin-3-glucoside의 함량이 높았고, 'Crimson SDS' 품종은 Peonidin-3-glucoside의 함량이 높았다.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포도 부위별 다른 함량을 나타냈고, catechin, epicatechin, procyanidin B1, B2는 포도 종자에서 전형적인 화합물이었다. 과피를 함께 먹을 수 있는 포도품종은 과피에 포함된 유용한 phenolic compounds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Light modulates the transcriptomic accumulation of anthocyanin biosynthetic pathway genes in red and white grapes

  • Puspa Raj Poudel ;Kazuya Koyama ;Nami Goto-Yamamot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292-2999
    • /
    • 2022
  • Anthocyanin,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grape berry skin, strongly affects grape quality. The transcription factors VvMYBA1 and VvMYBA2 (VvMYBA1/2) control anthocyanin biosynthesis. In addition, cultiv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influence anthocyanin accumula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 of shading (reduced light condition) on the transcriptomic regulation of anthocyanin biosynthesis using a red-wine grape cultivar, Vitis vinifera 'Pinot Noir', and its white mutant, 'Pinot Blanc', caused by the deletion of the red allele of VvMYBA1/2. The grape berry skins were analyzed for anthocyanin content and global gene transcription accumulation. The microarray data were later validat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A decisive influence of VvMYBA1/2 on the expression of an anthocyanin-specific gene, UDP glucose: flavonoid 3-O-glucosyltransferase, was observed as expected. In contrast, upstream genes of the pathway, which are shared by other flavonoids, were also expressed in 'Pinot Blanc', and the mRNA levels of some of these genes decreased in both cultivars on shading. Thus, the involvement of light-sensitive transcription factor(s) other than VvMYBA1/2 was suggested for the expression control of the upstream genes of the anthocyanin biosynthetic pathway.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are different among isog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