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ness-of-fit

검색결과 891건 처리시간 0.032초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비교연구 (Integrated calibration weighting using complex auxiliary information)

  • 박인호;김수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3호
    • /
    • pp.427-438
    • /
    • 2021
  • 이단추출은 개체와 집락 단수준별 모집단 특성을 함께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단위수준별 보조정보가 함께 주어질 때, 단위수준별 정보 및 가중치 구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칼리브레이션 가중치를 산출한다면 단위수준별 특성은 물론 수준간의 다변량적 특성도 적절히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Estevao와 Särndal (2006)과 Kim (2019)이 고려한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간단한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이 중 복합보조정보를 개체화한 후 단일단계의 칼리브리이션 조정으로 가중치를 산출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치 평균이 되도록 정의하는 방법과 단위수준별 보조정보를 이용한 수준별 칼리브레이션 조정을 상호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도치 평균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 조정전 가중치의 변동량을 크게 늘리지 않고도 수준간 다변량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락과 개체의 상호간 보조정보에 대한 총합추정의 적합도 측면에서 매우 양호하였고, 칼리브레이션 조정에 포함되지 않는 조사특성들의 총합추정에 대한 상대편향 및 상대 평균 제곱근 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규칙적인 여가스포츠 참여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ipation in Regular Leisure Sports o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in Adolescents)

  • 조형선;황선환;방신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591-60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규칙적인 여가스포츠 참가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과 중학교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6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3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611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가스포츠에 참가하지 않는 청소년 집단보다 여가스포츠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청소년 집단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규칙적으로 여가스포츠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경우 부모가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활동에 동참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가족관계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비참가 청소년, 청소년 자신만 참여하는 집단,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집단 간의 가족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가족친밀성을 제외하고는 여가스포츠 비참가 집단보다 청소년 자신만 여가스포츠에 참여하는 집단이, 청소년 자신만 참여하는 집단보다는 부모가 함께 참가 하는 집단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의 유량구간별 적합성 평가 및 앙상블 모델 구축 (Evaluation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for different flow regimes and development of ensemble model)

  • 유재웅;박문형;김진국;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105-119
    • /
    • 2021
  • 최근 우리나라의 계절적 강우변동폭이 점점 커져 홍수 및 가뭄의 발생빈도와 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변화, 산업구조변화 등은 수자원의 수요량 및 공급량 불균형으로 이어져 수자원 관리에서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역 내의 물순환 평가에 있어서 물수지 모델 구축과 함께 정확한 강우-유출 분석은 매우 중요한 분석단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연속강우-유출모형의 특성을 파악하고 소양강댐 유역에 대해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미계측유역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유량 시나리오를 제시하기 위하여 다수의 모형을 활용하는 앙상블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향후 미계측유역에 대한 적용을 위한 모형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매개변수 개수 및 관측 유량에 대한 재현능력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0개 이상의 국내외 연속강우-유출모형을 소양강댐에 적용하였으며, 통계적 지표를 이용하여 9개의 모형을 1차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모형을 대상으로 매개변수의 개수 및 저유량, 중간유량, 고유량으로 분리하여 재현성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앙상블모형을 제시하였으며, 단일 모형에 비해 개선된 관측유량 재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미용 서비스품질이 호혜성지각·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 영향 (An Impact of Skin Care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Reciprocity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 정인순;황미서;박정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11-419
    • /
    • 2020
  • 피부미용숍의 증가로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서비스품질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숍을 이용하는 고객의 서비스품질이 호혜성지각과 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피부미용숍 운영에 필요한 마케팅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에 소재한 피부미용숍을 이용한 여성 고객 290명을 대상으로 직접방문 및 E-mail, 우편 등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과 Amos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가설에 대한 이론적 모형에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양호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가설 1은 관리사 업무능력, 시설 및 위생, 관리제품은 호혜성 지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채택되었고, 가설 2는 관리사 업무능력, 관리제품, 기기 및 도구가 장기적 관계지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며, 가설 3은 호혜성 지각은 장기적 관계지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따라서 관리사의 업무능력, 시설 및 위생, 관리제품, 기기 및 도구는 고객에게 고마움을 느끼게 하거나 피부미용숍의 지속적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 요소라 할 수 있다.

CART분석을 이용한 교통사고예측모형의 개발 (Developing th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nalysis)

  • 이재명;김태호;이용택;원제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1-39
    • /
    • 2008
  • 본 연구는 도로기하구조 요인과 교통사고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CART분석을 이용하여 전국의 4차로 국도를 대상으로 교통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다중회귀모형, 확률회귀모형과 CART분석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개발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변수간의 복합적인 상호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CART분석을 이용하여 국도의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도로기하구조 요인에 따라 표준교통사고율을 의미하는 교통사고발생도표를 제시하였다. 둘째, CART분석모형에 근거하여 교통사고 발생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도로기하구조 요인이 구간거리(km), 횡단보도폭(m), 횡단길어깨(m), 교통량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CART분석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 CART분석모형이 실제교통사고율을 타 모형에 비해 전반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었으나, 각 모형별로 교통사고율의 크기에 따라 교통사고율이 비교적 낮은 구간에서는 다중회귀모형이, 평균이상의 교통사고율을 나타내는 구간에서는 포아송 회귀모형의 예측력이 높았으며, CART분석모형은 교통사고율의 크기와 상관없이 우수한 예측력을 보였다. 넷째, 도출된 교통사고발생도표는 도로기하구조 조건에 따른 표준교통사고율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도로설계 시에 안전한 기하구조 설계요소 선정기준을 제시 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잦은 지점개선사업추진 시 사업의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등 정책적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부분 데이터를 이용한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 (A Method for Selecting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s Using Partial Data)

  • 박용준;민법기;김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호
    • /
    • pp.9-18
    • /
    • 2015
  •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은 고장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프트웨어 출시일 또는 추가 테스트 노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사용할 때 특정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모든 소프트웨어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이미 많은 수의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특정 조건에 맞는 최적의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기존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에서는 수집된 고장 데이터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초기에 수집된 고장 데이터는 미래 고장 예측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미래 고장 예측 과정에서 왜곡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부분 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합도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고장 데이터에서 과도하게 불안정한 데이터를 제외한 부분 데이터를 사용한다.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에 사용될 부분 데이터는 전체 고장 데이터와 고장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 고장 데이터의 미래 고장 예측 능력의 비교를 통해서 찾는다. 연구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하여 실제 수집된 고장 데이터를 사용해서 전체 데이터를 적용한 경우보다 부분 데이터를 사용한 경우의 미래 고장 예측 능력이 더 정확함을 보인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 on Smart Phone 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4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초등학생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58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와 잠재계층 분류율에 따라 3개 계층 유형이 선택되었다. 유형 1은 모든 지표에서 낮게 나타나 저의존집단(50.1%)으로, 유형 2는 모두 지표에서 높게 나타나 고의존집단(10.7%)으로, 유형3은 모든 지표에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나 중의존집단(39.2%)으로 명명하였다. 스마트폰 의존도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의존집단을 기준으로 중의존집단과 비교했을 때,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중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저의존집단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친구교제시간이 적을수록, 방임의 정도가 낮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저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in college students)

  • 민경인;조성심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89-10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부·모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한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에 재학중인 대학생 250명을 무선표집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3단 회귀 방식으로 매개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안정적으로 애착관계를 잘 형성할수록 진로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줄어든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부·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부와 모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안정적으로 잘 형성될수록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진로미결정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상담 실제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 학교적응을 매개변인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School Adjustment as a Mediating Variable)

  • 장성화;박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63-472
    • /
    • 2013
  •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 간의 상관계수와 이들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과정에서 학교적응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371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1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의 하위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학교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AS-20의 한국판 3종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비교 (Comparis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Korean Versions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 정운선;임효덕;이양현;김상헌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1호
    • /
    • pp.77-88
    • /
    • 2003
  • 연구목적: 1985년 Taylor 등이 발표한 TAS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1992년 TAS-20으로 개정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혼재되어 쓰이고 있는 세 가지 TAS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를 비교하여 가장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척도를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첫 번째 척도는 1996년 이양현 등이 개발한 것{이후 TAS-20K(1996)}이다. 두 번째 척도는 위 연구에서 "어떤 문제를 묘사하기보다는 분석하는 편이다"라고 직역한 5번 항목의 결과가 예측치와 상반되어 '분석하다'라는 단어에 대한 우리나라와 서양의 문화적 견해 차이를 고려하여 5번 문항을 수정 제안한 것{이후 TAS-20K(2003)}으로서, 타당도와 신뢰도의 호전을 검증하지 않은 것이다. 세 번째 척도는 1997년 신현균과 원호택이 TAS-20을 번역한 것(이후 S-TAS)으로 20항목의 원래 항목 수를 23개로 수정 번역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방 법: 의학과 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척도의 서로 다른 항목, 즉 TAS-20K(1996)의 20항목, TAS-20K(2003)의 수정 제안된 1항목, S-TAS의 23항목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구성된 하나의 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세 가지 척도의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Cronbach $\alpha$ coefficients)를 구하였고 타당도를 비교하기 위해 확증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 과: TAS-20K(2003)은 TAS-20K(1996)보다 내적 일치도가 호전되었다.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척도의 세 요인 구조를 재현하였고, 우수한 내적 일치도와 받아들일 만한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S-TAS는 19번 항목이 요인 2와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고, 이전 연구에서와 같이 2번 항목과 요인 1간의 상관성이 재현되지 않아 본래 요인 2에 속한 19번 항목을 요인 1에도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지 않았다. 결 론: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본 TAS-20의 번역판으로서 우수한 타당도와 받아들일만한 신뢰도를 보였다. 그러나 TAS-20K(2003)은 원본과 동일한 항목 수와 구조, 동일한 점수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TAS-20은 이미 1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는 도구이나, S-TAS는 항목 수 및 점수 체계, 요인 구조를 원본 TAS-20과 다르게 변형시켜 국제적인 비교 연구를 위해서는 제한점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감정표현불능증의 국내 연구에서 TAS-20K(2003), 즉 TAS-20K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