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no-$\delt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1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Glucosidase$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 Chun, Soon-Bai;Kim, Dong-Ho;Kim, Kang-Hwa;Chung, Ki-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188-196
    • /
    • 1991
  • The ${\beta}-glucosid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P. verruculosum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enzyme was a glycoprotein with a relative size of approximately 220 kDa with an isoelectric point of 4.8, which was composed of dimeric protein of 105 kDa. The enzyme was stable up to $60^{\circ}C$ and the presence of glycerol significantly increased its thermostability. The enzyme was found to hydrolyze both ${\beta}-aryl$ and ${\beta}-alkyl-glucosides$ in addition to ${\beta}-glucosyl$ glucose and catalyzed glucosyl transfer to cellobiose. The enzyme attacked laminarin in an exotype-like fashion. The apparent Km's of the enzyme toward cellobiose, laminaribiose, laminarin were 0.53 mM, 0.35 mM and 1.11 mM, respectively. Glucose and glucono-${\delta}-lactone$ were competitive inhibitors for the enzyme. Copper ($Cu^{2+}$), mercury ($Hg^{2+}$) and p-chloromercuribenzoate were strong inhibitors of the enzyme. The immunoblotting result revealed that one form of ${\beta}-glucosidase$ was biosynthesized, irrespective of carbon sources use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the in vitro translated product of total RNA from avicel grown mycelium established that the P. verruculosum ${\beta}-glucosidase$ precursor was approximately 95 kDa in size.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are given.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beta}$-Glucosidase Produced by Phoma sp. KCTC11825BP Isolated from Rotten Mandarin Peel

  • Choi, Jung-Youn;Park, Ah-Reum;Kim, Yong-Jin;Kim, Jae-Jin;Cha, Chang-Jun;Yoon, Jeong-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5호
    • /
    • pp.503-508
    • /
    • 2011
  • A ${\beta}$-glucosidase from Phoma sp. KCTC11825BP isolated from rotten mandarin peel was purified 8.5-fold with a specific activity of 84.5 U/mg protein. The purified enzyme had a molecular mass of 440 kDa with a subunit of 110 kDa. The partial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rified ${\beta}$-glucosidase evidenced high homology with the fungal ${\beta}$- glucosidases belonging to glycosyl hydrolase family 3. Its optimal activity was detected at pH 4.5 and $60^{\circ}C$, and the enzyme had a half-life of 53 h at $60^{\circ}C$. The $K_m$ values for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and cellobiose were 0.3 mM and 3.2 mM, respectively. The enzyme was competitively inhibited by both glucose ($K_i$=1.7 mM) and glucono-${\delta}$-lactone ($K_i$=0.1 mM) when pNPG was used as the substrate. Its activity was inhibited by 41% by 10 mM $Cu^{2+}$ and stimulated by 20% by 10 mM $Mg^{2+}$.

제조조건에 따른 두부의 물성연구 (Rheological Studies of the Tofu upon the Processing Conditions)

  • 김학정;김병용;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4-328
    • /
    • 1995
  • 두부의 제조공정(응고제 종류 및 양, 두유가열온도, 성형압력)에 따른 두부의 물성학적 성질의 변화를 파손강도와 응력완화현상을 이용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각 응고제$(CaCl_2,\;MgCl_2,\;CaSO_4,\;GDL)$ 중에서 $CaCl_2$가 가장 뛰어난 파손강도를 보였으며 대부분 0.3%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가열온도는 $95^{\circ}C$에서 최대의 강도를 나타내었고 성형압력 15 kgf에서 모든 응고제를 이용한 두부는 성형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성형압력이 높을수록 두부조직의 강도도 증가하였다. 각 제조조건에 따른 응력완화 실험에서는 초기응력 값이 파손강도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탄성성분과 점성성분 또한 파손강도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응력완화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두부조직의 물성을 수학적 모델에 적용하여 조직의 변화를 수치화하여 설명하였다.

  • PDF

GDL 두부의 품질 평가 (Nutritive Quality Evaluation of GDL Soybean Curds)

  • 김상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1984
  • 본 실험은 국내산대두와 수입대두를 GDL로 응고 시킨 두부의 화학성분, 무기성분, 구성아미노산, 객관적 평가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두부제품의 영양적인 면과 기호면을 분석 평가하여 단백질 급원식품으로서 그 이용도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부의 수율은 D-GDL두부가 I-GDL 두부보다 높아 대두품종에 따른 차가 있었다. 2. 단백질함량은 D-GDL 두부가, 회분함량은 I-GDL 두부가 더 높았다. 3.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보통두부의 아미노산 함량보다 높았으며 D-GDL 두부는 I-GDL 두부보다 높았다. 4. Hardness, toughness, springiness, chewiness는 D-GDL 두부가 I-GDL 두부에 비하여 그 값이 높았으며 elasticity, cohesiveness는 거의 차가 없었다. 5. 색상은 D-GDL두부가 I-GDL 두부보다 더 희었으며 a, b값은 거의 차가 없었다. 6. 기호면에서 볼 때 GDL 두부는 우리의 식성에 맞지 않았다.

  • PDF

응고제에 따른 스피루리나 첨가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irulina Tofu Prepared with Different Coagulants)

  • 김효진;이승희;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69-775
    • /
    • 2010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with added tofu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coagulants ($CaSO_4$, $MgCl_2$, Glucono delta lactone (GDL), vinegar). The yield of the spirulina tofu was the highest when coagulated with GDL. The pH of spirulina tofu with $MgCl_2$ was the highe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coagulants. The tumidity of spirulina tofu was the highest with $MgCl_2$. In the color analysis of spirulina tofu, the L (lightness) value was the highest with $CaSO_4$, whereas a (redness) value was the highest with $MgCl_2$. C-phycocyanin contents were the highest with the $CaSO_4$. Phycoerythrin of spirulina tofu for vinegar was 0.194 mg/mL, and GDL content was 0.214 mg/mL. Additional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tofu was the highest with $MgCl_2$ $IC_{50}$ values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pirulina tofu with $MgCl_2$ was 89.2 mg/g, GDL 93.5 mg/mL, $CaSO_4$ 116.7 mg/mL, and vinegar 118.0 mg/mL. The texture analyses (TPA) results showed that hardness was in the order of vinegar>$MgCl_2$>GDL>$CaSO_4$. For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preference test, the spirulina tofu that was made using $MgCl_2$ coagulant had the highest scor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gCl_2$ is the proper coagulant for the preparation of spirulina with added tofu.

초고압처리 및 결착제 첨가가 재구성 돈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Binding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 최예철;정경훈;천지연;최미정;홍근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64-67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육의 재구성에 첨가되는 식염의 함량을 줄인 저염 재구성육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결착제의 활용, GdL 첨가 및 초고압처리 수준에 따른 재구성돈육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첨가된 0.5% GdL 수준은 제품의 pH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며, GdL 자체 혹은 초고압처리에 의한 식육단백질의 젤 형성에 기인하여 효과적으로 pH 저하에 따른 보수력 감소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된 결착제에 의한 부가적인 보수력 및 조직감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초고압 처리 및 GdL을 조합 사용함으로써 식육 재구성에 요구되는 식염의 함량을 0.5%까지 저감시킬 수 있었으며,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을 활용한 식육 재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인삼첨가 두부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인삼 첨가량, 첨가방법 및 응고제의 영향 연구 (A Study of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seng Soybean Curd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 김경탁;임지순;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65-969
    • /
    • 1996
  • 인삼의 풍미와 효능이 가미된 건강두부제조를 위하여 인삼의 첨가방법, 첨가량, 응고제의 종류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삼첨가 방법과 첨가량은 두부의 조직특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응고제로 GDL을 첨가할 경우에는 염화칼슘이나 염화마그네슘을 첨가하는 경우보다 각각 1.2배, 1.5배 더 단단하였으나 탄력성은 GDL두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색도는 L값이 인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떨어졌으며 염화칼슘을 응고제로 사용한 경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a값은 인삼을 분말로 첨가한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b값은 인삼을 첨가한 두부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구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두부의 관능적 특성치는 인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과 콩비린내가 유의성있게 감소하고 인삼맛이 강하게 감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는 인삼 첨가량과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삼 첨가량이 0.25% 이하일 때는 대조구와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인삼 첨가에 관계없이 염화마그네슘 두부와 염화칼슘 두부의 특성이 비슷하고 GDL 두부가 이들에 비해 탄력성, 인삼맛, 기호도 면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PDF

산에 의한 우유단백질의 응고속도에 염과 온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s and Temperature upon the Rate and Extent of Aggregation of Casein during Acidification of Milk)

  • 김병용;김명환;킨셀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2-48
    • /
    • 1992
  • 0.1N HCl 이용하여 빠른 산성화를 시켰을 때에 우유의 응고속도와 그 정도는 온도와 pH에 따른 점도 변화와 혼탁도 변화로서 측정하였고, DGL을 이용하여 천천히 산성화 시켰을 때에 우유의 겔화 과정은 rheological scanner로서 측정하였다. 우유의 겔화 과정은 rheological scanner로서 측정하였다. 우유 casein의 응고는 pH 5.0에서의 돌연한 점도증가로서 나타났으며 산에 의한 응고형성의 기점 pH로 삼았다. 산에 의한 응고속도는 $20^{\circ}C$에서 $50^{\circ}C$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졌고 최대 응고속도는 pH5.0에서 일어났다. 염($CaCl_{2}$)의 첨가는 모든 온도범위에서 최대 응고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응고가 시작되는 pH 및 최대 응고속도가 일어나는 pH를 변화시켰다. 천천히 산성화 동안에 생성되는 겔의 초기 형성 시간과 조직 형성속도는 Cl 이온에 의해 촉진되고 SCN 이온에 의해 억제되었다. 겔에서 생겨나는 syneresis 현상은 저온으로 갈수록, pH가 4.6에 접근할수록 심했으며, $90^{\circ}C$에서 5분 동안 열처리한 우유에서는 가열온도($60{\sim}90^{\circ}C$)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 PDF

응고제가 우유 첨가 두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gulants on the Quality of Soybean Curd Added With Cow's Milk)

  • 김태영;김중만;조남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70-378
    • /
    • 1994
  • 두유에 우유를 40% 첨가시킨 두부 제조를 위하여 각 응고제별 및 첨가농도별로 두부를 제조하여 gel형성, 순물(whey)의 탁도, 단백질함량, 두부 생산량, 무기질함량, 조직특성과 색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Calcium염 응고제는 0.3%(v/v), magnesium chloride는 0.4%, 유기산 응고제는 0.2% 첨가수준에서 대두와 우유 단백질의 공침전이 일어났으며 각 응고제 첨가비율에 비례하여 whey 탁도와 단백질의 유출량이 낮아졌다. 각 응고제 첨가 적정수준은 calcium acetate, calcium sulfate, calcium lactate 가 각각 1.2%(v/v), calcium chloride, gluconodelta-lactone이 각각 1.0%(v/v), magnesium chloride, lactic acid 0.8%(v/v), acetic acid는 0.6%(v/v)였으며 두부 생산량은 calcium chloride를 응고제로 사용했을 때 가장 높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calcium염 응고제가 유기산 응고제보다 Ca은 약 3.3배 많았고 K, Mg, Na, Fe도 약간 높았다. Texturemeter에 의한 우유 첨가 두부의 조직특성 조사결과 가장 단단한 두부는 acetic acid 두부이었고 calcium염 중에서는 calcium sulfate가 단단하였다. 응고제별 두부의 색도 비교에서 명도는 유기산 두부가 약간 높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calcium염 두부가 높았다.

  • PDF

젓갈류의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연구 (Studies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Jeotk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 조학래;박욱연;장동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52-660
    • /
    • 2002
  • 젓갈류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젓갈 변질 원인균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 항균성 물질을 탐색하여 이를 젓갈에 첨가해 그 보존 효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젓갈에 기존 첨가 중인 원료 중에서 일부가 젓갈의 변질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첨가 원료의 조성을 변화시켜 조제한 젓갈에 대해서도 그 보존 효력을 조사하였다. 총 32종의 약용 및 식용 식물류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젓갈분리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송지, 감초, 오배자, 울금 추출물이 젓갈 변질균에 대한 증식억제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둘 중에서 현행 식품공전상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 가능하고 식품의 관능적인 품질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송지를 젓갈용 천연 보존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송지의 에탄올 용해액에다 등량의 물을 첨가하면 용해도 차이에 의해서 지방형태의 응집 침전물이 생성되었는데, 이는 비항균성의 불순물이었다. 이 침전물을 제거하여 얻은 송지 현탁액은 송지속의 약 77%에 해당하는 고형분이 제거된 것으로서 송지 특유의 냄새도 상당히 줄어들었으며, 젓갈에서 분리한 세균류에 대해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한편 젓갈의 생산 현장에서 기존 사용되고 있는 원료 중에서 미생물의 증식에 쉽게 이용될 수 있고 가스발생의 원인이 되는 물엿, 설탕을 솔비톨로 대체하고, 유기산인 비타민C와 젓산을 미생물의 증식 억제효력이 있는 산미료인 글루코노델타락톤으로 대체시켰으며, 오염도가 높은 일반 고춧가루를 방사선 살균한 무균 고춧가루로 대체시킨 젓갈(이하 변형구 젓갈로 명명)을 제작하여 이 젓갈의 보존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변형구에다 천연 보존료로 송지 현탁액을 1.0% 첨가한 젓갈도 제작하여 보존효과를 함께 조사하였다. 제조한 오징어젓갈을 $20^{\circ}C$에 저장하면서 보존효과를 조사한 결과, 변형구가 대조구에 비해 4일 가량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변형구에다 송지 현탁액을 첨가한 시료는 6일 가량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창란젓갈을 $20^{\circ}C$에 저장하면서 보존효과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는 저장 초기부터 균수가 꾸준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24일경에 용기 외부로 액즙이 유출되고, 저장 42일경에 고형분의 액화가 시작되어 상품가치가 소실되었다. 그러나 변형구와 변형구에다 송지 현탁액을 첨가한 창란젓갈은 저장 90일차에도 고형분의 액즙화나 액즙의 유출도 없었고, 미생물학적 품질과 화학적 품질도 초기와 별 차이없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변형구의 방식으로 창란젓갈을 제조하기만 해도 여름철을 제외한 계절에는 제품의 상온유통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