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hous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5초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동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지붕경사각의 영향 (Effect of roof slope o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multispan glasshouse by a computer simulation)

  • 김용현;이석건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27-32
    • /
    • 1998
  •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유리온실은 네덜란드에서 수입된 벤로형(Venlo type or Dutchlite)과 벤로형에 비해서 동고가 높으며 온실 한 동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광폭형(widespan type)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벤로형 은실의 측고는 3.5~4.0m로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한 동의 폭과 지붕경사면의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온실의 지붕경사각은 대부분 22$^{\circ}$를 나타낸다. (중략)

  • PDF

Phytophthora sansomeana에 의한 큰꽃삽주 역병 발생 보고 (Occurrence of the Phytophthora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sansomeana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안태진;박명수;정진태;김영국;김용일;이은송;장재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04-411
    • /
    • 2019
  • Background: In September 2017, wilting and rhizome rot symptoms were observed o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in Jecheon-si and Eumseong-gu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hitherto unidentified pathogenic fungi from A. macrocephala and to test the pathogenicity of isolated fungi against Atractylodes spp. genus such as A. macrocephala, A. japonica, and their interspecific hybrids. Methods and Results: The diseased plants were washed with running tap water,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healthy area and the diseased area was cut while the pathogens were isolated by growing cultures from the diseased areas on Phytophthora semi-selective mediu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the isolates was used in this study for identification. Test plants were cultivated in the glasshouse at 20℃ - 30℃ for 4 months and then used for pathogenicity test. The pots with plants inoculated with mycelial plugs and zoospores were placed at 25℃ for 48 h in a dew chamber where relative humidity was above 95%, and then moved into the glasshouse at 20℃ - 30℃.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hogenicity of the strains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symptom of plant wilting. The inoculation test was performed in three replicates with a non-treated control. Conclusions: On the basis of results of ITS sequence analysis, the strains isolated from the diseased plant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sansomeana. Biological assay using test plants confirmed the pathogenicity of P. sansomeana against Atractylodes macrocephal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hizome rot in A. macrocephala caused by P. sansomeana.

Antifungal Activitie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on Barley and Cucumber Powdery Mildews

  • Choi, Gyung-Ja;Kim, Jin-Cheol;Jang, Kyoung-Soo;Lee, Dong-H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2호
    • /
    • pp.2071-2075
    • /
    • 2007
  • Fourtee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having both insecticidal activity and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were selected and tested for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omato late blight, wheat leaf rust, tomato gray mold, and barley powdery mildew in growth chambers. All the isolates represented more than 70% disease control efficacy against at least one of four plant diseases. Specifically, 12 isolates exhibited strong control activity against barley powdery mildew. Under glasshouse conditions, four (50-02, 52-08, 52-16, and 52-18) of the isolates also displayed potent control efficacy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 thuringiensis isolates that have disease control efficacy against powdery mildew of barley and cucumber as well as insecticidal activity.

Biocontrol Effect of Gliocladium virens G1 and Soil Amendment on Astragal Stem Ro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 Chung, Bong-Koo;Yun, Kyung-Ho
    • Mycobiology
    • /
    • 제28권4호
    • /
    • pp.180-184
    • /
    • 2000
  • In order to find an environment-friendly method to suppress astragal stem rot caused by the isolates of Rhizoctonia solani AG 1 and AG 4, we tested an antagonistic fungus Gliocladium virens G1 was evaluated as a biocontrol agent and estimated inorganic compounds and organic materials were tested for their effect of the disease suppression. G. virens G1 effectively inhibited mycelial growth in a dual culture and caused mycelial lysis in the culture filtrate. No adverse effect was observed when examined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Promoted seedling growth was observed with the seed treatment. Seeds of astragal plant were germinated higher in the sterile soil than the natural soil. Of 14 inorganics tested, alum, aluminum sulfate and calcium oxid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germination. Milled pine bark and oak sawdust also suppressed the mycelial growth. Soil amended with 1% of G. virens G1 composted with pine bark (w/v) significantly controlled astragal stem rot in the glasshouse experiments.

  • PDF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대두의 물질생산에 관한 생태생리학적 연구 제1보. 토양수분조건이 콩의 증산작용, 건물생산속도 및 요수량에 미치는 영향 (Ecophysiological Studied on the Matter Production of Soybean to the Environmental Stress)

  • 이충열;김성만;김용철;최인수;박현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8-374
    • /
    • 1999
  • Three soybean cultivars, Hwangkeum, Tanyeob and Enrei were planted in the same pot under glasshouse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t soil water content such as pF 1.4(wet), 2.1(control) and 3.6(dry) on the transpiration rate, dry matter production and water requirement. The transpiration rate remained the high constant rates under the wet soil condition and the control than the dry condition, and showed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transpiration rate and solar radiation under the all condition of soil water. The transpiration rate highly increased in the morning, but dramatically decreased in the other time in a day. The dry matter production was higher under the conditions of wet soil and the control than that under the dry condition. Also, the dry matter production Tanyeob was higher than other cultivars under all soil water content. The water requirement was higher for Enrei and lower Tanyeob than the control.

  • PDF

일반화선형혼합모형을 통한 해충밀도의 시공간분포 연구 (A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a Pest vi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 박흥선;조기종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2호
    • /
    • pp.185-196
    • /
    • 2004
  • 농작물에 기주하는 해충의 밀도추정은 해충종합적 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의 중요한 연구분야이다. 이는 농약을 살포한다든지 천적을 방사하는 것과 같은 인위적인 방제관리의 성패여부가 해충밀도에 대한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온실장미에서 서식하는 점박이응애의 밀도분포를 일반화 선형혼합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 있다. 자료습득이 식물체의 일정 부위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경시적 자료분석의 개체특정(Subject-Specific: SS)방법과 모집단평균(Population-Averaged: PA)방법을 모두 사용한 후에,그 결과를 비교, 검토 하였다.

토마토 암면양액재배시스템에서발생한 Fusarium 근두썩음병(가칭) (Fusarium Crown Rot of Tomatoes on a Rockwool Culture System)

  • 이충식;박은우;이충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4-67
    • /
    • 1994
  • Crown rot was found find tomatoes growing on a rockwool culture system in a glasshouse at Dongkwangyang in 1992. The disease occurred on the stem of 'Trust' tomato plants with 3~4 cluster of flowers. Infected plants showed stem girdling and necrosis at or slightly above the rockwool line. Internal tissues of crown and stem including cortex, vascular bundle, and pith became decayed resulting in a chocolate-brown discoloration extending no more than 10~15 cm above the crown. Diseased tomato plants with the similar symptoms were found at Ansung and Taejon where tomatoes were grown on either rockwool or soil in plastic greenhouses. The size of macroconidia of Fusarium isolated from a diseased plant was 26.0~41.6$\times$2.9~4.7${\mu}{\textrm}{m}$, and microconidia were formed on short monophialide and the size was 3.6~12.5$\times$2.9~3.6 ${\mu}{\textrm}{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oculation tests indicated that the causal organism of the disease was Fusarium oxysporum.

  • PDF

배지내 EC와 함수율이 착색단고추의 과병무름증과 배꼽썩음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strate EC and Water Content on the Incidence of Brown Fruit Stem and Blossom End Rot in Glasshouse Sweet Pepper)

  • 유근;최동근;배종향;곽성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7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배지함수율과 EC수준이 시설 착색단고추(적색계 'Special')의 과병무름증과 배꼽썩음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첫 번째 착과 된 과일의 직경이 3cm정도 되었을 때 배지의 EC와 함수율을 각각 세 수준으로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즉, 함수율은 49, 65, 86%로, EC는 2.4, 4.2, $6.3dS{\cdot}m^{-1}$로 달리하였는데 각각에서 세 수준은 저수준, 중간, 고수준으로 명명하였다. 줄기생장은 함수율이 감소할수록 감소하였고, EC가 고수준이나 저수준일 때 중간수준에 비해서 적었다. 수확 시 과중은 중간수준 이상의 함수율처리가 저수준 함수율보다 더 높았으며 (158g vs 146g), 고수준 EC처리는 중간수준 이하의 EC처리구에 비해서 적었다. 과병무름증 발생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EC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가장 높은 발생률은 고수준 함수율/저수준 EC 처리구로 약 38%의 발생률을 보였는데, 이는 저수준 함수율/고수준 EC 처리구의 2.4%보다 훨씬 더 높았다. 배꼽썩음과는 대개 배지함수율이 적고 EC가 높았을 때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동계작형 착색단고추 재배에서 생산성을 저해하는 과병무름증과 배꼽썩음과의 발생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생육기별로 배지함수율과 EC를 구분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먼저, 과병무름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착색기에는 배지함수율은 낮게(49%),그리고 EC는 높게($6.3dS{\cdot}m^{-1}$)관리하여 과병무름증의 발생을 억제하고, 그리고 배꼽썩음과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착과 후 5주까지 배지함수율은 중간(65%) 수준 이상으로, EC는 낮게($2.4dS{\cdot}m^{-1}$) 유지할 필요가 있다.

파프리카 여름재배시 차광방법이 생육과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Method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in Summer Season)

  • 하준봉;임채신;강효용;강양수;황승재;문형수;안철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9-427
    • /
    • 2012
  • 파프리카('Cupra', 'Coletti') 여름작기 재배시 고온기 극복을 위해 내부 차광 스크린(외부광이 $700W{\cdot}m^{-2}$ 이상일 때 차광스크린 작동하여 10~20% 차광률 유지)과 차광제 처리(차광제와 물을 1 : 4의 비율로 희석하여 온실 외부 지붕을 살포 30% 정도의 차광률 유지)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PPFD는 차광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30%,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20%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PPFD의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 차광제의 차광효과가 더 높았고, 차광제 처리에 의해 온실 내 온도 감소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습도 부족분 변화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의 경우 오전 9시에 최대 허용범위인 $8g{\cdot}m^{-3}$을 벗어나 각각 오후 2시에 최고 $16.6g{\cdot}m^{-3}$$13.8g{\cdot}m^{-3}$까지 도달 했지만, 차광제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보다 2시간 뒤인 11시에 $8.6g{\cdot}m^{-3}$으로 허용 범위를 벗어났고, 오후 4시에 최고 $12.1g{\cdot}m^{-3}$까지 상승하여 생육환경 조건이 더 양호해졌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엽온이 $2^{\circ}C$, 과실의 온도가 $5^{\circ}C$, 그리고 꽃의 온도가 $3^{\circ}C$ 정도 낮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초장이 두 품종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분지수, 경경, 잎크기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잿빛곰팡이의 발생률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품종에 따라 14.7~22.1%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과실크기는 차광처리에 의해 두 품종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심실수, 과피 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육의 무게는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10~15g 증가하였지만,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에 따른 색도는 차이가 없었고, 경도는 차광 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상품율이 11.7~22.6% 증가하였고, 상품과수는 4.0~12.2개로 증가했다. 따라서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여름철 고온기의 극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광정도(遮光程度) 및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배추 수량(收量)과 가식부위(可食部位)의 NO3- 집적량(集積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had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Yield and Accumulation of NO3-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 손상목;오경석;이장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차광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비닐 하우스내에서의 질소다비재배시 일조부속으로 인한 배추의 가식부위내 $NO_3^-$ 집적량의 변화를 밝히고자 차광정도를 달리한 하우스내에서의 질소수순별 처리를 두어 배추 수량과 가식부위내의 $NO_3^-$ 함량을 분석한 결과, 보비구, 배비구 모두 전일광 조건에 비해 15% 차광조건에서 엽장 엽폭, 엽수, 근장, 근폭 근중 및 수량이 최고에 달했으나 30% 이상의 차광조건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배추의 최고 수량은 452g으로서 배비구+차광 15% 처리구에서 나타났다. 전일광조건에서 $NO_3^-$ 집적량이 $4,373mg\;kg^{-1}$으로 높았던 외부중록은 차광처리에 따른 $NO_3^-$ 집적량의 증가폭이 적었으나, $NO_3^-$ 집적량이 $1,159mg\;kg^{-1}$, $212mg\;kg^{-1}$으로 낮았던 내부엽중륵 및 내부엽신은 $3,492mg\;kg^{-1}$, $2,435mg\;kg^{-1}$으로 3배, 11.5배로 상승하였다. 차광조건의 경우 엽신보다는 중륵이 내부보다는 외부 가식부위의 $NO_3^-$ 집적량이 많았으며 외부중륵($4,872mg\;kg^{-1}$) >내부중륵($2363mg\;kg^{-1}$) >외부엽신($1.405mg\;kg^{-1}$) >내부엽신($727mg\;kg^{-1}$)의 순으로 낮았다. 15% 까지의 차광에서 보비구의 가식부위별 $NO_3^-$ 집적량은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수량과 비례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나. 배비구의 경우 가식부위인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의 증가폭 보다 $NO_3^-$ 집적량 증가가 더 컸고, 30%이상의 차광조건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수량은 감소하나 오히려 $NO_3^-$ 집적량은 더욱 급격히 증가하였다. 외부엽 중륵의 경우 배비구는 차광정도에 관계없이 $5,000-6,000mg\;kg^{-1}$ 내외에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보비구는 차광정도가 증가할수록 $NO_3^-$ 집적량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닐하우스내에서의 과다한 질소시비는 바람직 하지 않으며 중륵이 얇은 신품종 배추의 개발보급과 배추이용시 가식부위중 $NO_3^-$ 집적량이 가장 높은 외부엽 엽신과 중륵 부위의 제거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