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Rb_1$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7초

무기영양변화에서 인삼근Ginsenoside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among Ginsenosides of Panax ginseng Root under the Variation of Mineral Nutrients)

  • 이미경;민진숙;박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01-107
    • /
    • 1986
  • 양분조성(N.P.K)을 달리하여 양액재배한 인삼근(2년생)에서 ginsenoside, triol(PT), diol(PD) 및 총saponin(TS)과의 관계를 단순, 다중회귀 및 standard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의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ginsenoside 상호간의 밀접도는 분자구조의 유이도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PT는 Re와 Rg1에 의존하였으며 PD의 변화는 Rb1>Rb2$\geq$Rd>Rc의 순으로 의존하였다. TS도 PD에 의존도가 커서 TS가 클수록 PT/PD가 적어졌다. PT가 커지면 PD는 더 커지므로 PT와 PT/PD는 부상관을 보였다. 근중이 커지면 모든 ginsenoside는 감소하는 경향이며 Re와는 유의성이 있었다.

  • PDF

NaCl 농도가 인삼의 ginsenoside 함량과 pH 및 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nge of ginsenosides, pH and color by NaCl concentration)

  • 박명한;이종원;이종태;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0-264
    • /
    • 1993
  • 인삼을 조미제품의 첨가성분으로 이용할 때 그 NaCl 농도에서 인삼성분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삼과 홍삼정을 NaCl 농도별로 처리하여 pH, 색상 및 ginsenosides 함량을 조사한 결과, 미삼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 할수록 pH는 높아졌으나 홍삼정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색상은 NaCl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 n-BuOH extract 수율은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감 범위는 홍삼정이 컸다. Ginsenosides 함량은 d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Rb_1$, $-Rb_2$, -Rc, -Rd 및 tr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모두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ginsenoside-Re가 가장 민감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 PDF

Synthesis of ginsenoside Rb1-imprinted magnetic polymer nanoparticles for the extraction and cellular delivery of therapeutic ginsenosides

  • Liu, Kai-Hsi;Lin, Hung-Yin;Thomas, James L.;Shih, Yuan-Pin;Yang, Zhuan-Yi;Chen, Jen-Tsung;Lee, Mei-Hw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621-627
    • /
    • 2022
  • Background: Panax ginseng (ginseng) is a traditional medicine that is reported to have cardioprotective effects; ginsenosides are the major bioactive compounds in the ginseng root. Methods: Magnetic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MMIP) nanoparticles might be useful for both the extraction of the targeted (imprinted) molecules, and for the delivery of those molecules to cells. In this work, plant growth regulators were used to enhance the adventitious rooting of ginseng root callus; imprinted polymeric particles were synthesized for the extraction of ginsenoside Rb1 from root extracts, and then employed for subsequent particle-mediated delivery to cardiomyocytes to mitigate hypoxia/reoxygenation injury. Results: These synthesized composite nanoparticles were first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surface area, adsorption capacity, and magnetization, and then used for the extraction of ginsenoside Rb1 from a crude extract of ginseng roots. The ginsenoside-loaded MMIPs were then shown to have protective effects o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cellular viability for H9c2 cells treated with CoCl2 to mimic hypoxia injury.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ginsenosides was assessed by staining with JC-1 dye to monitor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Conclusion: MMIPs can play a dual role in both the extraction and cellular delivery of therapeutic ginsenosides.

인삼 사포닌 성분이 프로스타글란딘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the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s)

  • 이선희;박찬웅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202-210
    • /
    • 1989
  • 인삼 성분이 prostaglandin 등 arachidonic acid 대사산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함으로써 인삼의 약리학적 작용기전을 간접적으로 모색하였다. 즉, [$^3H$]-arachidonic acid를 기질로 넣어주고 토끼 신장 micorsome, 소의 대동맥 microsome, 정상 성인의 혈소판 homogenate 등을 효소원으로 한 in vitro 생합성 과정에 변화를 주는 수종 인삼 saponin 성분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은 panaxadiol, panaxatriol 및 protopanaxadiol계 soponin류인 Ginsenoside $Rb_2$(G-$Rb_2$), Ginsenoside Rc(G-Rc) 및 protopanaxatriol계 saponi류인 Ginsenoside (G-$Rb_2$)이었다. 1.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성된 총 cycoloxygenase 반응생성물 및 malondialdehyde의 양은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의 전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인삼 saponin 성분들은 cyclooxygenase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2. Panaxdiol($500{\mu}g$/ml)은 $PGE_2$ 생성에는 영향이 없으나 $PGF_2$$TXB_2$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동시에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증가시켰다. Panaxatriol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3. G-$Rb_2$, Rc, Re에 의해 $TXB_2$의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arachidonic acid와 $TXA_2$ 유사제인 U46619(9,11-methanoepoxy $PGH_2$)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 현상은 세 ginsenoside에 의해 억제되었다. G-Re의 6-keto-$PGF_{1{\alpha}}$생성증가 효과는 prostacyclin 합성효소억제제에 의해 길항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생성하는 효소, 특히 G-$Rb_2$$TXA_2$ synthetase에 강력한 억제제로, G-Re는 prostacyclin 생합성에 촉진데로 심혈관계 균형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

Antioxidative effect of active components of red ginseng

  • Kyu Nam;Kim, Jung-Sun;Baek, Bong-Sook;Kim, Yu-Jung;Chung, Hae-Yo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4-224
    • /
    • 1996
  • 홍삼 총 사포닌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시 total free radical 및 malondialdchydc 농도는 유의상 있게 감소되었으며, 단백질의 carbonyl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홍삼 총 사포닌 투여군의 경우 Cu, Zn-SOD, catalasc, GSII reductase 등의 항산화 효소와 nonprotein-SH가 대조군 보다 증가되었다. 홍삼 총 사포닌의 구성성분들인 ginsenoside Rb$_1$, Rb$_2$, Rc, Rd, Re, Rg$_1$, Rh$_1$, Rh$_2$, Rf 중 ginsenoside Rh$_2$는 catalase 활성을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증가시켰으며, ginsenoside Rh$_1$ 및 Rc의 경우 GSII peroxidase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u, Zn-SOD의 경우 ginsenoside Rc는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며, GSII reductase의 경우 유의성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Ginsenoside Rb1의 세포간 유착, 세포표면 단백질 발현 및 세포형태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insenoside Rb1 on Cell Adhesion, Surface Molecule Express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 김병훈;조재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30-336
    • /
    • 2009
  • G-Rb1에 의한 단핵구 세포주인 U937 세포와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의 유착조절 능, 세포표면 단백질 발현율 및 세포모양 변화능 조절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G-Rb1은 CD29항체 (MEM101A) 및 CD43 항체(161-46) 처리에 의해 유도된 세포-세포간 유착현상을 20%에서 35%까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2. G-Rb1은 fibronectin처리에 의해 유도된 U937 세포-fibronectin간 유착현상을 상승시켰다. 3. G-Rb1은 CD29 및 CD43의 세포표면 발현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CD82의 발현은 억제시켰다. 4. G-Rb1은 PMA에 의해 유도된 형태변화는 촉진경향을 반면에 LPS에 의한 변화는 억제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삼의 주요사포닌 성분인 G-Rb1의 약리작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별히, 본 화합물이 갖는 면역증강 및 항암 효능은 인삼이 갖는 이들 효과를 대신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져 있다. 그러나, 세포유착과정이 다양한 염증과정, 알러지 반응 및 암세포의 이동과 전이성 등에 관련이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결과는 이들 약물이 갖는 치료기전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본 결과는 G-Rb1이 특정 농도 ($25-50\;{\mu}M$ 수준)에서 세포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특별히, G-Rb1의 세포유착 촉진 기능에 관한 기전 이해를 위해, 이후, 세포유착 유도 신호전달 단백질의 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추가적인 실험들을 진행하고 한다.

Influence of organic acids and heat treatment on ginsenoside conversion

  • Jang, Gwi Yeong;Kim, Min Young;Lee, Yoon Jeong;Li, Meishan;Shin, Yu Su;Lee, Junsoo;Jeong, Heon S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4호
    • /
    • pp.532-539
    • /
    • 2018
  • Background: Heat treatments are applied to ginseng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physiological activities through the conversion of ginsenosides, which are key bioactive components. During heat treatment, organic acids can affect ginsenoside conversion. Therefore, the influence of organic acids during heat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Methods: Raw ginseng, crude saponin, and ginsenoside $Rb_1$ standard with different organic acids were treated at $130^{\circ}C$, and the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ginsenosides and organic acids, were analyzed. Results: The organic acid content in raw ginseng was 5.55%. Organic acids were not detected in crude saponin that was not subjected to heat treatment, whereas organic acids were found in crude saponi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Major ginsenosides ($Rb_1$, Re, and $Rg_1$) in ginseng and crude saponin were converted to minor ginsenosides at $130^{\circ}C$; the ginsenoside $Rb_1$ standard was very stable in the absence of organic acids and was converted into minor ginsenosides in the presence of organic acids at high temperatures. Conclusion: The major factor affecting ginsenoside conversion was organic acids in ginseng. Therefore, the organic acid content as well as ginsenoside content and processing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ginseng products.

Enterococcus faecium SA5의 기능적 특성과 인삼 ginsenoside Rb1의 전환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nterococcus faecium SA5 and Its Potential in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in Ginseng)

  • 김은아;랜친핸드;어르가말 막살;박영우;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2-179
    • /
    • 2017
  • 본 연구는 몽골 마유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Enterococcus faecium SA5의 이화학 특성을 파악하고 유산균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의 활성과 이를 통한 ginsenoside 전환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E. faecium SA5는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었으며 4종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typhimurium KCTC 3216,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710, Bacillus cereus KCTC 101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에 항균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항생물질 colistin, gentamycin, neomyc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 faecium SA5는 bile salt hydrolase 활성을 나타내어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며 10% skim milk에서 배양하였을 때, pH가 감소하고 산도 및 생균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발효유 스타터로써의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에 의해 ginsenoside $Rb_1$이 ginsenoside $Rg_3-s$$Rg_3-r$으로 전환되었음을 T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E. faecium SA5는 잠재적인 probiotics로 이를 이용하여 발효유 제조 및 ginsenoside 전환 관련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홍삼 Ginsenoside의 Cytochrome P450 저해 활성 평가 (In vitro Assessment of Cytochrome P450 Inhibition by Red Ginseng Ginsenosides)

  • 류창선;신장현;신병찬;심재한;양현동;이성우;김봉희
    • 약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49-54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comparative herb-drug interaction potential of red ginseng total powder, ginsenoside Rg1, and Rb1 by inhibition of CYP isoforms including CYP1A2, CYP2A6, CYP2B6, CYP2C9, CYP2C19, CYP2D6, CYP2E1 and CYP3A4 using pooled human liver microsomes (HLMs). As measured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red ginseng total powder inhibited significantly activities of CYP1A2, CYP2A6, CYP2B6, CYP2C9, CYP2C19, CYP2D6, CYP2E1 and testosterone 6-beta hydroxylation by CYP3A4, but the $IC_{50}$ values were higher than $556{\mu}g/ml$. Activities of CYP2B6, CYP2C9, CYP2D6 and CYP3A4 were inhibited by ginsenoside Rb1. Also, activities of CYP1A2, CYP2A6, CYP2B6, CYP2C9, CYP2C19, CYP2D6 and testosterone 6-beta hydroxylation by CYP3A4 were inhibited by ginsenoside Rg1. The $IC_{50}$ values of ginsenoside Rb1 and Rg1 were higher than $200{\mu}g/ml$. Based on $IC_{50}$ values against CYP isoforms, ginsenosides-drug interactions by CYP inhibition may be very low in clinical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