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Jung Kw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인삼정과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and Jung Kwa Solution on Jung Kwa Process)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송미란;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87-593
    • /
    • 2009
  • 당액에 수삼을 넣고 졸이는 횟수에 따라 얻어진 인삼정과 및 정과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인삼정과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인삼정과는 수삼 8 kg을 2배량의 물 16 kg을 넣어 5분간 삶은 후 삶은 물 8 kg을 제거하고 설탕 10 kg을 넣어서 60분간 졸여서 24시간 당침하는 작업을 5회에 걸쳐 행하였다. 졸임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과와 정과액 모두 수분함량과 pH는 낮아졌고 정과액의 $^{\circ}Brix$는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정과 내 조사포닌 함량은 원료삼의 4배가 증가하였으며 구성사포닌 중 Rf와 Rd의 함량이 많이 증가하여 각각 원료삼의 77배 및 16배가 높아졌으며 기타 검량된 구성사포닌은 감소하였다. 정과액에서도 정과에서와 같은 경향으로 인삼의 사포닌이 용출되어 마지막 정과액(GJS 5)에서 Rf와 Rd 및 조사포닌 함량이 각각 15.05, 3.54 및 61.88 mg/g이었다. 또한 졸임 과정 동안 수분증발에 의하여 정과 및 정과액 모두 총 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졸이는 동안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정과의 유기산 함량은 당을 첨가하여 졸이기 시작하면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정과액은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정과 및 정과액의 색도는 졸임 횟수가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지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당침시간을 달리한 인삼정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after Different Soaking Times in Sugar Syrup)

  • 백진경;김준희;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92-79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prepared with different soaking times in sugar syrup. As soaking time in sugar syrup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Ginseng Jung Kwa decreased and the sugar concentration increased. In addition, L values of Ginseng Jung Kwa decreased significantly. A and b values were the highest at S2 and S1, respectively, and gradually decreased.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Ginseng Jung Kwa increased as soaking time in sugar syrup increased, but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s showed that overall preference scored the highest for Ginseng Jung Kwa soaked in sugar syrup for 2 days.

홍삼정과 부산물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containing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 이의석;류관모;정용남;전병선;고봉수;홍순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96-1104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ality of bread containing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added in ratios of 0, 10, 20 and 30% of flour. It was found in dough and bread containing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that dough and loaf volume, specific loaf volume, baking loss, and pH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In addition, loaf weight and hardness were also reduced. In particular, hardness appeared to be 2.18 times higher for bread containing 30%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as compared to the amounts found in the control. For color, increasing the amount of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reduced the L value, whereas the a and b values were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 score was observed in the bread containing 20%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whereas the lowest score was found in the control (no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added). It was concluded that pan bread containing red ginseng Jung Kwa by-product could be prepared with good acceptability, and that its optimum concentrate was found to be 20% of flour.

인삼정과의 제조에 있어 당 종류에 따른 품질학적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Obtained by Different Sugar Treatments)

  • 송미란;김미리;김현호;추석;이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99-1004
    • /
    • 2010
  • 인삼정과 제조 시 물성학적 품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sucrose, glucose, honey 및 fructose 등 4종의 당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정과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 물성 및 색도를 기계적인 측정치와 관능요원들의 평가치에 의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성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Rf가 당 종류종별에 따라 각기 함량에 큰 차이를 보여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검출된 7종의 진세노사이드의 총 함량은 sucr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10.0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glucose>honey>fructose의 순으로 높아 fructose로 제조한 인삼정과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Hardness와 adhesiveness가 가장 높은 것은 fructose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고 stiff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및 springiness는 honey를 이용하여 제조한 정과이었으며 fracture force는 당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다. 당 종류별 정과제품의 편차는 honey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제품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정과의 색도 중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sucrose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가 가장 낮은 것은 glucose, 황색도는 fructose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과제조 시 당의 종류 중 fructose 함량이 높을수록 갈색화가 크게 일어남을 볼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는 honey를 이용한 인삼정과가 조직도와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았으며 fructose를 이용한 정과는 조직도면에서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Effects of Heat Processing Time on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inseng Jung Kwa

  • Oh, Chang-Ho;Kim, Gyo-Nam;Lee, Sang-Hyun;Lee, Jung-Sook;Jang, Hae-D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98-204
    • /
    • 2010
  •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preserved in syrup, known as ginseng Jung Kwa (GJK), is a popular traditional snack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at processing time on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JK. Water extract was prepared from GJK with different heat processing times, 3 hours (GJK-3), 6 hours (GJK-6), or 12 hours (GJK-12), with sonication for 2 hours. The GJK extract contained total phenolic content in the following order: GJK-12 (2.28%)>GJK-6 (1.57%)>GJK-3 (1.29%). Both the peroxy and hydrox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cellular antioxidant capacity of GJK extract was significantly enhanced with increasing heat processing time. The hydrox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GJK-12 extrac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GJK-3 and GJK-6 extracts, consistent with metal chelating capacity and reducing capacity. In a cellular model, the GJK extract effectively reduced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Cu^{2+}$-, and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with GJK-12 and GJK-6 extracts demonstrating greater cellular antioxidant capacity than the GJK-3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t processing time can contribute to the antioxidant capacity of GJK and that GJK extract may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ffective dietary antioxidant to prevent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Kwa Produced with Hot-Water Extract from Maegmundong (Liriope platyphylla tubers))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현호;송미란;김미리;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19-1825
    • /
    • 2010
  • 인삼정과 제조 시 이용되는 당 용액 대신에 올리고당 함량이 높은 맥문동의 열수추출액을 이용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맥문동 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는 가용성 무질소물인 탄수화물의 함량이 76.40%로 설탕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80.01%에 비하여 약 4% 정도 낮았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1.46% 및 3.49%로 일반인삼정과의 0.59% 및 0.96%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에서 유리당 조성 및 함량은 fructose가 32.42%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올리고당이 16.91%, 설탕 및 이당류가 13.91%, glucose가 13.16%이었으며, Rh2를 비롯한 진세노사이드 11종이 검출되어 총 함량이 740.1 mg%로 일반 인삼정과(675.6 mg%)보다 더 높았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46과 0.016%로 일반인삼정과의 5.02와 0.014%보다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항산화활성은 DPPH $IC_{50}$값이 인삼정과 중량기준으로 약 34.5 mg/mL 이었으며,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50{\mu}g$/mL의 농도에서 92%의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제조방법을 달리한 수삼 정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ngKwa Made with Ginseng by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 조은희;김명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1-170
    • /
    • 2014
  • 본 연구는 정과를 전통적인 방법보다 간편하게 제조하고자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수삼 정과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전기밥솥에 수삼 정과를 제조할 경우 졸임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 함량은 줄고 당도는 높아졌다. 또한 졸임 시간이 길어질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205분 졸인 정과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정과와 색이 가장 비슷하였다. 텍스처 측정 결과 졸임 시간이 길수록 경도는 높아 졌고, 경도와 씹힘성은 205분 졸인 정과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정과와 가장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정과의 외관, 향, 맛, 텍스처,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전기밥솥에 205분 졸인 것이 가장 선호 되었으며, 전통적인 방법을 대신하여 전기밥솥에 정과를 제조함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수삼정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ngKwa made with Ginseng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 조은희;김현아;김용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8-258
    • /
    • 2015
  • 본 연구는 수삼정과를 저열량 감미료인 자일리톨, 올리고당, 스테비오시드, 에리스리톨을 이용하여 전기밥솥으로 205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삼정과의 수분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스테비오시드는 다른 시료들에 비해 수분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당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설탕으로 전기밥솥에 제조한 수삼정과의 명도와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자일리톨로 제조한 수삼정과의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수삼에 설탕을 넣고 제조한 대조군의 경도는 설탕으로 제조한 수삼정과가 유의적으로 가장 컷으며, 부착성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경도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탄력성은 설탕으로 제조한 것이 가장 컸고, 씹힘성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검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응집성은 자일리톨과 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수삼정과의 응집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컸다. 관능적인 특성을 검토해본 결과, 정과의 외관, 향, 맛,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선호한 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수삼정과를 다른 대체 감미료로 만든 시료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정과의 윤기, 갈색의 정도, 인삼의 향, 맛도 선호하였다. 따라서 설탕을 대신하여 올리고당을 사용하여 정과를 제조하면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염려에도 부합하는 칼로리가 낮은 정과의 제조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