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gantea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48초

Effect of agglomerated zirconia-toughened mullit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iant cane fiber mat epoxy laminated composites

  • Sahu, Pruthwiraj;Parida, Sambit Kumar;Mantry, Sisir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0권2호
    • /
    • pp.233-243
    • /
    • 2019
  • This paper depict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s of laminated composites made with cellulosic giant cane (Arundinaria gigantea) fiber mats and epoxy resin. Zirconia-toughened mullite (ZTM) is used as a filler material in the laminated composite which was prepared from sillimanite through plasma processing technique. The mechanical characterizations of this composite have been carried out as per ASTM standards to evaluate its usability as a structural material. The effects of varying weight percentages of the filler and two different fiber orientations namely, angle-ply [$+45^{\circ}/-45^{\circ}/+45^{\circ}$] and balanced cross-ply [$0^{\circ}/90^{\circ}/0^{\circ}$]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microhardness, impact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 layered composite specimens have been investigated.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inclusion of zirconia-toughened mullite in the composite laminate as filler improves its mechanical properties. Moreover, the use of giant cane fiber mat in the laminate is more eco-friendly than the synthetic fibers. This research also helps in generating additional data to enrich the repository of natural fiber reinforced laminated composites.

Comparative Analysis of Latex Plants by GC-MS using Methanol Extraction

  • J. Varshini Premakumari;M. Job Gopinath;B. Narmadha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4권1호
    • /
    • pp.9-23
    • /
    • 2023
  • Plants are able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diverse bioactive compounds. Solvent extraction is used for isolation of plant metabolites. The extract yield for plant metabolite extraction strongly depends on the nature of solvent. A review showed the methanol can yield more bioactive compounds. Drying of the sample material is also important for the extraction of plant material.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hytocomponents of 5 different latex producing plants. The plants like Calotropis gigantea, Carica papaya, Nerium oleander, Ficus benghalensis and Plumeria alba leaves and latex. The GC-MS analysis of the metabolites revealed phytocomponents. Calotropis gigantea leaves showed 14 compounds and latex produced 5 compounds out of this 4,4,6A,6B,8A,11,11,14B-Octamethyl-1,4,4A,5,6,6A,6B,7,8,8A,9,10,11,12,12A,14,14A,14B-Octadeca-hydro-2 and 2R- Acetoxymethyl-1,3,3-trimethyl-4T-(3-Methyl-2-Buten-1-Yl)-1T-Cyclohexanol compound was present in both latex and leaf extraction. Beta. -carotene compound was present in both latex and leaf of Carica papaya. It was observed that Ficus benghalensis contained 2R-Acetoxymethyl-1,3,3-trimethyl-4T-(3-Methyl-2-Buten-1-Yl)-1T-Cyclohexanol was same in latex and leaf extraction.

미역취 및 근연분류군(국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al review of Solidago japonica and its relatives (Asteraceae))

  • 장창석;양선규;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0-49
    • /
    • 2012
  •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S. virgaurea complex)에는 미역취(S. virgaurea subsp. asiatica), 잔미역취(S. virgaurea var. taquetii), 나래미역취(S. virgaurea var. coreana), 산미역취(S. virgaurea subsp. leiocarpa), 울릉미역취(S. virgaurea subsp. gigantea) 등 5가지의 종하분류군이 보고되고 있으나, 분류군의 실체 및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바탕으로 국내의 9개 자생지 집단을 조사하여 미역취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의 실체 확인 및 분류학적 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문헌 및 표본 관찰을 통해 동아시아산 미역취속의 분포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역취는 유럽산 미역취(S. virgaurea L.)와 명확히 구분되는 독립된 종(S. japonica Kitam.)으로 인정되었으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검색형질들은 미역취의 해당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모두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울릉미역취는 충분한 실험재료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분류학적 처리를 보류하였으며, 두메미역취가 한반도 북부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역취뿌리 추출물이 성장기 흰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Miq. Root Extract on Bone Metabolism in Growth Period Rats)

  • 이지원;박정현;이효주;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6-2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주령의 암컷 흰쥐를 이용하여 미역취뿌리 추출물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미역취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10, 50, 100 mg/kg/day의 농도로 음용수에 희석하여 9주간 사육시켰다. 매주 체중과 사료효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체중의 변화나 사료효율에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미역취 뿌리 추출물에 대한 기본적 독성은 없고,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3주 간격으로 소변으로 배출되는 Ca과 P의함량을 ICP로 분석 한 결과, 10 mg/kg/day농도로 음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혈액으로 유리되는 Ca과 P의 함량 또한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섭취 후 9주째에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하여 척추, 대퇴골, 골반의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을 추출물을 음용한 군의 척추 골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글 무기질 함량 또한 대퇴골과 골반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역취뿌리 메탄을 추출물의 음용이 암컷 흰쥐에서 골밀도 및 골함량에 유의하게 작용하고 또한 골대사 과정에서 유리되는 Ca와 P의 대사과정에 작용하여 유리되는 Ca과 P의 양을 감소시켜 이상의 결과로 미뤄볼 때, 적절한 미역취뿌리 추출물의 투여는 흰쥐의 성장에 대해 부작용이나 독성없이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을 높였으며 앞으로 조골세포 기능 저하로 인한 골대사 질환에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까막전복(Haliotis discus)의 Macroalgae에 대한 섭식선호도 및 섭식유도물질 연구

  • 김보영;고형범;김정하;이준백;홍성완;김문관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5-246
    • /
    • 2002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류는 참전복(Haziotis discus hannai), 까막전복(H, disus), 말전복(H. gigantea), 시볼트전복(H. siebolidi)이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시복족류인 전복류는 잘 발달된 치설(radula)로 grazing 하는 섭식형태를 가지는 초식동물(herbivores)이다. 초식동물은 해중림 지역에서 다양한 생물군집이 직ㆍ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생태계를 유지하며(Lobban and harrison, 1994), 이들의 초식작용은 생태계에서 다양한 군집을 구조화하는 중요한 과정이다(John et al., 1992) (중략)

  • PDF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 (자포동물 문, 히드라충강 )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Hyroids (Cnidaria , Hydrozoa) in Korea I)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71-86
    • /
    • 1990
  • 1969년 5월부터 1989년 6월까지 한국의 본토 연안과 도서지방, 28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미동정 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히드라충류의 표본들 가운데 일부를 관찰한 결과 13과에 속하는 50종 및 아종이 밝혀졌다. 이중에서 5종, Turritopsis nutricula, Halecium beanii, Halecium pusillum , Sertularella gigantea and Halopteris constricta는 한국미기록종으로 판명되었다. 한국산 기지종에 대해서는 기지 채집지를 인용하였으며 , 아울러 새로운 채집지를 추가하였다.

  • PDF

한국 남해산 태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 순구류 (A Systematic Study on the Bryozoas from the South Sea in Korea I. Cheilostomata)

  • 서지은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1호
    • /
    • pp.141-160
    • /
    • 1992
  • The systematic study on the bryozoans from the South SEa in Korea was done with the materials collected at 49 localities from 1965 to 1991. As a result, 57 species in two suborders of cheilostomaous bryozoans were identified, which seven species, Electra tenella, Labioporella bursaria, Dendrobeania longispinosa, Sinupetraliella gigantea, Cryptosula pallasiana, Hippopodina feegeensis and Durystomella bilabiata were new to Korean fauna. The unrecorded species and the species which need remarking were described with plates.

  • PDF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모패의 체중별 교차수정에 의한 치패의 성장

  • 강경호;김영훈;김재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622-623
    • /
    • 2001
  • 전복류는 세계적으로 100여종으로 알려져 있고, 이중 어획 대상이 되는 대형종은 20여종으로서 주로 온대수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류는 소형종인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supertexta)를 비롯하여 난류계의 대형종인 말전복(H. gigantea), 까막전복(H. discus), 시볼트 전복(H. sieboldii) 그리고, 한류계인 참전복(H. discus hannai)의 5종이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전복 드링크 제조를 위한 양식전복 열성패의 원료학적 성분특성

  • 오광수;김영아;김진수;강수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4-165
    • /
    • 2001
  •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은 말전복(Haliotis gigantea),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시볼트전복(Haliotis sieboldii),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superfexta), 둥근전복(Haliotis diversicolor diversicolor) 등 6종이 있고, 이 중 참전복은 가장 맛이 좋아 주로 날 것으로 또는 건제품 및 죽의 형태로 소비되는 고가의 중요한 연안 수산물이다. 특히, 전복은 식품학적 측면으로 볼 때,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상당히 귀하게 여기는 기능성 수산물이어서 시장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