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bberellin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Inula Sesquiterpene Lactone이 Phaseolus vulgaris L.의 조직변화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Some Effects of Inula Sesquiterpene Lactones on the Growth and the Stem Anatomy of Phaseolus vulgaris L.)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1_2호
    • /
    • pp.12-16
    • /
    • 1973
  • The inhibitory effect of Inula sesquiterpene lactones on the growth of Phaseolus vulgaris was tested and the abnormality of the stem organization caused by the lactones was also examined. The longitudinal growth of the young stem and the expansion of the young leaf were stopped by the application of the lactones. However, this inhibitory effect was appeared and strictly restricted within the treated area. So the young shoot was observed for possible bending as a result of the unilateral application of the lactones. When the application of the lactones into the medium, the growth of the plant was entirely repressed. However, the growth of shoot and re-initiation of root were started after the plant was transfered to the lactone free medium. And partial reversal of inhibition of the stem growth was achieved by the additions of gibberelline and the lactones.

  • PDF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의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GAa3와 Charcoal의 영향 (Effects of GA3 and Charcoal on Plant Regeneration from Somatic Embryo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이강섭;최용의;심옥경;주선아;신정순;정재훈;김영신;김이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53-257
    • /
    • 2002
  •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 for plant regeneration from somatic embryo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Rupr. et Maxim, a medicinal plant, somatic embryos were induced from zygotic embryo-derived embryogenic callus in hormoen-free MS medium. To induce plantlet conversion, cotyledonary somatic embryos were cultured on MS solid medium with GA$_3$at various concentrations (0~10 mg/L) for three weeks. Plantlets were transferred to 1/3 MS solid medium with 0.5% charcoal for 7 weeks. Stem length was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period of GA$_3$. Also, the highest leaf width (8.9 mm) and leaf number (2.84) of plantlet were obtained when plantlets were converted on 5,10 mg/L GA$_3$pretreatments, respectively. The highest plant conversion frequency (66.7%) was obtained when the somatic embryos were cultured on medium containing 5 mg/L GA$_3$ for 3 weeks and then were transferred to 1/3 MS medium with 0.5% charcoal.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soil transfer was 90% when plantlets were regenerated on medium with 5 mg/L GA$_3$ for 3 weeks and then transferred to plastic pots containing vermiculite and sand mixture for 4 weeks.

재배식물의 생육 및 성장에 미치는 지베레린의 영향 (EFFECT OF GIBBERELLIN ON THE GROWTH AND INTERNAL COMPONENTS OF SELECTED VEGETABLE PLANTS)

  • CHA, Jong Wha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3호
    • /
    • pp.11-20
    • /
    • 1962
  • 본실험에서는 Gibberellin 이 여섯작물의 생육 및 그들의 성장에 미치는 토양재배를 과하여 조사하였다. 식물 잎에 살포한 Gibberellins의 비교적 적은 농도차는 식물의 생육 및 내부 성분에 현저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물의 생육은 촉진되고 그 생육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여섯 작물의 Chlorophyll 및 Corotene 함량은 Gibberellin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 되었으며 이는 생장율과 크게 상반되었다. 여섯 작물의 Vitamin C의 함량은 Gibberellin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되었다. 이 차는 무, 쑥갓 및 시금치에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Chlorophyll과 Vitamin C의 함량은 발육이 진전 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차이는 유의한 것이다. Corotene 함량은 Chlorophyll 량과 함께 변하였는데 Carotene과 Chlorophyll의 비는 Beck 및 Redman이 얻은 결과처럼 높은 것은 아니다.

  • PDF

뽕나무 버섯 균사체의 생리.생태학적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Mycelia of Armillariella mellea)

  • 최미자;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9-84
    • /
    • 1983
  • Armillariella mellea의 2차균사를 potato dextrose medium, yeast extract medium, malt extract medium Hamada medium, 등에 배양해서 생리 생태적 성질을 연구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사용했던 4종의 배치 중에서 malt extract medium에서 가장 잘 자랐고, 그 다음 yeast extract medium, potato dextrose medium 그리고 Hamada medium 순으로 생육율이 높였다. 2. $27^{\circ}C$에서 가장 잘 자랐고, $36^{\circ}C$에서는 집락의 지름이 $27^{\circ}C$와 비슷하나 균사의 밀도가 매우 낮았다. 3. pH6에서 가장 높은 생육율을 나타내었다. 4. 식물 생장 호르몬을 첨가한 경우에는 Heteroauxin의 5ppm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26.2% 증가로 가장 많은 생육 증량을 보이고, 다음으로 gibberellin 100ppm, Tomatoton 10,000배액, 그리고 Adoton 5,000배액의 순서였다. 식물 생장 호르몬을 적당 농도로 사용하면 생장 증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과량 사용할 경우, 오히려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5. Vitamin 첨가경우에 있어 200ppm 농도의 균일한 조건하(下)에서 Vit.A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18.2%의 가장 많은 생육 증량을 보였고, $Vit{\cdot}D_2\;Vit{\cdot}E,\;Vit{\cdot}B_1\;folic\;accid\;Vit{\cdot}C$ 그리고 $Vit{\cdot}B_2$의 순으로 그 증가가 나타나 지용성 비타민 첨가 배지에서 상당한 생육율을 나타내었다.

  • PDF

오갈피나무속(屬)(Acanthopanax) 식물의 번식(繁殖)에 관한 연구(硏究) II. 종자형질(種子形質)과 배(胚) 발육(發育)특성 (Study on the Propagation of Acanthopanax Plants II. Characteristics of Seed and Growth of Embryo in Stratifying Treatment)

  • 안상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23
    • /
    • 1993
  • 오갈피속식물의 종자들은 파종(播種) 후 발아(發芽)하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원인(原圖)이 오갈피속 식물의 종자가 미숙배를 갖고 있기 때문인지, 만약 미숙배를 갖고 있는 종자라면 인위적인 후숙처리로 배(胚의) 발육(發育)이 어느 정도 촉진되는지를 구명하므로써 보다 효과적인 종자번식방법(種子繁殖方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오갈피속 식물들의 종자형질(種子形質)을 조사하고 후숙처리기간중 배(胚)의 발달정도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크기는 오갈피, 서울오갈피 종자가 가장 크고 지리산오갈피와 섬오갈피 및 오가나무의 순서로 작은 경향이었다. 2. 종피(種皮)의 개열정도(開裂程度)는 오갈피, 서울오갈피의 종피는 각질이 반경질(半硬質)로 연화(軟되化어) 종피의 열개현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섬오갈피는 이들보다 각질성(角質性)으로 gibberlline처리구에서만 80%이상의 높은 열개현상(裂開現像)을 나타내었다. 3. 공시된 식물들의 후숙처리시 배(胚)의 발육은 gibberelline을 처리한 종자에서만 배(胚)의 발육이 신장되어 완전한 자엽(子葉)이 형성되고, 종(種)에 따라서는 procambium도 뚜렷이 관찰된 반면, 무처리(無處理) 종자(種子)에서는 생장속도가 매우 늦어 배가 어느 정도 신장하는데 불과하여 발아력(發芽力)을 기대할 수 없었다. 4. 오갈피속 식물종자의 후숙처리(後熟處理) 전(前) 및 후숙기간 중 배(胚)의 크기와 발달정도를 관찰한 결과 인삼종자와 같이 미숙배(未熟胚)를 갖고 있기 때문에 발아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분함양(殿含粉量)은 수원(水原) 3호(號)가 55.9%로 가장 높았고 수원(水原) 5호(號)는 51.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組成)에서는 김제종(金堤種)과 수원(水原) 6호(號)가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고 수원(水原) 3호(號)는 김제종(金堤種)보다 대체로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3}\;M$의 $K^+$을 먼저 첨가하여 2시간 동안 progesterone 전환 반응을 실시한 후에 $10^{-4}\;M$$Cd^{2+}$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11\{alpha}-hydroxyprogesterone$의 수득률을 얻을 수 있었다.감소를 일으키며, 이러한 adenosine 작용은 magnesium이온에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mg/dL, 여자의 경우 각각 133.4 mg/dL, 149.4 mg/dL, 150.0 mg/dL로 59세 이하에서만 여자가 높고 다른 연령 군에서는 남자가 높았으며 연령증가와 함께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농도의 평균은 $189.53{\pm}4.73 mg/dL$, $157.93{\pm}4.96 mg/dL$이었고 남자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남녀 각각 59세 이하, 60대, 70대 이상군에서 185.0 mg/dL, 199.3 mg/dL, 180.9 mg/dL과 161.4 mg/dL, 180.9 mg/dL, 164.8 mg/dL였다. $40\~50$대는 남자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