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bberellin $A_{4}$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Gibberellin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the Cultivation of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 Oh, Hoon Geun;Lee, Joung Won;Lee, Gyeong Ja;Park, Jae S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1-596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gibberellin treatment technique to enhance flower initiation in 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Seedlings were planted in 12cm-diameter pots on October 2016 and grown in green house. Ambient temperature in the green house was set at minimum $15^{\circ}C$ during day and night to suppress flower initiation at cold temperature condition. Two different types of gibberellin, $GA_3$ and $GA_{4+7}$, at 4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100, 200, 400 and 600 mg/L, were tested in this study. Gibberellin was sprayed first at planting and secondly at 1-week after planting. Ten to fifteen ml of gibberellin was sprayed for each pot. Plant height and petiole length were elongated by both gibberellin types, flowering was more enhanced by $GA_3$ (91.7~100%) compared to of $GA_{4+7}$. However, abnormal flower was less observed in $GA_3$ treatment (0~16.7%) than $GA_{4+7}$. Number of flower stalks per plant ranged from 1.9 to 2.5. Number of flowers per plant ranged from 6.8 to 10.3. Differences in flowering characteristics between treat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ptimal gibberellin treatment to enhance flower initiation in A. japonica Nakai & H. Hara substituting cold treatment was $GA_3$ at the concentration between 400 mg/L to 600 mg/L.

녹두(綠豆)나물의 생육과정(生育過程) 중(中) Vitamin C 함량(含量)에 미치는 Gibberellin의 효과(效果) (The Effect of Gibberellin on the Content of Vitamin C during the Growth of Mung Bean Sprout)

  • 고무석;박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122
    • /
    • 1981
  • Mung bean sprout has been grown for 96 hours by soaking mung bean in such eight test divisions as Gibberellin 5-50ppm solution, well-water, and so on. Study on the charge of vitamin C an reducing sugar during its growt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uring the growth of mung bean sprout, the length and weight in the sample treated with Gibberellin 20ppm are highest of all Gibberellin divisions. 2. When mung bean sprout has grown for 24 hours, its vitamin C content reaches maximum in each sample. 3. There is little dehydro asscorbic acid in each sample during the growth period of 24-96 hours. 4. During the period of growth, the content of vitamin C in the sample treated with Gibberellin 5ppm are highest of all. 5. When mung bean sprout has been grown enough for cooking, in 48 hours, the content of vitamin C in the sample treated with Gibberellin 10ppm is highest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s not recognized. 6. After 24 hours growth, vitamin C decreases but reducing sugar increases.

  • PDF

콩나물의 성장(成長) 및 성분(成分)에 미치는 Gibberellin, Urea 및 Sucrose의 영향(影響) (The Effect of Gibberellin, Urea and Sucrose on Growth and Some Nutrients in Soybean Sprout)

  • 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권
    • /
    • pp.29-32
    • /
    • 1963
  • 콩발아시(發芽時)에 Urea, Sucrose, Gibb 및 이들 혼합액(混合液)을 살포(撒布)하여 성분변화(成分變化)를 보았다. 1) Gibb의 신장(伸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살포(撒布) 2일후(日後)에는 현저하게 나타나며 Gibb구(區) U+S+G구(區) 5일(日)째 것은 대조구(對照區) 7일(日)째것과 비슷하였다. 2) Gibb구(區) U+S+G구(區)가 모두 중량(重量)이 커진것은 다른 작물(作物)에서와 같았으며 Gibb구(區) U+S+G구(區) 5일(日)째것은 7일(日)째것과 같았다. 3) Vit.C 함량(含量)은 살포(撒布) 2일 까지는 처리구(處理區)와 대조구(對照區)사이의 차(差)가 작았으나 4일후(日後)에는 특히 Gibb에서 현저히 나타나며 Gibb에 Urea 및 Sucrose을 혼용(混用)하면 함량(含量)이 오히려 적어진다. 4) Amino태(態) N양(量)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Urea구(區) Gibb구(區) U+S구(區)에 많았으며 이는 발아시(發芽時)에 비단백태(非蛋白態)N의 증가(增加)를 의미(意味)한다. 5) 조지방량(組脂肪量)은 처리구(處理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1.6{\sim}5.8%$적으며 조단백질(組蛋白質)은 어느 처리구(處理區)나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적었으나 U+S+G구(區)만이 많았다. 환원당(還元糖)과 자당(蔗糖)을 처리구(處理區)에서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특(特)히 U+S+G구(區)는 대조구(對照區)의 거의 배량(倍量)이었다. 6) 콩은 휴면기(休眠期)가 없으니 콩을 Gibb. 또는 U+S+G 액(液)에 침지(浸漬)하지 않고 발아직후(發芽直後)에 살포방법(撒布方法)으로도 결과(結果)를 볼수 있었다. 7) 콩나물에 Gibb.을 사용(使用)하는 것이 신장중량(伸長重量) 및 일부성분(一部成分)이 증가(增加)됨으로 유리(有利)하나 단용(單用)하는 것보다는 Gibb. Urea 및 Sucrose을 혼용(混用)하는 것이 Vit. C양(量)은 환원형(還元型) C.는 1/3 종(縱) Vit.C는 1/2량(量)이나 신장도(伸長度) 및 조지방(組脂肪)은 거이 동일(同一)하며 중량(重量)은 거이 배량(倍量)이고 단백질(蛋白質), 환원당(還元糖), 자당(蔗糖)은 침지7일후(浸漬7日後)에 각각(各各) 10.4, 36.1, 70.5% 많았다.

  • PDF

Gibberellin 산류 생산균주의 분리와 생산성검토 (Productivity test on some screened strains of Gibberella fujikuroi(Saw.))

  • 임선욱;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71-175
    • /
    • 1971
  • 벼의 키다리병(Bakanae disease)병원균 Gibberella fujikuroi Sawada는 그의 대사 산물로 Gibberellin 산류를 생산하고 있어 작물생장 조절작용이 있는 이 물질을 얻기 위하여는 우수한 균주를 알맞은 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이다. 이 시험은 우리나라의 야생균 가운데 Gibberellin 산류의 생산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선발하기 위하여 먼저 평택, 예산, 당진 및 순천지역에서 키다리병에 걸려있는 볏모 뿌리를 수집하여 평택지역 4, 예산지역 7, 당진지역 7, 순천지역 5 균주를 각각 분리하여 형태학적으로 검토하여 동정하였다. 분리 선발된 각 균주와 대조근주(IAM-8048)에 대하여 일정한 배양 조건에서 Gibberellin 산류의 생산성을 배양액중 농도 측청과 볏모에 대한 배양액 추출물의 생산촉진 효과실험을 통하여 우수한 활성 균주 셋을 선정 Gibberella fujikuroi P-105, Y-14 및 T-58이라 각각 기호를 부쳤으며 그 가운데 P-105가 가장 우수하였다. 균주 Y-5, Y-7, T-54 및 S-152 등은 배양액중 Gibberellin 산류의 농도와 볏모에 대한 생장 촉진 효과가 낮거나 약간 억제적이었다. 배양 조건을 추구하기 위하여 조성과 함량이 다른 여섯가지 배양기에 대하여 비교 시험한 결과 Raulin-Thom 배양기 (glucose 16%, $NH_4NO_3$ 0.24%)에서 Gibberellin 산류의 생산이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다른것은 대략 Cross, Borrow, West, Stodola, Kurosawa 배양기의 순위로 생산성이 낮았다.

  • PDF

Altered Fine Structure of Amylopectin Is Induced by Exogenous Gibberellin During Rice Grain Ripening

  • Kim, Sang-Kuk;Park, Shin-Young;Lee, Sang-Chul;Lee, In-J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23-526
    • /
    • 2006
  • When $GA_{4}$ was applied to heading stage, it was examined to understand the change of plant hormones and starch during grain filling and ripening. Exogenous gibberellin caused a dramatic decrease in endogenous ABA content. Endogenous $GA_{4}$ content in both superior and inferior part was more promoted in $GA_{4}-treated$ rice grain than in the control. $GA_{1}$ content of an inferior part was not detected in the control and $GA_{4}-treated$ rice otherwise $GA_{4}$ was detected in all grain parts. Ripened grain rate in $GA_{4}-treated$ rice grain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plant. Amylopectin from $GA_{4}-treated$ grain contained more very short chains with degree of polymerization (DP) between 4 and 8 than amylopectin from the control plant. It suggests strongly that fine structure of rice endosperm may be changed by exogenously applied $GA_{4}$ in rice plants.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Endemic Elder Species (Sambucus racemosa subsp. pendula) and Common Elder Species (S. williamsii) in Korea

  • Hyo-In, Li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84-289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eed dormancy types of Sambucus racemosa subsp. pendula Nakai and S. williamsii Hance.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1, 2, 3, 4 months) and GA3 treatment (1,000 mg/L) were performed on seeds to determine the type of seed dormancy. After the treatment, seeds were placed on a petri dish at 25℃ under light conditions. The germination rate and mean germination time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cold stratification was effective in breaking the dormant state of the seed in both species. In the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treatment, the seed germin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as the treatment period was prolonged. Gibberellin treatment was effective in breaking the dormant state of S. racemosa subsp. pendula without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However, S. williamsii did not break the dormant state of the seed by gibberellin treatment without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treatment. In the gibberellin treatment, germin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according to the low temperature stratification treatment perio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eeds of S. williamsii have both an intermediate complex and a deep complex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In comparison, it was found that the S. racemosa subsp. pendula had intermediate composite MPD.

반하의 재배환경에 따른 생육 및 수량 (Cultural Environments on Growth and Tuberlet Yield of Pinellia ternata(Thunb.) Breit)

  • 김영진;박문수;박호기;김선;김태수;장영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40-245
    • /
    • 1995
  • 기내에서 직접 대량 생산하여 생산된 반하 소괴경을 인공재배할 수 있는 온도, 일장 및 생장조절제 반응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하 생육에 알맞은 온도 조건은 항온보다는 변온에서 좋았다. 2. 일장 조건은 6시간/일 단일 조건에서 괴경, 물질생산 및 자구생산에 유리하였다. 3. 반하괴경의 수량은 2.4-D 0. 1ppm, Kinetin 10ppm 및 gibberellin 50ppm에서 양호 하였다. 4. 반하의 자구 형성은 2. 4-D 10ppm 과 gibberellin 10ppm에서 좋았다. 5. 콜히친 침지처리는 반하의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자구의 형성에는 콜히친 0. 05%에서 48시간 침지처리 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6. 콜히친 적하처리에서는 콜히친 0. 1%에서 1일 1회 적하처리할 때 괴경건물 생산량이 가장 높았고 자구형성은 콜히친 0.05%에서 매일 1회씩 5일간 적하처리할 때 가장 좋았다.

  • PDF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가 벼기계이앙 어린모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of Rice Seedling for Machine Transplanting)

  • 이주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60-365
    • /
    • 1993
  • 벼 기계이앙 어린모 육묘시 생장조절제가 묘의 초장신장 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화성벼를 공시하고 6가지의 생장조절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종 효과와 6가지의 생장조절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종 효과와 묘 생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ibberellin과 Metalaxyl은 어린모의 초장신장을 촉진시켰으며, Tetracycle은 초장을 억제하였다. 2. Gibberellin의 엽면분무처리가 종자침종처리보다 어린모의 초장신장에 더 효과적이었다. 3. 어린모의 초장신장 촉진을 위한 Gibberellin의 엽면분무처리의 적정농도는 약 10ppm이었다. 4. Gibberellin의 엽면분무의 적정처리시기는 파종후 3~4일 이었다.

  • PDF

벼 최아후 건조종자의 발아능력 (Germination Ability of Pregerminated and Dried Rice Seed)

  • 권태오;정진일;노태환;남궁승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17-322
    • /
    • 1997
  • 1차 최아되었던 법씨의 활력증진 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최아 정도별 현미의 유기 및 무기성분의 함양변이와 조ㆍ중오ㆍ만생종별 각각 2품종을 공시하여 기상생태형간의 차이 및 gibberellin 처리가 종자의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아 정도별 단백질함량은 무최아 종자에서 높았고 최아가 진전되어 최아장이 클수록 낮았으나, 지방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 칼리함량은 무처리 종자에서 낮았고, 최아가 진전된 종자는 높았는데 최아장이 10mm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마그네슘도 처리간 차이는 작았지만 경향은 가리함량의 경우와 같았다. 그러나 Mg /K 비율은 최아장이 클수록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3. 재발아능력은 숙기가 이른 품종들이 높았는데, 최아가 5mm 이상 되었던 종자들은 재발아능력을 거의 상실하였다. 4. 침종 후 바로 말려서 파종한 종자의 재발아율은 1차 최아되었던 최아장 0.1∼0.5mm인 종자의 재발아율보다 낮고, 최아장 1∼3mm인 종자의 경우와 비슷함을 보였다. 5. 재발아율에 미치는 gibberellin의 효과는 10ppm에서 높았고,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최아장이 작았던 종자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유묘의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 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Phoma herbarum as a New Gibberellin-Producing and Plant Growth-Promoting Fungus

  • Hamayun, Muhammad;Khan, Sumera Afzal;Khan, Abdul Latif;Rehman, Gauhar;Sohn, Eun-Young;Shah, Aamer Ali;Kim, Sang-Kuk;Joo, Gil-Jae;Lee, In-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244-1249
    • /
    • 2009
  • Endophytic fungi are known for the production of valuable metabolites, but information on the gibberellin production capacity of this group is limited. We isolated 9 endophytic fungi from the roots of salt-stressed soybean plants and screened them on waito-c rice, in order to identify plant growth promoting fungal strains. The fungal isolate TK-2-4 gave maximum plant length (20.35 cm) promotion in comparison with wild-type Gibberella fujikuroi (19.5 cm). In a separate experiment, bioassay of TK-2-4 promoted plant length and biomass of soybean cultivar Taegwangkong. The TK-2-4 culture filtrate was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gibberellins, and it was found that all physiologically active gibberellins, especially $GA_4$ and $GA_7$, were present in higher amounts ($GA_1$, 0.11 ng/ml; $GA_3$, 2.91 ng/ml; $GA_4$, 3.21 ng/ml; and $GA_7$, 1.4 ng/ml) in conjunction with physiologically inactive $GA_9$ (0.05 ng/ml), $GA_{12}$ (0.23 ng/ ml), $GA_{15}$ (0.42 ng/ml), $GA_{19}$ (0.53 ng/ml), and $GA_{20}$ (0.06 ng/ml). The fungal isolate TK-2-4 was later identified as a new strain of Phoma herbarum, through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28S rDNA seq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