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 cells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5초

탄저병균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에 감염된 고추의 병태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y of Red Pepper Plant Infected with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

  • 이상범;정봉구;심재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5-192
    • /
    • 1986
  • 분생포자는 발아관의 수에 따라 포자내에 격막이 형성된다. 저항성 품종(금장 2호, 홍일품)과 감수성 품종(하늘초, 새고추) 간의 부착기 형성율은 큰 차이가 없었고 부착기의 모양은 엔형, 타엔형 및 성장체 등 다양하며 접종 12시간에서 그 형성율은 최고에 달했다. 접종 24시간에 저항성 품종의 잎과 열매에서는 과민성인 작은 갈색병반이 관찰되면서 표피하 조직세포내에 심한 원형질분리가 일어났으나 감수성 품종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병반으로 급속히 진전 확대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사가 하부조직으로 확산되었고 분생자시 및 강모의 출현은 접종 96시간 후에 관찰되었다. 감염종자의 종피는 심하게 붕괴되었을 뿐만 아니라 침입균사도 관찰되었고 배유와 배는 심한 원형질분리를 일으켰다.

  • PDF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Sweet Fish, Plecoglossus altivelis)

  • 방인철;박상용;이윤아;이철호;김성연;김경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5-222
    • /
    • 2000
  •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생리학적 성전환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부화 후 2일째 (평균전장 : 0.66 cm)에 중신관과 장 사이의 장간막에 원시생식세포가 나타났으며, 부화 후 30일째(평균전장:1.29 cm)의 초기 생식소는 genital ridge를 형성하는 원시 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90-100일째 (평균전장:3.42 cm~4.50 cm)의 생식소는 암, 수로 분화가 이루어졌다. 정소는 부화 후 90일째 (평균전장:3.42 cm) 많은 정원세포들이 분포하고 정소 소관 (efferent duct, ED)이 관찰되었으며, 난소에서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parovarian sac의 구조가 난소 가장자리로부터 나타났다. 부화 후 110일째 정소에서는 정소 소관의 수와 정원세포의 수가 점점 증가하였다. 부화 후 100일째 (평균전장: 4.5 cm) 난소에서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parovarian sac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120일째 (평균전장:5.45 cm) 난소에서는 난소 소염의 형성 및 분리와 함께 난모세포가 소엽 내에 가득 차기 시작하여 기능적 난소의 형태로 분화하였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에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되는 분화형 자웅이체였다.

  • PDF

Effects of 17α-Methyltestosterone on Growth and Induced Sex Change in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Bloch)

  • Park, In-Seok;Im, Soo-Ye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1-15
    • /
    • 2011
  • We examined the effects of 17${\alpha}$-methyltestosterone (MT) on growth and induced sex change in the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The growth rate for body weight (GRW)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the group injected with MT over 8 week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ham-injected control group, the group injected over 4 weeks,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orally administrated groups, the GRW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given 1 kg of feed with 2.0 mg of MT were highest and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one another. For SGR, the treatment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and the SGR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The condition factor (CF) of the group injected over 4 weeks was higher than those injected over 8 weeks, the sham-injected control group over 8 weeks, and the control group. The CF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sham-injected control group over 8 weeks and the injected group over 8 weeks, but these two groups differed from the control group (P<0.05). The CFs of the groups given 1 kg of feed with 0.5, 1.0, and 2.0 mg of M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feed efficiency ratio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MT administration. Most of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ing MT developed many unidentified germ cell cysts and perinucleolus oocytes, although neither spermazoa cells nor sex-changed males were observed in any of the treatments.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의 형태 및 계측형질 변화 (Changes of Morphology and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Oocyte during Oogenesis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16
  • 북방전복에서 난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는 조직학적 특징에 따라 난원세포 (oogonium), 난황형성전기 난모세포(previtellogenic oocyte), 난황형성개시기 난모세포 (initial vitellogenic oocyte), 난황형성초기활성기 난모세포 (early active vitellogenic oocyte), 난황형성후기활성기 난모세포(late active vitellogenic oocyte) 및 완숙기 난모세포 (ripe oocyte)로 구분할 수 있다.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 핵 및 인의 크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핵에 대한 인의 크기 비율은 감소하였다. 난모세포 세포질의 염색성은 H-E 염색에서 호염기성에서 호산성으로 변하였다.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에서 난병과 젤리층의 외막이 발달되었다. 이러한 조직학적 변화는 난모세포의 난황축적 및 산란준비과정으로 판단된다.

DPPA2 Protein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Metastasis

  • Shabestarian, Hoda;Ghodsi, Mohammad;Mallak, Afsaneh Javdani;Jafarian, Amir Hossein;Montazer, Mehdi;Forghanifard, Mohammad Mah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461-8465
    • /
    • 2016
  • Gastric cancer (GC) as the fourth most common cause of malignancies shows high rate of morbidity appropriating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Developmental pluripotency associated-2 (DPPA2), cancer-testis antigen (CT100), is commonly expressed only in the human germ line and pluripotent embryonic cells but it is also present in a significant subset of malignant tumor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DPPA2 expression is recalled in GC, our aim in this study was to elucidate DPPA2 protein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Fifty five GC tumor and their related margin normal tissues were recruited to evaluate DPPA2 protein expression and its probable associations with different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patients. DPPA2 was overexpressed in GC cases compared with normal tissues (P < .005). While DPPA2 expression was detected in all GC samples, its high expression was found in 23 of 55 tumor tissues (41.8%). Interestingly, 50 of 55 normal samples (90.9%) were negative for DPPA2 protein expression and remained 5 samples showed very low expression of DPPA2. DPPA2 protein expression in G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p = 0.012). The clinical relevance of DPPA2 in GC illustrated that high level expression of this protein was associ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supporting this hypothesis that alteration in DPPA2 was associated with aggressiveness of gastric cancer and may be an early event in progression of the disease. DPPA2 may be introduced as a new marker for invasive and metastatic GCs.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the Bagrid Catfish, Leiocassis ussuriensis)

  • 박상용;이윤아;최경철;강언종;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8-253
    • /
    • 2001
  •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의 생리학적 성전환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부화 후 1일째에 중신관과 장 사이의 장간막에 원시생식세포가 나타났으며, 부화 후 5일째의 초기 생식소는 생식융기를 형성하는 원시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20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의 분화가 이루어졌는데 정소는 부화 후 20일째에 유사분열 단계의 원시생식세포들이 분포하였으며, 난소에서는 난소를 특징지을 수 있는 entovarian sac의 구조가 난소 중앙부분에 나타났다. 부화 후 40일째 정소에서는 정원세포의수가 점점 증가하였고, 부화 후 50일째 난소에서는 난소강이 더 뚜렸해지며 부화 후 100일째 난소에서는 초기 난모세포가 난소내에 가득 차기 시작하여 기능적 난소의 형태로 분화하였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은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되는 분화형 자웅이체였다.

  • PDF

Immunized PID 제어기를 이용한 항만 구조물의 진동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bration Control of Port Structure using Immunized PID Controller)

  • 이영진;이권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9-404
    • /
    • 2005
  • 본 논문은 생체시스템의 인공면역시스템을 이용한 Immunized PID 제어기를 구성하였으며, 상층부위에 제동시스템이 부착된 다층 건축물의 진동제어에 적용하였다. 인공면역시스템은 인체가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바이러스, 병원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의 항체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행동하는 현상을 모델링한 것으로써 외란입력에 대한 적응성 및 강인한 응답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설계된 제어시스템은 항만의 건축물에 능동제어기로 적용하였으며,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환경적 부하로 인해 발생되는 건축물의 응답변위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타내었다. 그리고, 기존의 진동제어에 널리 이용되는 제어기도 함께 적용하여 제안한 제어기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함과 동시에 인공면역시스템을 응용한 제어기 설계에 대한 비젼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양식산 수컷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 성숙유도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변동과 정소 발달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and Testicular Development in Artificially Maturing Cultured Mille Eel, Anguilla japonica)

  • 김응오;배준영;임상구;손맹현;박민우;박미선;조용철;김대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66-471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body weight (BW),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and testicular development of cultured male eel Anguilla japonica during an artificial maturation process. Eels that received weekly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eel's ringer solution containing human chronic gonadotropin (HCG) were examined. In the ringer-treated control, BW changes decreased slow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Plasma testosterone (T), 11-ketotestosterone (11-KT) and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DHP) levels In the control remained low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Moreover, all germ cells in the testes of the control were spermatogonia. In the HCG-treated male eels, however, BW changes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fifth week and then decreased slowly. The plasma T level increased rapidly (p<0.05) in the second week and then decreased slowly. The plasma 11-KT level increased dramatically (p<0.05) in the second week and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plasma DHP level increased progressively from the second week and peaked in the eighth week (p<0.05). The testes of HCG-treated male eels were more developed than those of the control; most were at the spermatozoa and spermatid stages and showed active spermiation. Thus, spermatogenesis and spermiation in the cultured eel can be induced by repeated injections of HCG.

Testis-specific transcripts in the chicken

  • Kim, Duk-Kyu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3-5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닭의 정소 및 정자에 대한 기능 유전체 연구를 위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소 특이적유전자로 예상되는 후보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TIGR Gallus gallus Gene Index 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닭의 정소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공개된 EST 염기서열을 검색하여 나온 총 292개의 서열을 선택하였으며, 이와 같이 선별된 서열들에 대하여 닭의 정소와 난소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서 전사체의 발현을 검증하였다. 결과에서, 총 292개의 염기서열 중 110개가 정소 특이적인 발현을 나타내었다. Tentative consensus sequence (TC) 상에서 집합된 EST의 수와 정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TCs의 수 사이의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Gene Ontology 데이터베이스 용어를 이용하여 분류한 결과에서는 정소특이적인 TC는 닭의 전체 TC를 분류한 것과 비교하면 catalytic activity (Molecular Functionbranch)의 카테고리에 많은 수의 TC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닭의 정소 특이적 유전자에 대한 연구와 그 기능 분석을 보다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갑상선 수질암 조직에서 RET 원암유전자의 돌연변이 양상 (RET Proto-Oncogene Mutation in Medullary Thyroid Carcinoma)

  • 정웅윤;송현정;조남훈;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0
    • /
    • 2002
  • Background: The molecular pathogenesis of hereditary medullary thyroid carcinoma is well known to be associated with germ-line mutation in the RET proto-oncogene and sporadic medullary thyroid carcinoma has been shown to carry somatic RET mutation especially in exon 13 and 1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genetic background in the pathogenesis of the sporadic medullary thyroid carcinoma which shows extremely high incidence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Direct DNA sequencing for RET exon 13 and 16, as well as immunohistochemistrical assay for a monoclonal RET antibody were performed from 20 cases of archival tissues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Results: Monoclonal RET antibody with C-terminal epitope showed comparatively stronger expression in tumor cells than in normal tissues and immunoreactive area in the tumor was $66.0{\pm}40.1%$. Direct sequencing of RET exon 13 revealed 4 cases of mis-sense mutations in Codon 778, Codon 767, and both in Codon 768 and 778. One case showed a silent mutation (ACG-ACT) in RET exon 16 (Codon 926). Conclusions: The strong RET immunoreactivity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may suggest that there could be a genetic alteration in oncoprotein level. RET proto-oncogene mutation may be involved in the evolutional process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in the aspect of molecular b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