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orphological changes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8초

Active Fault Study of the Yangsan Fault System and Ulsan Fault System,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경재복;이기화
    • 지구물리
    • /
    • 제9권3호
    • /
    • pp.219-230
    • /
    • 2006
  • Since the key issue that 'the Yangsan fault is seismically an active fault" was raised in 1983, the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studies of active fault have been made by many researchers. These studies are mainly focused on the Yangsan fault system(YFS) and Ulsan fault system(UFS) due to many historical earthquakes occurred in this area.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active faultings under the ENE-WSW horizontal stress fiel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NE-trending YFS is the most prominent right-lateral strike-slip fault and has a continuous trace about 200 km long. Some part of this system has been active during the late Quaternary with evidences clearly recognized on both the northern (Yugyeri and Tosung-ri areas) and southern parts (Eonyang to Tongdosa area) of the YFS. in the southern part, the estimated vertical slip rate is about 0.02 - 0.07 mm/yr, and the lateral slip rate may be several times larger than the vertical rate. The most recent event occurred prior to deposition of Holocene alluvium, in the northern part, the fault trend locally changes to almost N-S, dips to the east and has reverse movement. The average vertical slip rate is estimated to be less than 0.1 mm/yr. The most recent event probably occurred after 1314 years BP (AD 536). The NNW-SSE (or N-S) trending UFS is a predominantly reverse fault that built up U-ie eastern mountain and has been active during U-ie late Quaternary. The fault trace is not straight but irregularly undulates along the foot of the mountain on the east. From the disturbed terraces along U-ie fault, the average vertical slip rate on U-iis system is estimated to be about 0.08.13mm/yr. The latest event is not well studied, but seems to have occurr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in the Malbang fault and 14,000 years BP in the Kalgok fault of the UFS. However, important issues such as fault segmentation, recurrence interval, age of Quaternary deposits need further studies.

  • PDF

서남해안지역(西南海岸地域)의 지형발달(地形發達)에 미친 지질조건(地質條件) (Effects of Geological Conditions on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 김서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4권1호
    • /
    • pp.11-18
    • /
    • 1971
  • The geotectonics and geomorphic structure of Korea resulted from the Song-rim Disturbance and the Daebo orogenic movements. Afterward this mountainous peninsula underwent several geological changes on a small scale, and it was also claimed that the steady rising of the elevated peneplain of the eastern coast and the submerging of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are largely due to the tilted block movement. These views have been generally accepted good in several ways, but they are limited in range or lacking in theoretical integration. The present writer investigated the geology of the Mt. Chi-ri-san and the Honam coal mining area for a geological map in 196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onvinced the present writer that the conventional views, which were based upon a theory of lateral pressure should be reconsidered in many respects, and more recent studies made it clear that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in the southwestern area can be better explained by the orogenic movement and rock control. The measurement of submerging speed of the western coastal area (Pak. Y. A., 1969) and a new account on the geology and tectonics of the Mid-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Kim O.J., 1970) act as an encouragement to a new explanation. The present writer's researches on the extreme southwestern portion of the peninsula show that the steady submerging of this area cannot be attributed to a simple downthrown block phenomenon caused by block movement. It is no more than the result of the differential movement of uplifting in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al areas and the rising of sea-level in the post-glacial period. This phenomenon could be easily explained by the comparison of the rate of rise in sea-level and amount of heat flow between Korea and other areas in the world. The existance of the erosional planes in the Sobaik-San ranges also provide an evidence of an upheaval in the western coast area. Though the Sobaik-San ranges largely follow the direction of the Sinian system. They consist of the numerous branches, whose trends run more or less differently from their main trend because of the disharmonic folding, are converged into Mt. Sobaik-San and Chupungryung. The undulation of the land is not wholely caused by orogenic movements, where as the present writer confirmed that the diversity of morphological development is the direct reflection of geological conditions such as rocks and processes which constitute the basic elements of geomorphic structure. An east-west directed mountain range which could be named as Hansan mountain range, was claimed to be oriented by the joint control. The geological conditions such as a special erosion and weathering of agglomerate and breccia tuff usually produce pot-hole like submarine features which cause the whirling phenomenon at the southwestern coast channel.

  • PDF

소라소분지 BP-1공의 층서연구 (Stratigraphy of the BP-1 well from Sora Sub-basin)

  • 오재호;김용미;윤혜수;박은주;이성숙;이민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5호
    • /
    • pp.551-564
    • /
    • 2012
  • 소라소분지에 위치한 BP-1공을 대상으로 유기질 미화석 분석 결과와 탄성파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지역의 지질시대를 구분하였고 고환경을 해석하였다. 소라소분지에서는 해침 해퇴의 반복과 해수면 변화에 따른 환경변화 및 생물군의 변화가 있었다. 표준화석과 생태층서 해석에 의하여 지질시대는 하부로부터 후기 에오세, 올리고세, 전기 마이오세로 구분하였다. 유기질 미화석군을 기초로 흑진주공의 생태층서를 상부부터 Ecozone III, Ecozone IV, Ecozone V, Ecozone VI 로 각각 4개의 생태층서대로 나누었다. 흑진주공과 기존 연구된 도미분지의 생층서 자료를 비교한 결과, 소라-1공과 인접한 BP-1공에서는 해성층의 미화석 군집의 다양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각각의 분지 주변과 중앙에 위치한 지형적 차이로 인한 결과로 판단하였다. BP-1공의 층서 연구를 통해 기존의 시추공들과 층서대비를 할 수 있었고 도미분지의 표준층서를 확립하게 되었다.

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 Park, Seong-Gi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15
    • /
    • 2003
  • In South Korea, marine terraces have been well developed along the eastern coastal zone,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marine terraces have also been focused on to this coastal zone. The 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had been classified into three terrace groups, that is, the higher, middle, and lower surface ones, according to the heights of marine terraces by previous studies(Oh, 1981 ;Chang, 1987 ;Yoon et. al, 1999, 2003 ; Hwang and Yoon, 1996 etc.). Recently, however, it tends to classify the marine terraces based on the concept of geomorphic surface units(Lee, 1987 ; Kim, 1990 ; Choi, S. 2003; Choi S. et. al 2003a,b, etc). For example, it was proposed that the marine terrace surfaces of Eupcheon coast of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could be classified into 16 geomorphic surfaces, i.e., Eupcheon 1terrace(former shoreline height of 160m), 2(153m), 3(140m), 4(130m), 5(124m), 6(115m), 7(100m), 8(92m), 9(82m), 10(71m), 11(62m), 12(53m), 13(43m), 14(35m), 15(18m) and 16(10m) surfaces, in de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former shoreline heights(Choi, S, 2003 ; Choi, S. et. al, 2003a,b). Among these terraces, Eupcheon 1, 2, 4, 5 and 7 surfaces had not been reported in previous works. Among the above mentioned marine terraces, Eupcheon 15 terrace, the most widely and continuously distributed marine terrace have been identified as marine terrace of the Last Interglacial culmination period(oxygen isotope stage 5e) which was based on amino acid dates(124∼125ka BP) and geo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red soil, pollen analysis, fossil cryogenic structures and crossing terrace concept. Eupoheon 15 terrace surfaces have also been proposed as the key surface for the identification and correlation of the so-called '5e' marine terrace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This terrace was reconfirmed as the Last Interglacial culmination period, which wa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Ata tephra, one of the wide-spread marker tephra which indicates the Last Interglacial culmination period in Japan by Sasaki et. al(2002). It was thought that 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had been formed by the steady-state uplifting during the Quaternary glacio-eustatic sea level changes(Choi, 1997). The uprift rate of 10cm/1,000years had been proposed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based on the former shoreline altitude(18m) of the above Eupcheon 15 terrace.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Eupcheon 1 terrace had been formed in the early Pleistocene from the above uprift rate. The OSL dating for the samples of Eupcheon 7, 9, 13, 15 and 16 terraces and identification of marker tephra in the terrace deposits are in progress. It is expected that more elaborate chronology on the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could be established by these absolute dates and marker-tephra.

  • PDF

수중보를 고려한 하천에서 보존성 오염물질의 이송특성 분석 - 낙동강을 중심으로 (Transportation Modeling of Conservative Pollutant in a River with Weirs - The Nakdong River Case)

  • 이정우;배순임;이동률;서동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821-827
    • /
    • 2014
  • 4대강 사업에 따른 수중보의 건설로 인해 낙동강을 포함한 우리 나라의 주요 하천들의 물리적 특성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따라서 오염물질의 이동 특성 또한 변화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에서 칠곡보와 강정보를 대상으로 임의의 오염물질 유출 사고에 대비하여 대책을 수립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3차원 수리 수질모델,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을 활용하여 보존성 오염물질의 이동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상적인 시나리오를 구성하며 구미공단에서 독성물질의 유출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칠곡보 및 강정보 지점에 오염물질이 도달하는 시간은 각각 약 2.22일과 9.83로서 4대강 사업 전에 비해 약 12배 이상 오염물질의 이동 시간이 지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구광역시의 취수장을 구미시상류로 이전하였을 경우에 대한 모의 결과, 구미 상류의 유량의 감소에 따른 수위 및 유속의 감소에 의한 확산 현상의 증가로 인해, 독성물질의 하류 도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성물질의 최대 검출 농도는 약 2%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우리나라 하천 관리에서 생물지형학의 적용과 전망 (Applications and Perspectives of Fluvial Biogeomorphology in the Stream Management of South Korea)

  • 김대현;김원;김은석;옥기영;장창래;최미경;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1호
    • /
    • pp.1-14
    • /
    • 2020
  • 하천과 홍수터 생태계에서 생물지형학 연구는 폭 넓은 시공간 차원에서 생물계와 수문-지형체계 사이의 복잡한 다중관계를 다루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하천에서 (1) 생물과 수문지형 조건의 다자간 관계, (2)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이질성의 관계, (3) 생태계 유형에 대한 교란의 영향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하천지형생물학의 범위와 과정을 논의하였다. 시간적으로 하천의 생물지형 복합체는 지형, 선구, 생물지형 및 생태적 단계의 순서로 전환이 된다. 공간적으로 물 흐름과 유사 분포가 식생과 상호작용하여 하도 지형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렇게 형성된 하천의 공간적 이질성은 하안의 생물종다양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댐 하류 하천에서는 서식처 유형과 조건이 심각하게 훼손되어 생물다양성이 저하된다. 우리나라의 하천에서는 최근 국지적 교란과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하안 식생이 번무하고 특히 외래종이 빠르게 정착하고 있다. 따라서 급격한 기후변화와 인류에 의한 압박의 시대에서 하천 생물과 수문지형 조건 사이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총설에서 논의한 하천 생물지형 개념틀은 우리나라 하천의 생태적 관리와 복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해상도에 따른 배수경로길이 및 특성유속의 변화 (Changes of Drainage Paths Length and Characteristic Velocities in Accordance with Spatial Resolutions)

  • 최용준;김주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7-11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격자 형태의 지형학적 분산 개념을 이용한 유출해석 시 적절한 격자 해상도 선정을 위해 배수경로 길이의 통계학적 특성과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배수경로 길이는 지리정보체계의 8방향 흐름방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를 산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지형도는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1:5,000과 1:25,000 축적을 이용하였으며 각각 5, 10, 15, 20 m와 20, 30, 50, 100, 150, 200 m의 격자 크기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하천망의 규모에 따라 격자 해상도별 배수 경로 길이의 통계적 특성이 변화함을 볼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유역의 동수역학적 매개변수 역시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양상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격자 형태의 지형학적 분산 개념을 이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할 경우 1:5,000 지형도의 경우 하천망이 발달된 유역은 격자 해상도 5m, 하천망의 발달이 적은 지역의 경우에는 5~20m의 격자 해상도에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과 동수역학적 특성을 적절히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5,000 지형도는 두 경우 모두 50 m 이하에서 이상의 특성들을 비교적 적절히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와 RS를 이용한 금강유역 토양침식과 하상변화 연구 (Soil Erosion and river-bed change of the Keum river basin using by GIS and RS)

  • 이진영;김주용;양동윤;남욱현;김진관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0
    • /
    • 2006
  • 자연환경과 인위적 환경변화에 의한 홍수재해는 하상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원격탐사(RS)를 이용하여 유역에서의 토양침식과 하상변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범용토양유실공식 (USLE)을 이용하여 토양침식율을 계산하였다. 공주에서 이포까지 하상지형을 측량하였고, 3차원의 하상변화도를 작성하였다. 1982년에서 2000년까지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하상변동을 추적하였다. 연구결과, 강경일대의 토양침식율은 $1.8\;kg/m^2/$년이며, 하상증가율은 $+5\;cm/m^2/$년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금강하류의 하상변화는 일정한 비율로 토양침식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하상변동은 주로 금강의 지류와 본류의 접합부 하류일대에서 발생하였다. 금강하류에서 하상변동은 하성 세골재 채취가 하나의 원인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골재채취로 인하여 1991년도에서 1995년도 사이 금강하상 위에 노출된 하상면적의 감소를 초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금강유역 하상을 따라 교량건설, 경작지 조성을 위한 사주개간, 제방과 같은 수중 구조물들 설치는 퇴적물 집적과 퇴적하상의 노출면적 증가를 초래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두만강 하류 사구의 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Sand Dune at the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 Korea)

  • 이민부;김남신;이광률;한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1-345
    • /
    • 2006
  •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지역에 대규모로 발달한 사구 지형의 분포 및 지표 환경, 퇴적물의 특성, 기원 및 형성과정을 밝히고, 두만강 하류 일대의 하천 및 해안 환경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Spot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을 분석하고, 2회의 현지 야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도분석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해 사구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에서 파악된 사질퇴적지형 요소들은 삼각주, 사취, 이동사구, 정착사구, 사주, 사주피복 수변식생으로 구분되었다. 사구 퇴적물에 대한 입도 분석 결과, 조사 지역 중 가장 상류 쪽에 해당하는 DM3과 DM4에서 하성보다는 해성 모래와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사구를 이루는 모래의 입도 특성이 두만강 하류 지역의 현재 자연환경을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미경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풍화에 가장 강한 석영의 비율이 $65{\sim}83%$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30{\sim}40%$를 차지하는 광물 입자의 표면은 화학적 풍화를 받아 황색의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며, 물리 화학적 풍화에 의한 바늘 및 그물 모양의 거친 표면 형태와 에칭 피트가 나타난다.

서울 석관동 유적의 미고결 퇴적층의 지구화학적 특성 및 제4기 지표환경변화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Quaternary Environmental Change of Unconsolidated Sediments from the Seokgwan-dong Paleolithic Site in Seoul, Korea)

  • 이효민;이진영;김주용;홍세선;박준범
    • 암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88
    • /
    • 2016
  • 과거 인간활동과 유적형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과거 환경변화 정보를 수집하고 구체화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환경변화 정보는 유적지에 형성된 퇴적물을 대상으로 연대측정과 지화학 분석을 통해서 추적할 수 있다. 석관동 구석기 유적지 퇴적층은 약 5 미터의 미고결 퇴적층으로 크게 하부 기반암 풍화층, 그 위의 사면퇴적층 그리고 상부 하천퇴적층의 3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이 가운데 상부 하천퇴적층을 대상으로 입도분석, 대자율 분석, 유기지화학, 광물조성분석, 주성분 원소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등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퇴적층 구간은 4개의 퇴적단위로 구분되며, 3개의 유기물 함량이 높은 퇴적층들이 포함되어 있다. 입도분석 결과 퇴적물 입자의 평균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분급이 매우 불량하게 나타나며, 여러구간에서 상향 세립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자율 측정결과 3개의 유기물층에서 값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특징은 환경변화에 따른 광물의 조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성분 원소와 광물조성은 기반암인 쥐라기 흑운모 화강암을 구성하는 주요광물과 유사하였으며, 기반암의 석영, K-장석, 운모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성 탄소연대측정결과 최하부 유기물층은 $14,240{\pm}80yr$ BP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 퇴적층이 최후빙하기 이후의 점차 온난해지는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상부의 퇴적층은 플라이스토세 후기부터 홀로세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연구지역인 석관동 유적은 계곡을 형성하는 하천활동과 사면퇴적 작용에 의해 퇴적물이 쌓이고, 자연제방과 같은 환경 또는 소규모 소택지 형태의 환경이 3 차례에 걸쳐 교대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