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ology unit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19초

한반도 서남해안 MIS 5e 해안단구의 퇴적층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Marine Terrace Sediments Formed during the Marine Isotope Stage 5e in the West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양동윤;한민;김진철;임재수;이상헌;김주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6호
    • /
    • pp.417-432
    • /
    • 2016
  • 이번 연구에서는 해남군 이진리 해안단구가 마지막 간빙기 최온난기(Marine Isotope Stage 5e; MIS 5e)에 형성되었음을 최초로 밝힌다. 이는 해발고도 4.8 m에서 8.8 m까지의 단구이며, 4개의 unit로 나누어진다(unit I: 4.8-5.3 m, unit II: 5.3-6.8 m, unit III: 6.8-8.3 m, unit IV: 8.3-8.8 m). 연구대상 퇴적층은 10-30 cm 간격으로 입도분포, 대자율, 함수율 등의 물리특성 분석, 주원소와 미량원소 분석, 점토광물 정량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OSL 연대분석을 통하여 unit II와 III이 MIS 5e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퇴적층에 포함된 원력들은 주변에 하천이 없는 점으로 미루어 주변 배후 산지에서 바다로 유입된 쇄설물들이 바다에서 마모 작용을 받은 후 재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대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매우 빠른 퇴적률을 보이는 점은 최온난기(125k; unit II 하위)를 전후한 급격한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강우량 등의 증가로 인해 쇄설물 유입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 지역의 점토 광물 비를 현재의 조간대, 황해와 비교한 결과, 연구 지역의 퇴적물은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결과는 과거 해수면이 높았던 시기의 수문 활동 및 퇴적 환경을 규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초·중등과학 지질단원의 학습을 위한 자은도의 지역화 자료 개발 사례 (Development Case of Regional 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s, Prim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at Jaeundo)

  • 김해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120
    • /
    • 2020
  • 과학교과의 지질단원 학습은 야외학습과 지역의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자은도를 중심으로 과학교과 지질단원 학습을 위한 지역화 자료를 개발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지역의 3개 장소(남진 선착장 부근, 양산 해변 지역, 둔장 해변 지역)를 중심으로 지질관련 지역화 자료를 개발하였다. 남진선착장 부근지역에는 해식애, 모래해안, 갯벌이 분포하고 있다. 해식애 노두에서는 퇴적암인 역암, 사암, 이암이 분포하며, 암석의 풍화 현상 그리고 끊어진 지층 및 휘어진 지층을 관찰할 수 있다. 양산 해변 지역에서는 약 1.5km 길이의 모래해안과 해식애가 발달하며 역암, 사암, 이암의 퇴적암과 화성암인 유문암 그리고 풍화에 의한 풍화혈이 발달한다. 둔장 해변 지역에선 약 2km 길이의 모래해안과 해식애 그리고 퇴적암과 다양한 지층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해식동굴이 긴 시간의 침식으로 인해 변화해 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시스택이 분포하고 있다. 3개의 장소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현상은 자은도에 분포하는 독특한 현상으로 과학 교과서의 지질단원에 제시된 지질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지역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화 자료는 사진으로 제작하여 교과서 사진과 비교하여 학습에 이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야외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할 만하다.

한반도(韓半島) 옥천대(沃川帶)에 분포(分布)하는 함(含)우라늄층(層)의 지질구조규제(地質構造規制) 및 조성광물(組成鑛物)과 우라늄분포(分布)와의 상관관계연구(相關關係硏究) (Structural control, and Correlation of Uranium Distribution and Mineralogy of Meta-pelites in Ogcheon Terrain, Korea)

  • 박봉순;소칠섭
    • 자원환경지질
    • /
    • 제13권4호
    • /
    • pp.215-227
    • /
    • 1980
  • The rock units of Goesan area in the Ogcheon metamor phic terrai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field criteria should be redefined into following sequence. Based on shear senses in secondary small structures which are usually observable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stratigraphy can be lithologically divided into the lower pelite, pebbly mudstone, upper pelite, quartzite and psammite unit in ascending order. This conclusion is in discordance with a previous opinion; Munjuri formation and Guryongsan formation may be equivalent to upper pelite unit, Iwonri formation and Hwanggangri formation to pebbly mudstone. From this, it may be inferred that isoclinal overturned folds repeatly occur in the area. The uranium bearing coaly thin layers in upper pelite unit have relatively broad exposures in Deogpyeongri block of Goesan area along culmination zone in the central part of the investigated area. It is believed that structural feature in the block recognized complexly refolded synform plunging to southwest. Mineralogical and radiometric studies were made on 135 representative samples from the Ogcheon Group of Korea. The mineralogy of all black slate samples is qualitatively similar but quantitatively ·different. The uranium distribution in the studied area show approximately log normal. Uranium in the black slates of the Ogcheon Group was deposited together under same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chemical and geological factors that controlled the abundance of organic carbon and iron oxides also controlled the uranium content. The relationship of the major components to uranium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Log(U\times10^4+1)$= 1.70999-0.00367(quartz)0.00512(micas)-0.00930 (other silicates)+0.01911 (iron oxides)-0.03389(other opaques)+0.02062(organic carbon).

  • PDF

Transgressive Geochemical Records in the East China Sea: A Perspective with Holocene Paleoceanography

  • Hyun Sangmin;Lim Dhong-il;Yoo Hai-Soo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1호
    • /
    • pp.53-61
    • /
    • 2006
  • Geochemical and sedimentological analyses of sediment piston core were used to trace paleoceanographic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East China Sea. The analytical results revealed three lithostratigraphic units (I, II, and III) corresponding to a highstand stage, a transgressive stage, and a lowstand stage, respectively.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AMS) $^{14}C$ dat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units as 7 ka and II ka. That is, Unit I extended from the present to 7 ka, Unit II occupied a transitional episode from 7 to 11 ka, and Unit III was older than 11 ka. The transitional episode was characterized by sudden fluctuations in various geochemical proxies. Most strikingly, there was a gradual upward increase in both carbonate and total organic carbon (TOe) contents post-7 ka, during which time the ${\delta}^{l3}C$ values of organic material increased to a constant value. The gradual upward increase in the TOC and $CaCO_3$ contents in Unit I were accompanied by slight variations in grain size that probably reflect a stable modern oceanographic environment. Within Unit II (7 to 11 ka), the geochemical signals were characterized by abrupt and steep fluctuations, typical of a transgressive stage. Vertical mixing may have provoked an increase in productivity during this interval, with large amounts of terrigenous organic matter and/or freshwater being supplied by neighboring rivers. The geochemical signals remained stable throughout Unit III but exhibited different patterns than signals in Unit I. The high terrigenous organic matter content of Unit III suggests correspondence to a lowstand stage.

단위유역 단위의 지하수 관리기법 현장적용성 검토 (함평군 중심으로) (Field Applications on Groundwater Management Scheme of Subwatershed Unit in Hampyeong-Gun)

  • 정찬덕;송인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6호
    • /
    • pp.545-559
    • /
    • 2013
  • 지금까지의 지하수 수위분포, 이용현황, 개발가능량, 수질현황 등 지하수조사 성과물은 복잡한 우리나라 지형지세 및 수계형태와 달리 넓은 규모($25{\sim}250km^2$)의 유역(basin) 단위로 작성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수량, 수질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강수량, 지하수위, 이용량, 수질, 오염 등에 대한 명확한 관리기준과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단위유역(subwatershed) 단위의 강우등급, 수위등급, 이용등급, 오염등급, 수질등급에 대한 분류기준(안)을 제시하고 함평군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적용해봄으로써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Bubble breakup dynamics and flow behaviors of a surface-functionalized nanocellulose based nanofluid stabilized foam in constricted microfluidic devices

  • Wei, Bing;Wang, Yuanyuan;Wen, Yangbing;Xu, Xingguang;Wood, Colin;Sun, Lin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8권
    • /
    • pp.24-32
    • /
    • 2018
  • Nanocellulose was surface-functionalized toward the applications in enhanced oil recovery (EOR) as a green alternative.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effect of this material based nanofluid (NF) on foam lamella stabilization through studying its bubble breakup dynamics and flow behaviors in constricted mircofluidic devices. The NF stabilized foam produced an improved flow resistance across the capillary largely due to the capillary trapped bubbles at the contraction. The "snap-off" caused the NF stabilized foam to produce finer textured bubbles, which can migrate readily forward to the deep porous media, as revealed by the pressure profiles.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Need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Localization Materials in Geology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 of 'Strata and Fossils')

  • 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4-197
    • /
    • 2019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를 통해 지질 관련 학습은 직접 체험이 가능한 형태가 학습의 높은 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과학적인 태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일으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지질 관련 학습 단원의 직접 체험은 야외 지질 학습으로 지역화 자료 개발의 기본이며 핵심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이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불어 초등학교 지질 관련 단원을 학습할 수 있는 지질 장소가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지질 관련 지역화 자료의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 야외 지질 학습장이 개발된 일부 지역도 학습 장소만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인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부분은 지질관련 연구자뿐만 아니라 지역에 근무하는 현장교사들의 노력이 많이 필요한 부분이다. 지질 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은 교과서의 지질 단원에 제시되고 있는 자료의 수준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교과서 자료와 개발된 지역화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는 수업의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야외 지질 학습장을 개발할 때에는 학습자들의 지질과 관련된 경험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체험-사후 활동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within Teaching & Learning Activity on Geology Uni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위수민;곽정실;조현준;김현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420-43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in geology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with seventeen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serviced more than three years, and with sixteen elementary students located in Cheongju City.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Seidman's step to acquire a reliability in the interview data with triangulation, then in-depth interview questions were modified and completed through pre-interview after constructing the trustworthiness of interviewee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in applying the analytic induction method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From the interviews, we found that elementary teachers'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geology units; teachers' inner difficulties, the difficulty of lab activities, the problems of rock samples, the problems of curriculum in geology units, the difficulty of the geological feature, the problems of the cramming education, the lack of the opportunity for the speciality, and so on. And the students have the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in learning geology units; the difficulty of the unit contents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learning by heart, the lack of the interest, the lack of materials, the problems of rock samples, the difficulty of the field learning, and so 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an interesting lab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geology units and taught in the geological field trip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 fully comprehend contents of the geology units.

  • PDF

GIS를 이용한 포항시 지형 및 지질과 지하수 산출능력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opography/Geology and Groundwater Yield Properties at Pohang using GIS)

  • 이사로;김용성;김남진;안경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1호
    • /
    • pp.115-13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포항지역에서 지형 및 지질과 같이 지하수계에 물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하수 산출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형고도, 지형고도차, 단위 지형경사, 광역 지형경사 등의 지형에 관련된 인자, 수문지질단위와 투수량계수(transmissivity), 비양수량(specific capacity), 양수량(well yield) 등의 지하수 산출 특성 인자를 공간 DB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형, 지질과 지하수 산출특성 자료들과의 상관관계를 GIS 중첩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정략적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수문지질단위의 투수량계수는 미고결퇴적물과 다공질화산암류에서 가장 높고, 쇄설성 퇴적암류에서 가장 낮았다. 지형고도와 지형고도차는 투수량계수와 비양수량에 대해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반면, 단위 지형경사와 광역 지형경사는 투수량계수와 비양수량에 대해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포항지역에서 산출되는 스멕타이트의 층전하 특성 (Layer Charge Characteristics of Smectite from the Pohang Area)

  • 이규호;고재홍;문희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4호
    • /
    • pp.315-326
    • /
    • 1995
  • The layer charge characteristics of smectites from the Tertiary basins in the Pohang area have been studied in detail using the alkyl-ammonium method. On the basis of layer charges, the smectite in the Pobang area can be classed as normal and high-charge (hc) smectite. The layer charge of the normal smectite averages 0.3, and ranges from 0.25 to 0.38/half unit cell. The hc-smectite collapses on K-saturation to become illite-like material and shows $10{\AA}$-series reflections on X-ray diffraction. The layer charge of the he-smectite ranges from 0.5 to 1. The layer cbarges of the Pohang smectite are in general heterogeneous. The layer charges distribute between 0.21 and 0.45, and the most frequent layer charge is 0.30~0.32. The layer charge and the layer charge distribution do not appear to be related to stratification or basins of occurrence. Thus, the layer charge may not have developed as a result of burial. Rather, it may have developed due to heat and hydrothermal solutions associated with volcanic activities. Volcanic sills and dykes are ubiquitous in the reg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