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al development research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3초

지식정보사회의 경제지리학 발전과 과제 (The Development and Prospect for Economic Geography in a Knowledge-Information-Based Society)

  • 한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301
    • /
    • 2008
  •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의 등장 배경으로 세계화, 정보화, 네트워크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이 만들어낸 '지식지리학'의 연구분야와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경제지리학의 연구과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0년대 후반 세계화, 정보화, 네트워크화가 토대가 되어 지식정보사회를 맞이하였으며,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신경제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신경제는 높은 기술수준과 고부가가치를 가진 지식을 중요시하는 경제이므로 지리학 분야에서 투입과 산출과정에서 지식집약도가 높은 경제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지식지리학'의 등장을 가져왔다. '지식지리학'은 제조업의 첨단기술산업과 신산업집적론, 금융 서비스 산업, 미디어 산업, 문화산업, 창조산업 등이 넓은 의미에서의 지식창조로 경제지리학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 PDF

韓國 纖維工業의 技術變化와 立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and locational changes of textile industry in Korea)

  • 김선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
    • /
    • pp.37-59
    • /
    • 198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echnological changes on locational changes on the assumption that technological changes cover over all industrial sectors. The study is carred on 1)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technological and locational changes and their problems. 2) To investigate the loc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extile industry. 3) To investigat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regional variations in technological level. 4) To the relationship of the technological change to the location of the textile industries. The locational change of the Korean textile industries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economic characteristics. In the begining stage of development in the 1950's, thetextile industries were largely concentrated in the major cities(Seoul, Pusan, Taegu, Masan et. al.). In the growing stage of development in the 1960's, the textile industries were relocated in suburban areas with the trend of large corporations building their branch plants of chemical fibers in the suburbs. With the expansion in the export industry in the 1970's, the textile compani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Bu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R&D) activities caused the textile industries reconcentrate around Seoul and Pusan, owining to the change of the economic environments in the 1980's. The 1980's have witnessed the increased R&D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new and value-added products. This was because the technological level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aegu and Other regions. What is more, plant birth location and branch plant location support that locational changes of textile industry were caused by technological changes. Plant birth location put stress technological environments of region, compared with branch plant locaiton. Accordingly, the technological changes of industry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locational change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locational changes come from technological changes. Other locational factors influence the industrial locations, but regional variations in technological level which has been relatively ignored has to be considered on the location study. Together with the accomplishments of existing location study, the study on technological change and location can better explain the location phenomena. And further research on technological change and location can provide better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 PDF

산업구조 전환기 충북지역 산업의 발전방향 (A Study on Industrial Development Direction at Transitional Periods of Industrial Structure in Chungcheongbuk-do Region)

  • 한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93-306
    • /
    • 2003
  • 충북지역은 지역 내 총생산의 이윤부문이 외부로 유출되고 있으므로 기반산업의 육성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주력 제조업은 주 업종으로 석유화학, 반도체 업종을, 부차적인 업종은 자동차 산업으로 하고 이들 업종에 디지털 산업을 결합시켜 고부가가치의 차세대 산업동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충북지역의 지식기반 서비스업인 교육 서비스와 보건복지 및 연구개발 서비스업은 정밀화학, 생물산업의 주 업종과 부차적인 정밀기기 업종의 지원사업으로 이들 기업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에스닉 인클레이브의 형성 메커니즘: 브라질 봉헤찌로 한인 의류산업지구를 사례로 (The Formation Mechanism of Ethnic Enclaves: A Case Study of Bom Retiro Korean Garment Industrial District in Brazil)

  • 문소라;장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76-891
    • /
    • 2014
  • 기존의 에스닉 인클레이브 연구는 지리학자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에서 에스닉 네트워크를 강조함에 따라 지리적 맥락과 산업 생산체계의 공간적 함의에 대한 설명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브라질 봉헤찌로 한인 의류산업지구를 사례로 봉헤찌로의 발전 경로와 의류산업의 생산체계 그리고 에스닉 네트워크를 함께 고찰함으로써 한인 인클레이브의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지역의 형성에는 에스닉 네트워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주자 의류 산업지역이라는 지역의 발전 경로와 의류산업의 생산체계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공간적 수렴현상에도 그 원인이 있으며, 이 과정에는 비동족 이주자 집단 및 브라질 현지인들의 참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관광개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mathbb{\ulcorner}$관광지출흐름분석$\mathbb{\lrcorner}$ 방법론의 모색 (Impact of Tourism Development on the Regional Economy : Adopting the Tourist Money Flow Analysis)

  • 주성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135
    • /
    • 1998
  • 관광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투입-산출분석, 관광소득승수분석, 노동창출효과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해 왔으나, 2차적 자료가 부족한 소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에는 적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사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현지 조사에 근거하여 관광객으로부터 관광사업체로 유입되고 사업체에 의해 지출되는 화폐흐름을 추적하는 '관광지출흐름분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3개의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로부터, 이 방법이 관광개발이 유발하는 연간 지출액의 규모와 그 지리적 범위를 추정하게 하고 생산액, 노동유발효과 등 지역경제에 대한 의미있는 지수를 측정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 PDF

포스트 브렉시트 시대의 영국 지역발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함의 (A Critical Review of the UK's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in the Post-Brexit Era and its Implication)

  • 전봉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6-462
    • /
    • 2021
  • 본 논문은 브렉시트의 동인 중 하나로 여겨지는 영국의 오랜 지역 격차와 사회분열에 대해 살펴보고, 브렉시트 이후 변화된 영국의 지역발전정책 현황 등을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1970년대 후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속에 영국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와 금융개혁 등과 같은 전략적 정책 선택이 지역 격차에 미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현재 영국과 비슷한 수도권 과밀화, 지역 격차, 분권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알아본다. 또한, 유럽연합 탈퇴 이후 영국의 자구적 지역발전기금, 지역발전정책, 그리고 거버넌스 변화 등을 살피고 주요 논쟁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역 간 격차가 심화하는 한국 사회에 영국 사례가 주는 교훈을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를 통한 지역 격차 완화 정책의 당위성 제시와 수도권과 비교하여 비수도권 지역의 공정한 공간환경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을 위한 주요 요소들 (Main Elements for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of Regional Industrial Clusters)

  • 박용규;정성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42-659
    • /
    • 2012
  • 이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중반이후 부각된 클러스터와 지역혁신체계의 '세계적-지방적 연결성'(global-local connectivity) 개념에 초점을 두고 3가지 측면에서 이론적 쟁점들을 고찰하는 데 있다. 첫째, 클러스터, 로컬 버즈(local buzz), 글로벌 파이프라인(global pipeline)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지리적 근접성'(geographical proximity)이 지역산업 발전에 미치는 중요성에 관하여 논한다. 둘째,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의 매개 고리로 작용하는 '지식 문지기'(knowledge gatekeeper)와 '일시적 클러스터'(temporary cluster) 개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세계적-지방적 연결성 개념이 지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지리적 근접성에 기초한 지역산업 클러스터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공간적 범위를 초월한 관계적 근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지역산업 클러스터 발전을 위해서 '지리적 편리성'과 '지리적 불편성'이 동시에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의 토대는 사회자본과 착근성이며, 이는 관계적 접근성이 다양한 공간 규모에서 나타나는 문화와 관습에 정착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세계적-지방적 연결성 맥락에서 기업 간 분업의 공간적 위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클러스터의 개방성과 폐쇄성, 세계적-국가적 차원에서 기업 간 공간분업의 수직적 수평적 위계성, 클러스터 발전에 있어서 중앙 또는 지방정부의 정책적 포섭과 배제의 범위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 PDF

계약 생산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Problems Regarding Contract Farming)

  • 장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35-549
    • /
    • 2016
  • 계약 생산은 수직적 조정에 의해 농산업의 전후방 연계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제도로서 오늘날 농식품 체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농산물의 계약 생산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점차 보편적인 현상이 됨에 따라 지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약 생산에 관한 해외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 분야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보면, 계약 생산의 성장 배경을 농식품 체계의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계약 생산의 이론적 기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계약 생산의 경제적, 환경적 영향과 지역 발전 정책으로서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계약 생산에 관한 장래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현대 한국 역사지리학의 형성과 발전 (The Shaping and Progress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Since 1945)

  • 홍금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68-591
    • /
    • 2012
  • 현대 역사지리학은 일제강점기 일본 여러 대학의 지리역사과에서 수학한 1세대 지리학자, 특히 노도양의 선구적인 활약에 힘입은 바 크며, 1960년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이찬에 의해 본격적인 출발과 비약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었다. 사우어의 문하생인 니펜의 지도를 받은 연유로 이찬은 답사와 문헌자료에 입각한 버클리 학파의 방법론을 한국에 이식하였으며, 1988년에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를 창립하여 과거의 지리와 지리적 변화에 관심을 가진 학자의 역량을 결집하는 구심체로 삼았다. 2세대 학자가 양산된 1980년대 이래 한국 역사지리학은 케임브리지 학파의 단면법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연구의 활성화를 기하고 있으며, 주제와 방법론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 PDF

극동러시아 남부의 국제 초국경 영역과 지속가능한 자원활용을 위한 역할 (International Transboundary Territories in the South of the Russian Far last and their Role in Sustainable Natural Resource Use in Border Regions)

  • Ganzei, S.S.;Mishina, N.V.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22-535
    • /
    • 2002
  • 소련의 붕괴 이후 지정학적 변화가 진행되면서 동아시아 국가의 통합이 증가하고 있다. 지리적 의미에서 외부 경제 연계의 성립은 둘 이상의 국가 간 국경 무역을 포함하는 특별한 영역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영역은 국제 초국경 영역으로 불리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 국경 영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의를 내린다. 극동 러시아의 남부에 위치한 국제 국경 영역을 몇 개의 구역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면. V.B. Sochava의 지오시스템(geosystem)체계에 기반한 위계적 분류를 행한다 이러한 국가의 국경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자연 자원 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국경 영역에 대한 향후 연구 지침도 요약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