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chemical analysis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동남해역 대륙붕과 대륙사면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Sediments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Lee, Chang-Bok;Park, Yong-Ahn;Kang, Hyo-Jin;Kim, Dae-Chu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31
    • /
    • 1991
  •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이제까지 퇴적학적 및 광물학적 측면에 집중되어 온 까닭에 그 지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동해 대륙붕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와 같은 지식의 빈 틈을 채우기 위하여 한국 동남해역의 대륙붕과 대륙사면에서 채취된 90개 표층퇴적물을 대상으로 그 주성분원소와 수종의 미량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화학원소들의 분포양상과 그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조절요인들이 논의되었다. 연구지역 퇴적물에서 화학원소들의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퇴적물 입도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Ca과 K를 제외한 대부분 주성분원소들과 Sr 및 Ba를 제외한 미량금속들의 함량은 모두 퇴적물의 입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퇴적물 내 Ca과 Sr의 함량은 주로 탄산염에 의해 조절되어지며, K의 경우에는 장석과 illite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K 함량과 어느 정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Ba의 경우에는 칼리장석의 영향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된 화학성분들의 연구지역 퇴적물 내 함량은 모두 자연상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공간적 분포양상은 대부분 입도분포나 혹은 탄산염분포(Ca과 Sr)의 그것과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한편, metal/Al 비율은 퇴적물 내 금속함량에서 입도의 영향을 보정할 수 있으며, 이 비율을 이용하여 연구지역 남부 연안역의 퇴적물에 미약하나마 인위적 오염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상모리패총에서 산출되는 이매패류 패각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Paleoenvironment Reconstruction using a Bivalve from Sangmori Shell Mound)

  • 김정숙;우경식;홍완;강창화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48
    • /
    • 2010
  • 이 연구는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상모리패총에서 채취한 조개패각(밤색무늬조개과 투박조개, Glycymeris albolineata) 시료(JSM-B01)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이 조개가 살던 시대의 해양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패각의 지화학적 조성은 서식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 패각인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성장기에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잘 반영하였지만 성장이 거의 멈추는 노년기에는 주변 환경 변화를 거의 반영하지 못 하였다. 투박조개의 성장기(장년기)에 기록된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계절적 주기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계절변화는 여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중국대륙연안수인 저염분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 동위원소 조성 역시 여름시기에는 저염분수의 영향을 반영하여 낮은 값을 보이고, 겨울시기에는 해수 표층의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의한 영향을 받아 여름보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의 계절적인 변화패턴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연구는 과거 해수환경을 해석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과거 해수환경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주변 해수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과 밤색무늬과조개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기육괴 철원지역 페그마타이트 내 망간-철 인산염광물의 광물-지화학적 특징 및 진화과정 (Mineralogy, Geochemistry, and Evolution of the Mn-Fe Phosphate Minerals within the Pegmatite in Cheolwon, Gyeonggi Massif)

  • 김규보;최선규;서지은;김창성;김지원;구민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3호
    • /
    • pp.181-193
    • /
    • 2017
  • 철원 갈말-김화 지역의 쥐라기 복운모 화강암체 내 페그마타이트에서는 다양한 망간-철 인산염광물의 집합체가 산출되고 있으며, 후기 마그마 단계로부터 열수단계 및 지표 풍화 단계에서 다양한 광물상의 변화가 유도되었다. 철원 복운모 화강암은 낮은 대자율 값을 갖는 전형적인 S-형 화강암으로 중알루미나질~고알루미나질, 후-충돌대 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페그마타이트는 K-Ar 연대가 약 153 Ma로서 복운모 화강암의 K-Ar 연대($151{\pm}4Ma$)와 전반적으로 일치하고 있어 동일 기원의 마그마로 추정된다. 한편 갈말-김화 페그마타이트는 광물조성에 의한 분류기준에 의하면 백운모-희유원소 종, 리튬 세부종, 녹주석 유형에 속하는 녹주석-콜롬바이트-인산염광물으로 구분되며, LCT(Li-Cs-Ta) 계열에 해당한다. 망간 인산염광물 중 트리플라이트는 주로 후기 마그마 단계에 정출되었으며, 열수 단계에서는 망간 인산염광물의 변질광물인 루코포스파이트와 잔사이트로 정출되었다. 풍화 단계에서 트리플라이트는 포스퍼시더라이트와 망간 산화물로 교대되어 산출된다.

종 분석을 이용한 시설재배지 토양 구리와 아연의 집적, 이동성 및 유효성 평가 (Accumulation, Mobility, and Availability of Copper and Zinc in Plastic Film House Soils Using Speciation Analysis)

  • 김록영;성좌경;이주영;이예진;정석재;이종식;장병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37-944
    • /
    • 2010
  • Cu and Zn can be accumulated in plastic film house soils by long-term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or compost. The mo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Cu and Zn accumulated in soil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chemical or geochemical species in soils. In order to assess the accumulation, mo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Cu and Zn in plastic film house soils, we determined their geochemical species using a sequential extraction, grouped into three pods: the total pool, the potentially mobil pool, and the mobil pool. Total contents of Cu and Zn, ranged from 14.9 to 53.1 mg $kg^{-1}$ for Cu and from 55.4 to 169 mg $kg^{-1}$ for Zn, lied by far below the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but exhibited little accumulation compared with their geogenic concentrations. Mobile contents of Cu and Zn and their percentage of total contents were strongly affected by soil pH in addition to total contents and soil organic matter. Mobile contents of Cu, ranged from <0.01 to 1.71 mg $kg^{-1}$, showed their minimum between pH 5.0 and 6.0 and increased above pH 6.0 to 8.0. In contrast, mobile contents of Zn, varied from <0.01 to 12.4 mg $kg^{-1}$, showed their minimum above pH 7.0 and increased strongly with decreasing pH below 5.5~6.0. Potentially mobile and total contents of Cu and Zn rose with ascending soil organic matter. To assess ecological and toxic effects of Cu and Zn in soils, mobile and potentially mobile contents, as bioavailable and potentially bioavailable pools,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otal contents.

단양 지질공원 구담봉-사인암 지질명소 화강암의 SHRIMP 저어콘 U-Pb 연령과 지구화학 (SHRIMP Zircon U-Pb Age and Geochemistry of Granites in the Gudambong-Sainam Geosites, Danyang Geopark)

  • 엄현우;김윤섭;정원석;부이빈하우
    • 암석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3-156
    • /
    • 2019
  • 단양 지질공원 지질명소 구담봉과 사인암을 구성하고 있는 화강암에 대한 저어콘 U-Pb 연령측정과 전암 지구화학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화강암은 단양군의 서부와 남부지역에서 산출하며, 영월층군과 태백층군의 퇴적암을 각각 관입하고 있다. 고분해능 이차이온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구담봉과 사인암화강암의 저어콘 U-Pb 동위원소 성분은 각각 $90.4{\pm}0.5Ma(t{\sigma})$$90.0{\pm}1.5Ma(t{\sigma})$ 백악기 관입 연령을 정의한다. 두 화강암 시료의 지구화학 성분 분석 결과는 전형적인 A-타입 화강암의 특성을 나타내며, 불국사 조산운동 후기 또는 비조산대에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구담봉과 사임암 화강암 시료의 저어콘 연령과 지구화학적 특성은 기존 보고된 백악기 무암사 및 월악산 화강암체의 결과와 일치한다.

지하수ㆍ토양의 매체별 상관성평가를 통한 토양오염저감예측

  • 이민효;윤정기;김문수;노회정;이길철;이석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83-186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behavior of a contaminant plume and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in soil through tile rel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in groundwater and in soil on the shallow sandy aquifer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The current state of the plume and its fate in the study area was simulated by using the MODFLOW-RT3D model and geochemical parameters of grounwater had been monitored and measured during 3 years (1999~2001). The rel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in each medium were taken from the investigation of site characterization conducted in 1999. Simulation results showed the center of the plume would migrate 407m twenty years later. At that time, the concentration would be decreased down to about 26 mg/$\ell$(93%). In comparison TEX concentration in the groundwater with that in the soil, the value of correlation coefficient (r=0.876) was as high as it could be used. Based on the high r-value, the linear equation was obtained from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model simulation by RT3D engine showed that the highest TEX concentration in the groundwater would be 58.8 mg/$\ell$ 16 years later, and then the TEX concentration in soil would be below the alarming level (80 mg/kg) of regulation criteria.

  • PDF

광미 자연풍화에 따른 광미공극수의 지구화학적 진화와 지하수 오염영향 - 시흥광산의 사례 (Geochemical evolution of mine tailing porewaters and groundwater pollution - Case for Shiheung mine)

  • 정예진;이상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9-21
    • /
    • 2001
  • The Shiheung mine was closed in 1972 and has been abandoned since then. Although some restoration work has been done, there still remain mine failings in and around the mine, posing a potential environmental hazard. Mine tailings and the porewater extracted from the tailing were investigated to see any evidence of elemental release and migration to adjacent groundwater and soil in the field. The pHs of the tailing range from 6.24 to 7.23. Calcite in the studied area seems to influence on such neutral pH range. Depth profile of mine tailing demonstrate elements have been leached and removed as a consequence of weathering during disposal. This is also supported by the findings from porewater analysis, corresponding the trends in the mine tailings. The concentrations of Cu, Cd, Pb, Zn in the tailing porewater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EPA for drinking water and this implies groundwater can be contaminated through infiltration of the porewaters, which ultimately will be discharged as leachate from the mine tailing.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near the mine area do not show high metal concentrations, except for Fe, which were detected over drinking water standard.

  • PDF

동읍지역 제4기 미고결 지층의 퇴적이력 (Development of Holocene Unconsolidated Stratigraphic Sequence from Lower Reaches of Nagdong River, Dongup Area)

  • 김성욱;최은경;이성훈;이승원;한석희;최상순;전휘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6-881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genesis of clayey soils that distributed in the Dongup area. On the basis of detailed observation and description on mineralogy, geochemical composition, geophysical properties, paleontological analysis of cored sediments, three sedimentary unit have been distinguished. From bottom to top, they are early Holocene freshwater muddy deposit(Unit I, fluvial swamp), late Holocene silt and muddy deposit(Unit II, alluvial deposit), late Holocene muddy deposit(Unit III, fluvial swamp). Unit II is divided into three part: the lower part-unweathered massive silt and muddy deposit, middle part-weathered layered slit and muddy deposit and upper part-weathered massive muddy deposit.

  • PDF

Recharge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ic ground conductivity survey and tritium concentration analyses of groundwater in salt affected area, Northeast Thailand

  • Imaizumi Masayuki;Sukchan Somsaku;Ishida Satoshi;Tsuchihara Takeo;Ohonishi Ryouichi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344-351
    • /
    • 2003
  • Hydrogeological survey and geochem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Phra Yun area, Northeast Thailand, which is a typical salt-affected area for an understanding of hydrogeological groundwater behaviours. Geological survey reveals the presence of G1 and F1 faults. Electromagnetic ground conductivity prospecting shows that the high conductivity zones of 15 mS/cm or more are distributed at underground of the G1 and F1 faults where saline groundwater is discharg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ritium concentration show that high tritium concentration zones of groundwater were recharged from pond and river. On the assumption that the annual average tritium concentration of precipitation in Northeast Thailand is same as tritium concentration of precipitation in Tokyo and groundwater flows as piston flow, the age of recharging precipitation of groundwater with 15 TU in 1997 could be estimated at 1967-1970 years. The velocity of groundwater flow was calculated to be $5.3{\times}10^{-7}\;m/s\;and\;2.1{\times}x10^{-6}\;m/s$ respectively from a duration time of 30 years and distance of groundwater flow 500m -2000m from the pond and river to the investigation wells. Because the estimated values of velocity of groundwater flow are compatible with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it is considered that 30 years is a reasonable period for recharging groundwater.

  • PDF

부산 금정산-백양산 일대 용천수, 지하수 및 지열수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ground and thermal waters in Mt. Geumjeong-Mt. Baekyang area, Pusan)

  • 함세영;조명희;황진연;김진섭;성익환;이병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9-239
    • /
    • 2000
  • Spring, ground and thermal waters in the vicinity of Mt. Geumjeong and Mt. Baekyang area have been sampled and analyzed for major and minor elements. According to the Piper diagram, spring water belongs to $Ca-HCO_3$ and $Na-HCO_3$ types, groundwater to $Ca-HCO_3$ type, and thermal water to Na-Cl type. Based on the phase stability diagrams of $[Ca^{2+}]/{[H^+]}^2, [Mg^{2+}]/{[H^+]}^2, [K^+]/[H^+]$, and $[Na^+]/[H^+] vs. [H_4SiO_4]$, spring water, groundwater and thermal water are mostly in equilibrium with kaolinite.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s three factors (factor 1, 2 and factor 3) for the spring water, the groundwater and the thermal water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influence of the dissolution of feldspar, calcite, anthropogenic sources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s) and salt wa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