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us two

검색결과 1,397건 처리시간 0.036초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 분해세균의 분리 및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and isolation of aromatic compounds utilizing bacteria from humus layer of oak forest)

  • 한송이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75-18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리그닌 polymers) 분해세균을 분리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밝히고, pyrosequencing 계통분석을 통해 부식층 내 주요 세균군집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향족 화합물(p-anisic acid, benzoic acid, ferulic acid 및 p-coumaric acid)을 이용하는 세균 42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계통해석한 결과, Rhizobium, Sphingomonas, Burkhorlderia, Pseudomonas 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방향족화합물 분해세균 중 Burkhorlderia 계통군은 전체 분리균주의 8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부식층시료로부터 7,862개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유의성 97% 수준에서 1,821 OTUs와 다양성 지수 6.76가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세균군집은 총 22개 문(phylum)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세균군집으로 확인된 ${\beta}$-proteobacteria 계통군은 Burkholderia, Polaromonas, Ralstoria, Zoogloea, Variovorax를 포함하는 15개 속으로 세분류 되었다. 이들 세균 중 약 50%가 Burkholderia 속으로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우점군집으로 밝혀진 Burkholderia 계통군은 산림 생태계에서 리그닌 분해 대사 과정에 중요한 미생물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자(附子)와 초오(草烏)의 내외부형태(內外部形態)와 패턴분석연구 (A study on morphological and pattern analysis in two kinds of Aconiti Radix)

  • 강준혁;최고야;김홍준;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3-38
    • /
    • 2006
  • The taxonomic list of specific features in external and internal shape and the pattern analysis of Aconitum carmichalei $D_{EBX}$ as the original plant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um cliiare Dc as the original plant of Aconiti Ciliare Tuber are as follows. 1. Aconitum carmichalei $D_{EBX}$ has tri-palmately parted leaves, petiole in lower leaves, and its ovary has short hair. Whereas Aconitum cliare Dc has $3{\sim}4$ parted leaves, long petiole, and its ovary has not hair. 2. Aconitum carmichalei $D_{EBX}$ has cylinder shape is relatively small in length and diameter, is greyish brown blacky brown in outer surface, greyish $white{\sim}dark$ gray in section. 3. According to the collection place,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physical shape of herbal states.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e(medicated in Korea) is more transparent blacky brown color than Aconiti Lateralis Fadix Preparata(medicated in Chian). Also Black Aconi Radix(墨附片) has exodermis and White Aconi Radix(白附片) has not. 4.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entirely correspond to in internal shape described in the literatures, Only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between black Aconi Radix(墨附片) and White Aconi Radix(白附片) by the existence of cork layer. The classification betwee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i Ciliare Tuber makes entirely Tuber makes entirely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physical shape of cambium layer Namely, in shape of cambium layer the kinds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la has horn-like shape and the kinds of Aconiti Ciliare Tuber has circle-like shape. 5. In the peak of examination substance in comparison to Rt of the index material diterpene alkaloid mesaconitine, aconitine, hypaconitine chromatogram Aconiti Ciliare Tuber is higher than i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This explain that the component changes after the process of medicine. 6. In the Content of mesaconitine, aconitine and hypaconitime Aconiti Ciliare Tuber is higher tha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7. In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conitine, hypaconitine and mesaconitine each appears in Rf 0.46, 0.54, 0.32. But except Aconiti Ciliare Tuber the band does not appear. For the future, such results will be used as the basic source of additional research, and a far-reaching comparative study is needed to distinguish between many kinds of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

해수와 해산물로부터 Listeria 속의 분리와 세균학적 조사 (Bacteriological Study of Listeria sp. Isolated from Seawater and Sea Food)

  • 강치희;이만효;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0-399
    • /
    • 2003
  •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해수와 해산물에서 Listeria 속을 분리하여 증균배양방법에 따른 균의 분리율, 선택배지에 따른 균의 분리율, 검체에 따른 균종 별 분리율, 생화학 시험과 분리된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혈청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100건의 검체에서 증균배양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1일 증균배양에서 L. monocytogenes가 4% (4건), L. innocua가 35%(35건), L. ivanovii가 4%(4건), L. welshimeri가 1%(1건)였고, 7일간 증균배양에서는 L. monocytogenes가 1%(7건), L. innocua가 38%(38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로 동정되어 1일 증균배양 보다 7일간의 증균배양이 Listeria속의 분리에 휠씬 효과적이었다. 이와 함께 Oxford 선택배지나 LPM 선택 배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증균배양과 비교하여 검출율이 조금 낮았다. 검체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새우와 가재에서 80%(16/20)로 분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바지락에서 50% (10/20), 해수에서 25%(5/20), 홍합에서 20%(4/20)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L. irnnocua가 38%(38건), L. monocytogenes가 7%(7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순으로 분리되었다. 각 검체에서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새우에서 L. innocua가 65%(13건), L. monocytogenes가 15%(3건), 가재에서 L. innocua가 70%(14건), L. monocytogenes가 10%(2건), 바지락에서 L. innocua가 45%(9건), L. monocytogenes가 5%(1건), 홍합에서 L. innocua가 10%(2건), L. monocytogenes가 5%(1건), L. welshimeri가 5%(1건), 해수에서 L. ivanovii가 25%(5건)분리되었다. L. monocytogenes로 분리 동정된 7주에 대한 혈청형 분류는 type I이 2주, type IV가 5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복 양식장의 패각 천공성 다모류 감염현황 (Infestation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the Polydora under Intensive Culture Conditions in Korea)

  • 원경미;김병학;진영국;박영진;손맹현;조미영;박명애;박민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9-148
    • /
    • 2013
  • 패각 및 석회기질을 천공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Polydora 속(Polychaeta, Spionidae) 다모류는 종종 전복을 포함한, 상업적으로 중요한 패류에 침입하여 성장률 및 육중량 감소와 상품가치를 하락시키다. 2012년 우리나라 전복 가두리 양식장 10개소를 대상으로 패각 천공성 다모류의 감염현황을 조사한 결과, 활전복에서는 5~99%, 죽은 전복 패각에서는 5.3~70.3%의 감염률을 보였다. 이들 전복은 진주층으로 덮힌 blister 및 패각변형이 일어났으며 패각 표면에는 Polydora가 서식하는 도관(burrow)으로 연결된 2개의 구멍이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분리된 Polydora는 성체의 길이가 40mm 이상으로 검은 띠가 있는 두드러진 palps, 꼬리 말단부위의 원반형 pygidium 및 4개의 eyespots을 가지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복 가두리 양식장의 패각 천공성 다모류 감염현황에 대한 첫 보고이다.

황(thiosulfate)을 이용하는 탈질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파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ur-oxidizing Denitrifying Bacteria Utilizing Thiosulfate as an Electron Donor)

  • 오상은;주진호;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09-414
    • /
    • 2006
  • 황산화 미생물인 Genus Thiobacillus 중 몇 종류의 탈질균은 여러 종류의 황 화합물($S^{2-}$, So, $S_2O{_3}^{2-}$, $S_4O{_6}^{2-}$, $SO{_3}^{2-}$)을 황산염이온으로 산화시키면서 동시에 질산성질소를 질소 가스 형태로 전환시킨다. 이는 독립영양 미생물이므로 외부 탄소원이 필요치 않으며, C/N비가 낮은 폐수에 에탄올 대신 값이 싼 황 입자의 투입으로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탈질화를 유도할 수 있다. 후탈질시 인위적인 유기물의 투입대신 값 싼 황입자를 사용하여 질소를 제거하며, 처리효율이 안정적이고, 운전이 쉬워, 최근 이 공정은 세계적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탈질시 알칼리도가 파괴되어 특히 알칼리도가 낮은 폐수의 경우 고농도 탈질시 pH가 떨어져 탈질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며, 고농도의 질산성질소를 처리할 경우 부산물로서 고농도의 황산염이온이 생성된다는 부수적인 단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R로부터 독립영양 미생물을 분리 characterization 및 미생물 동정을 하였다. MCR내에는 주로 Paracoccus denitrificans and Paracoccus versutus (formerly Thiobacillus versutus)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이들 미생물들은 유기물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facultative autotrophic denitrifier이었다. 이들 미생물을 탈질에 이용할 시 유기물이 있는 조건에서도 성장하기 때문에 유입 폐수 내 유기물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는 인위적으로 소량의 유기물을 넣어 독립영양탈질과 종속영양탈질을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독립영양탈질의 단점인 높은 황산염이온 생성 및 알칼리도 파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전통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 분석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s between Doenjang and Cheonggukjang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 하광수;김진원;신수진;정수지;양희종;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22-928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장류인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와 시료간의 미생물학적 차이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α-diversity 분석 결과 된장에서 종 추정치와 풍부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 분포를 분석한 결과 문 수준에서 Firmicutes가 된장에서 97.02%, 청국장에서 99.67%를 차지하여 공통적으로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속 수준에서는 된장과 청국장에서 Bacillus가 각각 71.70%, 59.87%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PERM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된장과 청국장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biomarker를 분석하기 위해 LEfSe분석을 수행한 결과 된장에서 Bacillus subtilis, Tetragenococcus halophilus, Clostridium arbusti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였으며, 청국장에서는 Bacillus thermoamylovorans,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sakei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콩을 주원료로 하는 우리나라 대표 전통장류인 된장과 청국장의 시료별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 분포를 정의하고 전통장류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과 미생물 분포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Bacillus-based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health of weaned pigs

  • Mun, Daye;Kyoung, Hyunjin;Kong, Myunghwan;Ryu, Sangdon;Jang, Ki Beom;Baek, Jangryeol;Park, Kyeong Il;Song, Minho;Kim, Youngho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6호
    • /
    • pp.1314-1327
    • /
    • 2021
  • Bacillus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spores in harsh environments, which makes it suitable for use as a probiotic for feed because of thermostability and high survival rate, even under long-term stor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illus-based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orphology, immune response,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weaned pigs. A total of 40 weaned pigs (7.01 ± 0.86 kg body weight [BW]; 28 d old)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treatments (4 pigs/pen; 5 replicates/treat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block = BW and sex). The dietary treatment was either a typical nursery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or CON supplemented with 0.01% probiotics containing a mixture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PRO).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daily by rectal palpation for the last 3 days after a 4-day adaptation. Blood, ileal digesta, and intestinal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one pig in each pen at the respective time points. The PRO group did not affect the feed efficiency, but the average daily gain was significantly improved (p < 0.05). The PRO group showed a trend of improve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p < 0.10). The serum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level tended to be higher (p < 0.10) in the PRO group on days 7 and 14.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lum level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us composition and proportions. However, β-diversity 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CON and the PRO groups. Taken together, Bacillus-based probiotics had beneficial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immune system,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weaned pigs, suggesting that Bacillus can be utilized as a functional probiotic for weaned pigs.

융합법을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적합한 효모균주의 구축 (Construction of Yeast Strain Suitable for Bioethanol Production by Using Fusion Method)

  • 김연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6-381
    • /
    • 2019
  • 본 연구는 에탄올내성, 내열성, ${\beta}-glucanase$ 활성 및 xylose 대사가 가능한 새로운 생물시스템을 육종하기 위해 원형질체융합(protoplast fusion)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S. cerevisiae BYK-F11 균주와 P. $stipitis{\Delta}ura$ 균주와의 genome shuffling을 시도하였다. P. $stipitis{\Delta}ura$ 균주는 URA3 유전자를 결실시켜 uracil 영양요구주로 구축되었다. Protoplast fusion을 통해 몇몇의 융합체가 선별되었고, 두 모균주인 BYK-F11 균주와 P. $stipitis{\Delta}ura$ 균주의 핵형(karyotype)를 모두 가지는 BYKPS-F8 균주가 22개의 융합체중에서 최종 선정되었다. 이어 ${\beta}-glucanase$ 활성, xylose 이용능, 에탄올내성, 내열성 및 에탄올생산성에 대한 다양한 표현형이 조사되었다. BYKPS-F8 균주는 모균주인 BYK-F11 균주가 가지는 ${\beta}-glucanase$ 활성을 가지게 되었고, P. $stipitis{\Delta}ura$ 균주가 가지는 xylose 이용능도 모균주보다 1.2배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YKPS-F8 균주는 $40^{\circ}C$에서 내열성을 보였으며, 8% 에탄올이 첨가된 배지에서 모균주에 비해 에탄올 내성이 증가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0 g/l의 xylose가 함유된 배지에서 72시간 배양에 의해 약 7.5 g/l의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260시간의 장기간의 배양에도 BYKPS-F8균주에 도입한 다형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균주 육종방법을 통해 다형질을 가진 다른 속간의 균주 융합 및 산업적으로 유용한 생물시스템의 육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신규 마름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a Bracken Blight Disease Caused by Didymella sp.)

  • 이정은;김기범;박주은;김다운;신유경;윤성환;정영륜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43-148
    • /
    • 2019
  • 최근 4년간 경남 남해군 창선면 일대 고사리 재배 포장에서 마름병 증상을 보이는 새로운 병해가 발생하였고 이 병해로 인하여 해당 지역 고사리 생산량이 해마다 크게 감소하고 있다. 2018년 5월, 7월, 10월에 이병 시료를 채취하여 그로부터 총 92개의 곰팡이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건전한 고사리 잎에 접종하여 총 22개 곰팡이 균주가 포장에서 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병징을 일으킴이 확인되었다. 이 중 병원성이 가장 높은 2균주를 선발하여 ribosomal RNA, RNA polymerase ${\beta}$-subunit, ${\beta}$-tubulin 유전자 부위, internal transcribed region을 증폭하였다. 해당 증폭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작성을 통해 병원균 균주는 Didymella속의 clade에 속하며, 기존 균주 중 D. rumicicola 또는 D. acetosellae와 비슷하나 기존 종 수준의 subclade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사리 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결과는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마름병 발생 첫 보고이다.

Discrimination and Authentication of Eclipta prostrata and E. alba Based on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 Kim, Inseo;Park, Jee Young;Lee, Yun Sun;Lee, Hyun Oh;Park, Hyun-Seung;Jayakodi, Murukarthick;Waminal, Nomar Espinosa;Kang, Jung Hwa;Lee, Taek Joo;Sung, Sang Hyun;Kim, Kyu Yeob;Yang, Tae-Jin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334-343
    • /
    • 2017
  • Eclipta prostrata and E. alba are annual herbal medicinal plants and have been used as Chinese medicinal tonics. Both speci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as well as in Korea. Both species have similar morphological features but E. alba has smoother leaf blade margins compared with E. prostrata. Although both species are utilized as oriental medicines, E. prostrata is more widely used than E. alba. Morphological semblances have confounded identification of either species. Here, we report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s of both species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system between the two species and understand their diversity. Both chloroplast genomes were 151,733-151,757 bp long and composed of a large single copy (83,285-83,300 bp), a small single copy (18,283-18,346 bp), and a pair of inverted repeats (25,075-25,063 bp). Gene annotation revealed 80 protein coding genes, 30 tRNA genes and four rRNA genes. A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genus Eclipta is grouped with Heliantheae tribe species in the Asteraceae family. A comparative analysis verified 29 InDels and 58 SNPs between chloroplast genomes of E. prostrata and E. alba. The low chloroplast genome sequence diversity indicates that both species are really close to each other and are not completely diverged yet. We developed six DNA markers that distinguish E. prostrata and E. alba based on the polymorphisms of chloroplast genomes between E. prostrata and E. alba. The chloroplast genome sequences and the molecular markers generat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further research of Eclipta species and accurate classification of medicinal her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