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stereotyp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학 전공 여학생과 문과계 전공 여학생의 성 고정관념 비교 (Comparison of Gender Stereotype between Female Nursing Students and Humanities Students)

  • 박정모;이숙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2-42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 in gender stereotype between female nursing students and humanities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omparative study was done. The subjects were 300 nursing students and 114 humanities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08 to October 2008 using a constructive questionnaire with 30 questions, which was prepared for this study by modifying the instrument about gender stereotype developed by Kim.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COVA, factor analysis and Chronbach's.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1) Of the six subcategories of gender stereotype, five were higher in the nursing students than in the humanities students, but occupational gender stereotype was not. 2) Age affected total, familiar, social, external, and intellectual gender stereotype. 3) Self-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affected social gender stereotype. 4)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gender stereotype with controlling age, self-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the nursing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intellectual stereotype than the humanities students. Conclusion: Because female nursing students tended to show high gender stereotype, nursing educators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helping nursing students escape from gender stereotypes and increase their self-satisfaction.

  • PDF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 안은성;추수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2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in male nurs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65 male nurses who worked in the Seoul, Gyeonggi and Daejeon area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31th, 2009 to October 15th, 2009.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demographics, gender-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2.0 vers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gender stereotype was 2.81 points out of a possible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stereotype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career in the current department (F=5.249, p=.007) and position (t=2.547, p=.012). The scores for gender stereotyp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less than five years in the current department and in the staff nurse group. The mean score for job satisfaction was 2.95 out of a possible 5.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s required to improve the gender stereotype.

성 고정관념 활성화가 남녀의 자아해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der-stereotype Activation in Men's and Women's Self-construal)

  • 방희정;조혜자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1호
    • /
    • pp.83-106
    • /
    • 2004
  • 본 연구는 성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남성과 여성의 자아해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남성들의 성 고정관념 점수가 여성들보다 높았고 이런 현상은 자아해석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여성들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낮지만 자아해석은 매우 고정형적으로 하고 있었다. 성 고정관념의 활성화효과는 남성들에게는 나타나지 않고 여성들에게만 나타나,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자아해석을 덜 고정형적으로 하는 탈동일시 경향을 보였다. 영역별로는 역할 영역에서 남성은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반면 여성들은 거부하는 양상이 나타났고, 외모 영역에서는 남녀 모두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능력영역에서는 남성들은 고정관념이 활성화될 때 더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하는데 비해 여성들은 탈동일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처방적인 성 고정관념을 자아에 반영하는 경향은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성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정도에 따라 고정관념 고-저 집단을 나누어 자아해석을 살펴 본 결과, 남녀 모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은 높은 사람들에 비해 자아해석이 덜 고정형적이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에는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이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더 많이 억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 고정관념이 그 수혜자인 남성과 피해자인 여성의 자아해석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쳐, 거부되기도 하지만, 자아에 반영되고 실천되어 성 고정관념을 유지시킬 수 있다고 해석되었다.

  • PDF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역할갈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 Stereotype,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nurses)

  • 이은정;박보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7-81
    • /
    • 2018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male hospital nurses from August, 2016 until September. The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for window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Finding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stereotype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military du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ole conflict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pos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hospital's location and hospital type. Gender stereotype and role conflic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r=-0.050, p=.516).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continuance commitment' (r=0.272, p<.00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male nurse's role conflict and 'continuance commitment' (r=0.178, p=.021). Practical implic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reduce role conflict of workplace environment and induce the affective commitment of male nurses within a female-centered nursing organization should be sought.

청소년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성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of Gender-Role Stereotype among Youth)

  • 김소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129-149
    • /
    • 2008
  • 본 연구는 청소년 성역할 고정관념의 성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가족특성과 청소년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05년 조사한 초등 2차 패널 자료와 중등 3차 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고정관념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유효하게 높았다. 둘째, 남성성 성역할 고정관념은 남학생 뿐 아니라 여학생에게도 여성성 성역할 고정관념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셋째, 남학생의 자존감은 성역할 고정관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학생의 자존감은 성역할 고정관념과 무관하였다. 넷째, 여학생 집단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족형태는 성역할 고정관념의 유의한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학생 집단의 경우 어머니의 교육수준만 남성성 성역할 고정관념의 유의한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은 가족의 영향을 남학생보다 더 많이 받고 있었으며, 효과에 있어서도 성역할 고정관념의 완화를 경험하고 있었으나 남학생은 그 반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역할 태도 형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성별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의 점화효과 (Implicit Representation of Gender Stereotype: Priming Effects of Attribute Typicality and Gender Congruency)

  • 이재호;방희정
    • 인지과학
    • /
    • 제14권2호
    • /
    • pp.37-46
    • /
    • 2003
  • 성별 고정관념은 대인 집단에 관한 표상이며 암묵적 수준에서 자동적으로 처리된다고 알려졌다. 이 연구는 고정관념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 변인의 효과가 암묵적 점화과제에 반영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성별 고정관념의 성별 속성을 전형성과 선호도 변인을 조작하여 점화 자극으로 제시한 다음 성별 이름에 대한 명명시간을 측정하였다. 전형성 변인의 효과만 관찰되었고, 그 효과는 여자에서 나타났다. 반면에 집단 일치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고정관념의 속성간 조건으로 전형성 변인의 점화효과를 체계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성별 범주의 주효과만 나타났고, 여성 속성이 남성 속성에 비해서 점화효과가 크게 관찰되었다. 전형성 변인의 주효과와 집단 일치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 실험의 결과, 성별 고정관념의 속성 전형성은 암묵적인 수준에서 미약하지만 표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성별의 집단 일치성 효과는 표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성별 속성이 미약하지만 전형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상되었을 가능성과 성별의 표상이 참가자 성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표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 (Gender-Identity of Animation Character)

  • 성례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50-157
    • /
    • 2007
  • 영상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많은 것을 접하게 하여 자연스러운 학습을 유도한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을 사회화시킴은 물론,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 재현은 중요하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의 재현 방식은 시각정보를 통한 재현방식과 내러티브를 통한 재현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내러티브를 통한 재현방식이 시각정보의 재현방식을 더욱 확고히 해줌을 알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의 양상을 살펴보면, 보수적이고 상업적인 이데올로기를 투영하는 젠더 고정관념과 일치하는 캐릭터와 젠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고자하는 캐릭터로 구분되어 진다. 그러나 젠더 고정관념을 탈피하고자하는 캐릭터의 재현 역시 젠더 역할의 과장이나 희화를 통한 비판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은, 여성이나 남성으로 구분되는 스테레오타입으로 재현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주체적으로 형성해 가는, 미래지향적인 젠더 정체성을 가진 캐릭터들로 재현되어야 한다. 미래지향적인 젠더 정체성을 재현하는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에게 올바른 자아 개념과 젠더 역할을 심어주며, 이미 획득된 전통적인 젠더 정체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성 고정관념 (The Study on the Gender Role Identity & Sex Stereotypes of College Students)

  • 남승희;김명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1-572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role identity and stereotyp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stereotype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245 college students in Daegu. Each participant was administered the KGRII of Lee, Kim, Koh(2002) and Sex Stereotype scales modified by Kim, Dongil(199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x^2-test$, Sheffe test with SPSS 11.0 PC Program. Result: 1. For male students, masculinity type(32.4%) was most prevalent but for female students, feminity type (29.3%) was most common. 2. Female students were inclined to oppose traditional sex-role rather than male students. And the over 23 years old group tended to resist traditional sex-roles rather than other aged group. 3. The Androginy typed group had more progressive sex-role compared with undifferentiated typed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der role identity and sex stereotype were difference in sex and age. And the androgyny typed group had more progressive sex-role compared with other gender role identity typed group.

  • PDF

남성 간호사의 성 역할정체감, 성 고정관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 박형숙;하재현;이미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62-2970
    • /
    • 2014
  • 본 연구는 남성간호사의 성 역할정체감, 성 고정관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남성간호사 86명이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8월부터 12월까지이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간호사의 성 역할정체감은 양성성(33.7%), 미분화(30.2%), 여성성(19.8%), 남성성(16.3%)순 이였고 직무만족은 양성성 유형의 직무만족이 높았다(${\chi}^2$=12.80 p=.005). 성 고정관념과 직무만족 및 이 직의도의 상관관계는 성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고(r=.22, p=.044)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았다(r=-.36, p<.001). 따라서 간호현장에서 직무만족이 낮은 성 역할정체감 유형의 남성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사주적 범부의 암묵적 표상 구조: 성별 고정관념의 비대칭적 점화효과 (Implicit Representations of Social Categories: Asymmetrical Priming Effects on Gender Stereotype)

  • 이재호;조긍호;오경기;김미라
    • 인지과학
    • /
    • 제12권1_2호
    • /
    • pp.43-54
    • /
    • 2001
  • 본 연구는 사회범주인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구조의 특성을 살펴보기위해서 실시되었다. 사회 범주는 일반대상이나 행위의 범주에 비해서 속성의 비중이크며, 그 표상 구조도 분명하지 않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세 개의 실험에서 성별 고정관념의 평가적 속성을 통제하여 암묵적 표상의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 실험은 점화-목표 자극쌍의 SOA 조건을 변화시켰다. 그 결과 짧은 SOA(250-500ms, 실험 1과 실험 3)에서의 여성-여성 단어쌍의 남성-남성 단어쌍이나 교차 자극쌍에 비해서 점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긴 SOA(1000ms, 실험 2)에서는 단어쌍 조건간의 점화효과의 차이가 사라졌다. 사회 범주로의 성별 고정관념은 암묵적 수준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범주 대비가 분명하지 않았으며, 여성 범주가 남성범주에 비해서 속성간 점화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는 두 범주가 비대칭적으로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