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ation rat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9초

산에 의한 우유단백질의 응고속도에 염과 온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s and Temperature upon the Rate and Extent of Aggregation of Casein during Acidification of Milk)

  • 김병용;김명환;킨셀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2-48
    • /
    • 1992
  • 0.1N HCl 이용하여 빠른 산성화를 시켰을 때에 우유의 응고속도와 그 정도는 온도와 pH에 따른 점도 변화와 혼탁도 변화로서 측정하였고, DGL을 이용하여 천천히 산성화 시켰을 때에 우유의 겔화 과정은 rheological scanner로서 측정하였다. 우유의 겔화 과정은 rheological scanner로서 측정하였다. 우유 casein의 응고는 pH 5.0에서의 돌연한 점도증가로서 나타났으며 산에 의한 응고형성의 기점 pH로 삼았다. 산에 의한 응고속도는 $20^{\circ}C$에서 $50^{\circ}C$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졌고 최대 응고속도는 pH5.0에서 일어났다. 염($CaCl_{2}$)의 첨가는 모든 온도범위에서 최대 응고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응고가 시작되는 pH 및 최대 응고속도가 일어나는 pH를 변화시켰다. 천천히 산성화 동안에 생성되는 겔의 초기 형성 시간과 조직 형성속도는 Cl 이온에 의해 촉진되고 SCN 이온에 의해 억제되었다. 겔에서 생겨나는 syneresis 현상은 저온으로 갈수록, pH가 4.6에 접근할수록 심했으며, $90^{\circ}C$에서 5분 동안 열처리한 우유에서는 가열온도($60{\sim}90^{\circ}C$)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 PDF

유전기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기지재의 경화 모니터링 (Cure monitoring of a composite matrix by dielectrometry)

  • 여권주;이상관;엄문광;황병선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0-113
    • /
    • 2001
  • Dielectrometry has been used to monitor the cure of epoxy resin using composite matrix. In this investigation, phys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 of epoxy resin(LY564), bisphenol A type, and cycloaliphatic hardener(HY 2954) were observed. Activation energy at maximum tan $\delta$ and gelation point was determined during isothermal scanning. From IonViscosity data, it was found that vitrification peak after gelation was appeared on slow heating rate. It was also measured that the duration time for full cure was necessary and it was about 24 hr at $145^{\circ}C$. Therefore, epoxy resin used in this research is required the extended time for full cure.

  • PDF

아크릴계 하이솔리드 도료의 Rotation Rheometer에 의한 경화거동 연구 (Curing Behavior by Rotation Rheometer of Acrylic High-Solid Coatings)

  • 양인모;정충호;김태옥;박홍수;박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0-48
    • /
    • 2001
  • Curing reaction was carried out with the acrylic resin (ACR) [n-butyl acrylate/atyrene/2-hydroxyethyl methacrylate/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 (AAEM)] synthesized before and a curing agent, hexamethoxymethylmelamine (HMMM). With rotational rheometer, the effect of catalysts on curing rate of acrylic resin/melamine was examined. Among the four catalysts used, p-toluene sulfonic acid showed the highest reactivity, and the optimum amount of catalyst was 0.5 phr. It was observed that in the ACR/HMMM curing reaction, gelation point was lowered with the increasing the amount of AAEM and HMMM in the ACR.

Sodium Alginate-$CaSO_4{\cdot}1/2H_2O$ 彈性體의 生成速度 및 彈性에 미치는 金屬酸化物의 影響 (The Effect of Metallic Oxides on the Formation Rates and Rigidities of the Elastic Sodium Alginate-$CaSO_4{\cdot}1/2H_2O$ Gel.)

  • 신홍대;허연;김은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22
    • /
    • 1965
  • Sodium alginate-$CaSO_4{\cdot}$1/2 $H_2O$의 gel에 미치는 alkali鹽의 遲延효果를 Miyake date와 比較하고, Schwedoff法을 改良한 連續的 測定方法을 써서, 金屬酸化物의 添加에 依한 彈性 gel의 生成速度 및 彈性의 變化를 硏究하였다. 즉 (1) sample의 張力變化를 連續的으로 測定하여, sodium alginate와 $CaSO_4{\cdot}$1/2 $H_2O$ aqueous sol의 gel化 過程을 觀察하였다. (2) 彈性 gel의 生成速度에 미치는 $Na_3PO_4$의 遲延효果는 $Na_2CO_3$보다 크다는 點에서는 Miyake 報告와 一致하였으나, Miyake date처럼 兩者間에 그리 큰 差가 없었다. (3) 金屬酸化物이 彈性 gel生成速度에 미치는 影響에 어떤 規則性은 없었지마는 $SiO_2$와 MgO는 比較的 큰 速度增大효果를 나타내고 ZnO는 比較的 적었다. 그러나 $Al_2O_3$, $Sb_2O_3$$TiO_2$는 速度低下효果를 나타냈다. 結果的으로 酸化物의 種類나 그 添加量에 따라 어떤 明確한 規則性을 觀察하지 못하였다. (4) 彈性率과 生成速度에 미치는 효果사이에 比例關係는 없없으나 金屬酸化物을 添加하면 一般的으로 彈性率이 增加하였다. 이들 酸化物 中에서 彈性率增大효果가 가장 큰 것은 MgO였다.

  • PDF

에폭시-산무수물 조성물의 경화거동 및 실리카 첨가에 따른 특성변화 연구 (A Study on Cure Behavior of an Epoxy/Anhydride System and Silica Filler Effects)

  • 이충희;김경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3호
    • /
    • pp.117-126
    • /
    • 2009
  • 에폭시/산무수물 경화제계에 실리카를 필러로 사용하여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거동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DSC와 stress rh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거동에서는 승온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등온에서 경화 온도가 높을수록 gelation 온도는 높아졌으나 경화도는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열 안정성은 실리카 간의 응집 및 수분으로 인해 미세한 질량 감소 차이 외에 실리카 함량에 따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카가 첨가된 경화물의 열팽창계수는 실리카를 30 wt% 첨가하였을 때 약 33%의 감소하여 $40ppm/^{\circ}C$ 임을 확인하였다. 동역학적인 물성은 필러를 첨가하지 않은 시편의 저장탄성률(2,377 MPa)에 비해 30 wt%의 실리카 함량이 첨가된 시편의 저장탄성률(3,909 MPa)은 약 60% 증가하였다. 실리카의 표면을 실란 커플링제로 처리한 시편의 경우 저장탄성률이 감소하였다.

  • PDF

에멀션-내부 젤화에 의한 알긴산 칼슘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lcium Alginate Microcapsules by Emulsification-Internal Gelation)

  • 박수진;강진영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369-374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레몬 오일을 함유한 알긴산 칼슘 마이크로캡슐을 에멀션-내부 젤화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방출실험을 통하여 아로마테라피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적외선분광분석(FT-IR)과 시차주사열량계(DSC)를 통해 레몬 오일의 봉입 여부를 확인하였고,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직경 및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다.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은 평균 $4\~7$um직경 및 $50\~85\%$의 캡슐화를 보였으며, $37^{circ}C$에서 적외선 수분계(IMDB)를 통한 방출실험 결과. 알긴산 및 $CaCl_2$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가교밀도가 증가하므로 레몬 오일의 방출률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물리적 압력을 통한 방출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캡슐벽의 붕괴와 방출속도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방출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eta}-Glucan$이 보리 전분의 동적점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ley ${\beta}-Glucan$ on Dynamic Viscoelasticity of Barley Starch)

  • 최희돈;석호문;김윤숙;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22-1027
    • /
    • 2003
  • 보리로부터 분리한 ${\beta}$-glucan이 메성 및 찰성 보리전분의 호화 및 겔화시의 동적점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화시 ${\beta}$-glucan의 첨가는 찰성전분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메성전분의 동적점탄성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쳐 호화개시온도가 높아졌으며, $80{\sim}9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저장탄성율과 손실탄성율이 크게 증가하여 저장탄성율의 경우 $90.7{\pm}0.7^{\circ}C$에서 peak를 나타내었다. 겔화과정 중 메성전분은 ${\beta}$-glucan의 첨가에 의해 겔 형성 속도가 상당히 빨라졌고 전분 및 amylose의 회합을 방해하여 network 구조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amylose와 ${\beta}$-glucan 사이에 특이한 상호작용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찰성전분의 경우에는 ${\beta}$-glucan 첨가에 의해 겔화 양상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락트알부민의 열처리에 의한 겔화 특성 (Gelation Properties of ${\alpha}-Lactalbumin$ by Heat Treatment)

  • 박인덕;홍윤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09-914
    • /
    • 1995
  • 알파-락트알부민(${\alpha}-La$)의 열처리에 의한 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alpha}-La$ 농도, 염의 종류와 농도, 티올시약(NEM, DTT)의 농도를 달리해 $90^{\circ}C$에서 40분간 가열하여 만든 ${\alpha}-La$의 겔형성 시간과 용해성을 측정하였다. 겔형성 시간은 ${\alpha}-La$, NaCl, $CaCl_2$, DT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NEM의 경우는 그와 반대로 나타났고 ${\alpha}-La$ 용액의 겔형성은 NEM $20{\sim}50\;mM$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부 40분 내에 이루어졌다. 용해성은 ${\alpha}-La$, NaCl, $CaCl_2$, DTT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NEM의 경우는 NEM의 농도증가에 따라 용해성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표준완충용액에 용해된 겔의 용해성은 각각 $10.4{\sim}51.3%$, $9.2{\sim}35.4%$, $11.1{\sim}35.0%$, $8.0{\sim}9.5%$, 그리고 $96.8{\sim}56.2%$였고, 8M urea와 0.5% SDS를 함유한 표준완충용액에서는 더 높은 값인 $41.8{\sim}81.3%$, $41.9{\sim}64.1%$, $43.5{\sim}69.8%$, $29.6{\sim}38.5%$, 그리고 $77.4{\sim}98.9%$로 각각 나타났다. DTT를 함유한 것은 모든 조건에서 거의 100%에 달하는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alpha}-La$의 겔형성 속도와 용해성은 여러인자 즉, 단백질 농도, 염의 종류와 농도, 티올시약의 농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겔형성 속도가 증가될수록 겔의 용해성은 감소함을 알수 있었다.

  • PDF

타닌접착제를 위한 시베리아산 낙엽송 수피 온수추출물의 한외여과 특성 (Ultra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Hot-Water Extracts from Siberian Larch Barks for Tannin-based Adhesives)

  • 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37-41
    • /
    • 1997
  • Hot-water soluble extracts were prepared from medium-sized barks of Siberian larch (Larix gmelineii). The extracts were fractionated by ultrafiltration method for producing uniform quality of adhesives.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extracts was ranged of 100 to 300.000. pH of the extracts affected amounts of flux, and the range of pH 6~pH 8 was proper for wood adhesives, because of easy concentration and fast gelation time. Removal of particles greater than $0.45{\mu}m$ from the extracts increased both filtration speed (flux) and yields of solids in the filtrates. In ultrafiltration process. operating pressure, filtrate temperature, and flow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individual condition. Ultrafiltration using PM10 membrane was very effective to fractionate and concentrate the extracts. Removal of large particles greater than 0.45 m from the extracts increased filtration speed(flux) and yields of solids in the filtrates. A gelation time was accelerated with the increasing pH of the extracts and its concentration. The Stiasny precipitate(26%) from the filtrate obtained by PM 10 membrane was very lower than that(78%) of the retentates. This ultrafiltration method was efficient for obtaining high yield purified phenolic compounds.

  • PDF

미세유체 장치에서 부분젤화법을 이용한 단분산성 펙틴 하이드로젤 미세섬유의 제조 (Manufacturing of Monodisperse Pectin Hydrogel Microfibers Using Partial Gelation in Microfluidic Devices)

  • 진시형;김채연;이병진;심규락;김동영;이창수
    • 청정기술
    • /
    • 제23권3호
    • /
    • pp.270-278
    • /
    • 2017
  • 본 연구는 미세유체 장치에서 매우 균일한 펙틴 하이드로젤 미세섬유를 부분젤화법을 통해 손쉽게 제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펙틴 수용액과 이와 섞이지 않는 칼슘이 분산된 오일용액 사이의 수력학적 변수들을 조절하여 펙틴 수용액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늘어진 유동을 형성하고 두 상의 계면에서 칼슘 이온의 킬레이트화 반응으로 펙틴 수용액을 부분젤화 시킨다. 부분젤화된 펙틴 수용액은 미세유체 장치 외부의 염화칼슘 수용액에서 오일 용액과 상분리 되고 완전히 젤화되어 미세섬유로 제조된다. 펙틴 하이드로젤 미세섬유의 굵기는 초기 주입되는 펙틴 수용액의 부피유속을 조절함으로써 재현성 있게 제어된다. 제조된 펙틴 하이드로젤 미세섬유의 직경은 200에서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이며 모든 두께 조건에서 5% 이하의 변동계수를 가짐으로써 매우 균일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펙틴 하이드로젤 미세섬유에 생체물질을 단일공정으로 고정화 함으로써 생체물질 담지체나 조직공학의 지지체로써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