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chive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향식물과의 공영식재에 따른 상추의 생육 및 해충방제 효과 (Effect of Companion Planting with Aromatic Plants on the Growth and Pest Control of Lettuce(Lactuca sativa) in Rooftop Urban Agriculture)

  • 김한길;이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9-65
    • /
    • 202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rooftop urban agricultu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il, growth, physiology, and productivity to elucidate the effect of companion planting with various plants, including lettuce (Lactuca sativa), rosemary (Salvia rosmarinus), marigold (Tagetes patula), Korean perilla (Perilla frutescens), and garlic chives (Allium senescens). Measurements were taken every other week from May to August 2023, totaling eight measuremen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planted with lettuce and aromatic plants, the combined planting of lettuce and garlic chives created a favorable soil environment for plant growth. Consequently, the best growth was observed when lettuce and garlic chives were companion planted. Companion planting of lettuce and garlic chives appears to be the most efficient concerning growth and physiology. The productivity of companion planting lettuce and aromatic plants also showed high-quality lettuce when lettuces and garlic chives were companion planted. Therefore, companion planting of lettuces and garlic chives in rooftop urban agriculture is suitable for growth, physiology, and productivity.

마늘과 부추 추출물에 의한 고추장의 알코올 생성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Alcohol Production in Gochujang by Garlic and Chives Extract)

  • 임세미;이종숙;김명희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8
    • /
    • 2023
  •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are known to produce alcohol in gochujang. To reduce alcohol production, garlic and chives were applied to gochujang solution to fi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S. cerevisiae and Z. rouxii. The 70% ethanol extract of garlic and chive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activity against S. cerevisiae and Z. rouxii, showing growth inhibition zone of 14.00±0.00~25.33±0.58 mm by disc diffusion method. In addition, the addition of 70% ethanol extract of garlic and chives in 10% gochujang solution spiked with S. cerevisiae and Z. rouxii reduced the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below 7 Log CFU/g) and yeast (below 4 Log CFU/g), alcohol content (below 0.30%),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garlic ethanol (70%) extract or chives ethanol (70%) extract to gochujang inhibited the growth of S. cerevisiae and Z. rouxii, resulting in reduced alcohol content in gochujang. For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od application experiments by using real gochujang paste.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이 몇가지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de Extracts from Allium spp. on Growth of Several Crop Seedling)

  • 최상태;안형근;장영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6-534
    • /
    • 1996
  • 파속 작물인 대파, 양파, 부추 및 마늘의 조추출물이 각종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은 국화와 상추의 유묘생육을 저농도부터 억제하기 시작하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상추는 하배축에 비해 근의 신장억제 효과가 컸다. 2. 벼의 유묘생육은 국화과 작물과는 달리 대파와 부추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대파, 마늘, 및 부추의 경엽추출물에서는 500에서 1,000ppm까지 근의 신장을 현저히 촉진시켰다 그러나 지상부의 생육은 저농도에서 촉진되었다. 3. 마늘과 양파의 경엽추출물은 2,000혹은 3,000ppm의 고농도까지 각각 배추의 근 및 하배축을, 모든 파속 식물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근의 신장을 각각 촉진시켰으나 하배축 신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무의 유묘생육은 양파, 마늘 및 부추추출물에서 저농도에서는 촉진효과가 현저히 나타났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부추의 근추출물은 고농도에서도 근의 신장이 촉진되었다. 대파 추출물은 뚜렷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5. 고추의 유묘생육은 양파와 마늘의 경엽추출물에서만 5,000ppm의 고농도까지 하배축의 신장촉진효과가 나타났을 뿐 타처리구에서는 뚜렷한 촉진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오이의 유묘생육은 모든 파속 식물의 추출물에서 주근, 측근 및 하배축의 신장이 현저히 촉진되었으며 특히 양파와 마늘추출물에서 측근의 신장촉진이 두드러졌다. 7. 참외의 유묘생육은 오이와는 달리 저농도에서 약간의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비료와 가뭄 스트레스에 의한 부추의 엽록소 변화 (Changes in the Chlorophyll of Garlic Chives (Allium tuberosum) Resulting fromFertilizer and Drought Stress)

  • 허만규;이병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43-748
    • /
    • 2022
  • 부추는 아시아를 포함한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초본이다. 한국에서 부추는 양념용 채소와 국수용 고명에 사용된다. 질소비료, 인산비료, 칼리비료와 수분 스트레스가 부추(Allium tuberosum Rotter) 잎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엽록소 a 함량은 10 mg/l 질소 비료에서 0.386였고, 50 mg/l에서는 0.584였다. 엽록소 a, b, 전체 엽록소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엽록소 a, b, 전체 엽록소에 대한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r)는 각각 0.940, 0.966, 0.971였다. 잎의 엽록소 a, b, 전체 엽록소는 인산비료인 경우 40 mg/l가 50 mg/l 시비보다 높았다. 인산 비료인 경우 10 mg/l에서 전체 엽록소량은 0.312였고 50 mg/l 일 때 0.589였다. 엽록소 효율과 습도와의 관계를 산출하였다. 광합성 효율의 척도로 기저 수준의 형광산율(Fo), 최대 형광산율(Fm), 전자소멸 상태(Fv), 최대 PSII 광계비율(Fv/Fm)의 기울기는 각각 -0.931, 0.972, 972, 0.950였다. 질소, 인산, 칼륨 비료와 가뭄스트레스는 부추의 엽록소함량과 효율성에 영향을 주었다.

남부지방 부추와 재배환경의 식품매개병원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Garlic Chives and Its Production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정지은;오광교;서승미;양수인;정규석;노은정;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77-488
    • /
    • 2020
  • 본 연구는 남부 3지역에서 시설재배 3농가 총 9농가를 선정하여 2019년과 2020년도 재배 중인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 퇴비,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부추, 토양, 퇴비, 농업용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대장균)과 B. cereus, S. aureus를 조사하였다. 2019년 채취해 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6.15-8.82 log CFU/g, 대장균군은 2.75-4.88 log CFU/g, 21.58-37.95 MPN/100 mL, B. cereus는 1.79-5.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6.41-8.44 log CFU/g, 대장균군은 1.57-2.82 log CFU/g, B. cereus는 2.48-6.00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6.42-7.74 log CFU/g, 대장균군은 2.39-5.73 log CFU/g, 14.45-2419.6 MPN/100 mL, B. cereus는 1.48-5.5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III농가 토양에서 대장균이 1.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2020년 채취해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2.83-8.20 log CFU/g, 대장균군은 0.28-4.03 log CFU/g, B. cereus는 0.41-5.30 log CFU/g, S. aureus는 0.40-4.85 log CFU/g이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0.84-7.25 log CFU/g, 대장균군은 3.13-3.56 log CFU/g, B. cereus는 1.69-2.82 log CFU/g, S. aureus는 2.44-3.78 log CFU/g이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2.04-8.83 log CFU/g, 대장균군은 0.43-4.04 log CFU/g, B. cereus는 0.70-4.93 log CFU/g, S. aureus는 1.81-6.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부추는 토양과 퇴비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 오염된 토양과 퇴비로의 오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B. cereus가 오염될 수 있다. β-hemolysis 활성을 지니는 B. cereus가 부추와 재배환경시료로부터 분리되었기에 B. cereus의 오염 예방이 중요하다. 반면에 병원성 E. coli,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은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와 S. aureus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과 퇴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멀칭 재배와 농업용수의 관리, 사용 후 퇴비 관리 등 재배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물과 재배환경의 모니터링 연구와 작업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에 의한 식물성 식품의 무기질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Some Minerals in Vegetable Foods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 심영자;김은실;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5-272
    • /
    • 1989
  • 구황식품중 9종류를 감출감도가 높고 시료의 비파괴 분석이 가능한 방사화 분석법으로 무기질을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추에는 K 7099.1mg%, Cu 104.84ppm, Mo 45.45ppm, Br 40.40ppm으로 다른 식품에 비해 많은 함량을 갖고 있었다. 2. 개비름은 Zn 71.06ppm, Co 2.52ppm, La 1.4ppm 등 조혈 필수원소등을 많이 함유하였다. 3. 쑥은 Na, K, Fe, Cu, Co, Zn, Br등 대부분의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라 볼 수 있다. 4. 본 재료들의 K와 Na의 함량비는 부추가 796 : 1로 가장 크며 쑥, 마늘이 147 : 1, 118 : 1이고 그 이외에는 12 : $1{\sim}53$ : 1이다. 5. 부추 개비름 쑥에는 Fe와 더불어 Cu, Co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6. 생강에는 Hg가 0.14ppm으로 다른 식품보다 $5{\sim}6$배 많았으며 Sc도 25ppb 함유하고 있다. 7. 식품속에서 극미량 존재하는 Au, Sm, Br, La, Sc등도 분석가능 하였다.

  • PDF

부추의 증숙처리가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 blanching pretreatment on quality of spray-dried powders prepared from pressed juice of garlic chives)

  • 정헌식;김한수;김동섭;이영근;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85-391
    • /
    • 2015
  • 부추를 활용한 가용성 분말 제조에 적합한 공정 개발의 일환으로, 부추원료의 증숙처리 유무와 착즙액의 분무건조 부형제 종류에 따른 분말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부추를 세척, 탈수, 절단 후 증숙처리($100^{\circ}C$, 3분)하거나 무처리한 다음 착즙하여 액을 얻고 여기에 부형제로 dextrin(DE=10)이나 ${\beta}$-cyclodextrin를 5% 첨가하고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다. 부추의 증숙처리는 착즙액 분무건조 분말의 $L^*$값은 높게 하였지만 $-a^*$값, $b^*$값, $C^*$값, $h^o$값은 낮게 하는 효과를 보였다. 분말의 수분함량과 수용성지수는 증숙처리와 부형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입자크기는 증숙처리와 dextrin 첨가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말의 클로로필, 총페놀, 비타민 C 함량은 증숙처리구보다 무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부형제 종류별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증숙처리에 의해 낮아지며 무처리구에서는 ${\beta}$-cyclodextrin 첨가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증숙처리구의 관능적 색, 냄새, 종합 기호도는 무증숙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부형제의 영향은 크게 보이지 않았다. 이로써 부추 착즙액의 분무건조 분말의 품질은 착즙 전 증숙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추 고유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유지에는 무처리가, 관능적 기호도를 고려할 경우에는 증숙처리가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과 경엽 처리가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de Extracts and Chopped Shoot Application of Allium spp. on Rice Growth)

  • 최상태;안형근;장영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25-633
    • /
    • 1996
  • 파속 식물체 내에 있는 활성물질을 추출 분리하여 생물검정하고, 이들 작물의 경엽을 직접 pot에 시용하여 벼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 및 수량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벼 유묘의 발근 및 생육을 촉진시키는 물질은 마늘의 염기성 분획과 대파, 양파, 부추 및 마늘의 약산성 분획에서 공통적으로 억제 물질보다 촉진물질의 활성이 높았으며 억제물질은 그 외 분획에서 활성이 높았다. 제 2엽초의 신장촉진 혹은 억제 물질은 공시한 파속 식물에는 내재하지 않았다. 2. 이앙 후 벼 유묘의 고사률은 이앙 당일에 비해 이앙 10일 전에 경엽을 시용한 처리가 높았고 특히 대파와 양파에 비해 부추와 마늘 시용구에서 높았다. 이앙 10일 전 동엽시용은 유효분얼수를 현저히 촉진시켰으며 특히 대파의 50g에서 400g까지, 양파의 50g에서 200g까지는 이삭입수의 증가도 나타나 표준시비구에 비해 수량 증가효과를 가져왔다.

  • PDF

온라인 유통중인 과메기·야채세트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lolabis saira and Vegetables Distributed through Online Markets)

  • 김지윤;전은비;최만석;박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94-698
    • /
    • 2020
  • The consumption of Gwamegi, a semi-dried saury Cololabis saira, and its vegetable sides has increased owing to its availability onlin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Gwamegi and its accompanying vegetable sides bought online by measuring total viable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fungi. The total viable bacteria ranged from 3-5 log CFU/g. The fungi in Gwamegi and garlic were 3.4 and 3.9 log CFU/g,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 of bacterial contamination was 100% (2-3 log CFU/g) in Gwamegi,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and green chili Capsicum annuum, whereas the contamination positive rate was 80% and 60% (< 2 log CFU/g) in chives Allium ascalonicum L. and garlic A. sativum L.,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E. coli were 0%, 20%, 60%, and 40% in Gwamegi, green chili, cabbage, and chives,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E. coli were 1-2 log CFU/g. S. aureus was detected at < 1 log CFU/g in all raw materials. The data on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may be used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Gwamegi and vegetable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securing microbiological safety.

천연물 성분을 이용한 환경 유해미생물의 biofilm 생성 저해능 비교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In vitro Anti-Biofilm Activities of Natural Plant Extracts Against Environment Harmful Bacteria)

  • 강은진;박지헌;진슬;김영록;도형기;양웅석;이재용;황철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5-233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ti-biofilm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of chives (Allium tuberosum), garlic (Allium sativum), and radish (Raphanus sativus L.) against environment harmful bacteria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negative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the paper disc assay, garlic extracts exhibited the highest anti-biofilm activit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all plant extracts was generally higher for gram-negative bacteria than it was for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were more resistant to plant extracts. The tetrazolium dye (XTT) assay revealed that, each plant extract exhibited a different anti-biofilm activity at the MIC value depending on the pathogen involved. Among the plant extracts tested, garlic extracts (fresh juice and powder) effectively reduced the metabolic activity of the cells of food-poisoning bacteria in biofilms. These anti-biofilm activities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Though the garlic extract reduced biofilm formation for all pathogens tested, to elucidate whether this reduction was due to antimicrobial effects or anti-biofilm effects, we counted the colony forming units of pathogens in the presence of the garlic extract and a control antimicrobial drug. The garlic extract inhibited the E. coli O157:H7 biofilm eff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antimicrobial drug ciprofloxacin; however, it did not inhibit S. aureus biofilm significantly compared to ciprofloxacin. In conclusion, garlic extracts could be used as natural food preservatives to prevent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and elongater the shelf life of processed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