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cinia cambogia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beta$-Cyclodextrin Reduces Obesity in C57BL/6J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Kim, Dae-Won;Hwang, In-Koo;Yoo, Ki-Yeon;Li, Hua;Pai, Tong-Kun;Kim, Young-Sup;Kwon, Dae-Young;Kim, Dong-Woo;Moon, Won-Kuk;Won, Moo-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00-704
    • /
    • 2008
  • Anti-obesity effects of $\beta$-cyclodextrin in obese C57BL/6J mice induced by a high fat diet (HD) were observed. The administration of $\beta$-cyclodextrin reduced the gain of body weight, abdominal fat, liver weight, the lipid deposits of hepatocytes and the size of adipocytes in the HD group. In serum analysis, the total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eta$-cyclodextrin-supplemented HD group than in the HD group. However,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as not changed in these groups. In hypothalamic homogenates, the decrease of neuropeptide Y and increase of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were detected in the $\beta$-cyclodextrin-supplemented HD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HD group. These effects of $\beta$-cyclodextrin were similar to those of Garcinia cambogia, which is widely used as a natural anti-obesity produ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cyclodextrin has anti-obesity effects through the lowering of the abdominal fat pad and inhibits the central effects of hunger.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체중조절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사용 실태와 관련 인식 연구 (Use of Weight-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s, Associated Weight-control Behavior and Per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eongju)

  • 김가영;배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6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duration of weight-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 use, associated weight-control behavior, perception, and knowledg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442 university students in Cheonju, Korea, and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oth χ2 and t-tests were conducted for categorical and mean comparisons. Results: An estimated 62.7% (female 69.0%, male 54.8%) had ever attempted weight-control. Among these, an estimated 59.2% of females and 38.9% of males had used weight-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s with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The weight-control foods commonly used included chicken breast, protein powder, low-fat milk and soymilk, and meal replacement drinks, while garcinia cambogia extract and green tea extract were frequently used as health functional foods. One of 10 (10.3%) consumers of weight-control foods reported ≥ 7 months use, with less frequent long-term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4.2%). The average degree of satisfaction was 3.24 ± 0.92 for weight-control foods and 2.72 ± 0.97 for health functional foods on a 5-point scale, meaning 'slightly satisfied' and 'slightly dissatisfied', respectively. Females or students with an experience of weight-control reported poorer perceptions of their health and body image as well as a higher need for weight control. Besides,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felt a high need for correct information regarding weight-control methods. Conclusions: Our result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use of weight-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will be useful in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y incorporating correct body image, knowledge, and practical yet desirable practices for weight control.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정향(丁香)의 항비만 효과 (The Anti-Obesity Activity of Syzygium aromaticum L.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안희연;노성수;신미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21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nti-obesity effect of Syzygium aromaticum L. (SA) in obese mice made by a 60% high-fat diet (HFD).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A were evaluated in vitro. To assess the anti-obesity effect of SA,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Control, GC100 (Garcinia cambogia 100 mg/kg/day), SA100 (SA 100 mg/kg/day), SA200 (SA 200 mg/kg/day). All groups underwent a 6-week regimen of HFD and oral administration, except for the Normal group. Subsequently, we performed blood analysis, western blotting, and histopathological staining. Results : SA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antioxidant measurements. SA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gain, along with reductions in liver and epididymal fat weights. Serum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nd leptin levels were reduced with SA treatment. Moreover, in the SA100 group, the reduction of both TG and TC synthesis was caused by inhibiting the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SREBP-1)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 2 (SREBP-2) through the Sirtuin 1 (Sirt1)/phospho-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MPK) pathway. Furthermore, SA treatment at a dose of 100 mg/kg reduced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in the liver and the adipocyte size of the epididymal fat. Conclusion : Our research reveals the anti-obesity effects of SA by demonstrating its ability to inhibit body weight gain and lipid accumulation, suggesting that SA might be promising for obesity treatment.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 Diet)

  • 박유화;김희연;임상현;김경희;박동식;이정훈;박충근;박충범;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11-141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대해 구명하고자 4주령 된 흰쥐 40마리를 고지방 사료 급여로 비만을 유도한 후 정상군, 고지방 식이대조군,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양성 대조군(가르시니아)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 시 9.68%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과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대조군은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으며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15.26%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1.46, 10.5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34.79%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9.02, 6.45% 감소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간과 복강 내 지방 조직의 무게는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부고환지방 조직의 무게는 유의차가 없었다.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경우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정상군 대비 21.39%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과 양성대조군에서는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2.83, 10.5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 결과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체중, 간, 복강내 지방조직의 감소와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향후 돌단풍은 비만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털부처꽃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ythrum salicaria L.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in Rat Fed High Fat Diet)

  • 김희연;임상현;권창주;박유화;이광재;박동식;김경희;김성문;박충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19-32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ythrum salicaria L. ethanol extract on anti-obesity effects in rat fed a high fat diet for 8 weeks to induce obese rat model.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control (high fat diet) group, positive control (Garcinia Cambogia extracts) group, high fat group supplemented with ethanol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EELS). The body weight gain and control (high fat diet) were increased by a high fat diet, but decreased in the EEL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body weight in high fat diet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diet group, while the body weights of EELS and posi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16.62%, as compared with that of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in EELS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weights of control (high fat diet) increase than that for normal group, whereas EELS and posi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Levels of triglyceride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ELS group than those in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ythrum salicaria L. extract may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fat accumulation and body weight.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서 홍국발효 참당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Monascus-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 김영완;김태훈;심소연;안희영;박규림;김정욱;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67
    • /
    • 2018
  •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 Monascus purpureus균주로 발효시킨 참당귀 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체중 및 내장지방의 감소, 혈중 및 조직 내 중성지질 및 과산화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FAG섭취로 인해 체중증가 및 내장지방 축적 비율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및 ALP 활성 변화는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FAG를 섭취함으로서 혈중 중성지질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leptin 호르몬 함량 또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고지방 식이 섭취로 인한 각 조직 과 혈청 내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C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FAG10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ematoxylin과 eosin 염색 및 Oil red O 염색을 통해 FAG를 섭취함에 따라 간장 내 지질침착도의 감소를 확인였으며, 부고환 주변 지방 조직의 hematoxylin과 eosin 염색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파잎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eaves Extract on Obese Mice Induced by High-Fat Diet)

  • 이소미;박문영;김옥경;이정민;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202-1207
    • /
    • 2016
  • 본 연구는 비파잎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8주 동안 고지방식이에 100 mg/kg b.w., 500 mg/kg b.w.의 비파잎 추출물을 보충한 그룹과 고지방식이군만을 제공한 그룹을 비교하였다. 비파잎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체중증가를 줄이고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였다. 또한, 비파잎 추출물을 급여한 군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중 지질, 간지질의 축적, 혈중 렙틴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고지방식 이와 함께 급여한 비파잎 추출물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장 지질 농도를 개선하고 혈장 렙틴농도를 감소시키므로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두 가지 이상 기능성원료를 복합하여 함유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 관리 방안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Several Functional Ingredients)

  • 김지연;권오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5-4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제품에 여러 기능성 원료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고 이들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헌조사를 토대로 복합건강기능식품의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식약청에 품목제조신고되어 있는 database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이 되는 제품은 총 7319개의 제품 중 "복합 건강기능식품"으로 파악된 제품의 개수는 183개 제품이었으며 이들 제품 중 기능성 원료를 2개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총 177제품, 3가지 이상의 기능성 원료를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모두 6개 제품이 있다. 183개 복합건강기능식품에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을 순위별로 나열하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가 가르시니아캄보지아로서 41개 제품에서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옥타코사놀"과 "쏘팔메토열매추출물"이 가장 많은 빈도로 제조되고 있었다. 복합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의 pair를 사용하여 안전성 정보를 검색한 결과 현재 복합 사용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에서의 안전성 우려사항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에 대한 안전선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이를관리하기 위해서는 부작용에 대한 조기 시그날을 감지하기 위한 부작용 모니터링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에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 시행규칙의 원활한 시행을 통해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J 마우스에서 상지추출물과 스틸벤 화합물의 항비만 효능 연구 (Anti-obesity effect of Ramulus mori extracts and stilbenes in high fat dietfed C57BL/6J mouse)

  • 박정은;이건희;김주희;최상원;김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570-582
    • /
    • 2020
  • 본 연구는 상지추출물과 stilbene 화합물인 MSA, ORT의 항비만 효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식이성 비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HFD에 실험물질을 첨가한 식이를 13주 동안 급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물질들의 항비만 효능은 ORT, ME, MSA, MW군 순이었으며, 특히 ME와 ORT의 급여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 혈당 증가,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간 개선에 있어 양성대조군인 GC군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향후 관련 기작 규명 및 안전성 확보, 그리고 최대 유효성 도출을 위한 추출 조건 확립 및 용량 검증 등의 연구가 수행된다면 체중조절용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전초 잎의 물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생쥐에서 지질대사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water extract on expression of lipid-related protein expression metabolism in high fat-induced obese C57BL/6 mice)

  • 김소영;정미진;김유진;이은탁;추성태;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3-70
    • /
    • 2018
  • Objective :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water extract of Plantago asiatica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PAF) significantly controlled in body weights, adipose tissue weight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C57BL/6 mice.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anti-obesity action of PAF, expressions of obesity-related proteins were identified such as p-AMPK and p-ACC in hypothalamus, UCP-1 in brown adipose tissue, p-AMPK, p-ACC, SREBP-1c, $PPAR{\gamma}$, HMGCR and CPT-1 in liver. Method : Five-weeks old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ND (normal diet + 0.9% saline), HFD (high-fat diet + 0.9% saline), PC (high-fat diet+Garcinia cambogia 500 mg/kg), PAF 100 and 300 (high-fat diet + PAF 100 or 300 mg/kg). PAF was treated orally for 6 weeks. The protein expression of AMPK, p-AMPK, ACC, p-ACC, $PPAR{\gamma}$, SREBP-1c, HMGCR, CPT-1 and UCP-1 were identified by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Result : The results showed that protein expressions on hypothalamic p-AMPK and p-ACC did not differ between the HFD and PAF groups. In addition, PAF did not affect the increase of UCP-1 in brown adipose tissue.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hepatic p-AMPK, p-ACC and CPT-1 increased in PAF groups compared to HFD group. And those of $PPAR{\gamma}$, SREBP-1c and HMG-CoA decreased in PAF groups compared to HFD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F administration induce weight loss via inhibition of lipid metabolism-related protein expressions in hepatic tissues. Therefore, PAF could be used as a potent material of anti-obesity product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