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acturonic acid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8초

김치 숙성중(熟咸中)의 비타민 C 함량(含量)의 소장(消長) 및 Galacturonic Acid의 첨가(添加) 효과(效果) (The Change of Vitamin C Content and Effect of Galacturonic Acid Addi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이태영;이정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39-144
    • /
    • 1981
  • 김치 숙성(熟咸) 중, 비타민 C 함량은 초기(初期)에는 일시적으로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숙성 적기(適期)엔 처음 량(量) 내지 그 이상으로 최고량(最高量)이 되었다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galacturonic acid의 첨가는 숙성과정 중의 비타민 C의 증가, 즉 생합성을 촉진시키며, 이러한 합성은 김치 재료 중(中)의 효소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김치 중의 비타민 C의 생합성(生合成) 및 보존에 유리한 숙성 pH는 $4.0{\sim}4.5$로 나타났고 galacturonic acid를 첨가한 김치의 혁기적(嫌氣的) 숙성(熟咸)은 비타민 C의 합성을 촉진하기 보다는 그의 산화적 파괴를 억제시킴으로써 호기적(好氣的) 숙성(熟咸)보다 비타민 C의 증가에 있어 유리(有利)함을 보여주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Immun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Glycyrrhiza uralensis Prepared as Herbal Kimchi

  • Hwang, Jong-Hyun;Lee, Kyong-Haeng;Yu, Kw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29-35
    • /
    • 2003
  • A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GU-3)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licorice root), a screened herbal pla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herbal kimchi, enhanced Peyer's patch mediated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nd NK cell-mediated tumor cytotoxicity against Yac-1 cells. GU-3 was further purified by DEAE-Sepharose CL-6B yielding fractions designated as GU-3I, and 3IIa∼3IIe. GU-3IIa is mainly composed of arabinose, galactose and galacturonic acid, and showed the highest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In addition, GU-3IIb had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and galacturonic acid as the component sugars with a small quantity of protein; GU-3IIb also enhanced activity of NK cell-mediated tumor cytotoxicity. After these fractions were further fractionated via gel filtration on Sepharose CL-6B or Sephacryl S-300, two immunological active polysaccharides, GU-3IIa-2 and 3IIb-1 were purified from the respective fractions. GU-3IIa-2 mostly contained neutral sugars (75%) such as arabinose and galactose (molar ratio; 1.0 : 0.7) in addition to a considerable amount of galacturonic acid (20%), whereas GU-3IIb-1 was composed of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and galacturonic acid (molar ratio; 0.3 : 0.5 : 0.1 : 1.0). Methy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GU-3IIa-2 was composed mainly of terminal, 4- or 5-linked and 3,4- or 3,5-branched arabinose, 3-linked, 4-linked and 3,6-branched galactose, and terminal and 4-linked galacturonic acid whereas GU-3IIb-1 contained various glycosidic linkages such as terminal and 4- or 5-linked arabinose, 2,4-branched rhamnose, terminal and 4-linked galactose, and terminal and 4-galacturonic arid. Single radial gel diffusion indicated that only GU-3IIa-2 strongly reacted with β-D-glucosyl-Yariv antig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ne marrow cell proliferating activity and enhancement of NK cell-mediated tumor cytotoxicity of GU-3 are caused by polysaccharides containing a pectic arabinogalactan (GU-3IIa-2) and pectic polysaccharide (GU-3IIb-1).

한지초조용(韓紙抄造用)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느릅나무근점액(根粘液)의 당류검색(糖類檢索)- (Studies on the Mucilage for the Manufacture of Korean Hand-made Paper -Part I. Detection of Sugars in the Mucilage of Ulmus Coreana, Nakai Root-)

  • 손주환;임제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66-172
    • /
    • 1982
  • 느릅나무근(根) 점액(粘液)의 액성(液性)은 처음에는 중성(中性)이나 산성(酸性)으로 변(變)한 다음 중성(中性)에 가까워지는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가 일어나며 점액(粘液)의 점도저하(粘度低下)는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보다 매우 완만(緩慢)하다. 또 이것은 유리(遊離) 환원당(還元糖)을 함유(含有)하고 함량(含量)은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變化)하여 처음에는 증가(增加)한 다음 급격(急激)하게 감소(減少)하며 당함량(糖含量)과 점도(粘度)와의 사이에서 분명(分明)한 비례관계(比例關係)를 찾아볼 수는 없다. 당류(糖類)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과는 달리 glucose 및 galacturonic acid등(等) 2종(種)의 당류(糖類)가 검출(檢出)되었다. 그러나 점질물(粘質物)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검출(檢出)된 당류(糖類)는 rhamnose, mannose, galactose, arabinose 그리고 galacturonic acid등(等)이며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질물(粘質物)에서 검출(檢出)되었던 xylose는 검출(檢出)되지 아니하고 mannose가 검출(檢出)되었다.

  • PDF

추출용매가 수용성 사과박 식이섬유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ants on the Characteristic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Apple Pomace)

  • 김효중;허재관;허철성;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1-165
    • /
    • 2001
  • 농도를 달리한 산과 알칼리용매 및 물로 사과박에서 식이섬유를 추출하여 $24.4{\sim}29.3% 범위의 총 식이섬유를 얻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산용매로 6.85%, 알칼리용매로 6.55%를 추출하여 모두 물추출 6.0%보다 높았으며, 산과 알칼리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수율이 좋았다. 수용성 식이섬유의 galacturonic acid 함량은 0.01M HCl(77.5%)>0.05M HCl(76.8%)>$H_2O(76.1%)$>0.05M NaOH(73.8%)>0.01M NaOH(69.0%)의 순서로 많았으며, 산용매로 추출시 펙틴의 수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추출액의 색도는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같은 농도에서는 알칼리추출이 산추출보다 높았고, 색도와 수용성 식이섬유 추출수율 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각 시료의 유동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단속도를 $1\;sec^{-1}$에서 $600\;sec^{-1}$까지 증가시킬 때의 전단응력은 galacturonic acid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산과 물추출에 의한 수용성 식이섬유의 물성은 Newtonian 유동특성을 나타낸 반면에 알칼리추출 시료는 pseudoplastic 유동특성에서 알칼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항복력을 동반한 Bingham pseudoplastic 유동특성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였다. 겉보기점도와 시간의존성의 관계에서는 알칼리 추출시료에서 hysteresis loop이 관찰되었고 thixotropy 성질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 PDF

효소에 의한 사과 세포벽 펙틴 추출 (A Study on Pectin Extraction from Apple Cell Wall by Enzyme)

  • 최동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3-418
    • /
    • 1996
  • 식물 세포벽으로부터 펙틴을 추출하는데 있어 펙틴의 중합도를 높인 고 기능의 펙틴을 추출하기 위해 펙틴의 효소추출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고온 산처리 펙틴 추출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불용성의 WAIP로부터 일련의 산 추출 공정과 hemicellulase를 이용한 일련의 효소 추출 공정을 거친 결과, 추출물의 수율은 효소 추출법이 더 높았다. 2. 효소 추출법에 있어 추출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며 수율을 검토한 결과, 최적의 추출 조건은 hemicellulase 1.5g을 24hr동안 38$^{\circ}C$에서 반응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3. 펙틴의 주요 성분인 galacturonic acid 함량으로 추출물의 펙틴 순도와 수율을 비교한 결과 산 추출물에 비해 효소 추출물은 수율은 높은 대신 순도가 낮았고 메톡실 함량은 비슷하였다. 4. 효소 추출법에서 추출한 펙틴물질은 중성당 분석, GC, HPLC 등을 통해 성분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고기능 펙틴을 추출할 수 있는 조건도 찾고, 그를 통해 정확한 식물 세포벽 모델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from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 Min, Jin-Gi;Kim, Tae-Jin;Lee, Doo-Seog;Ch, Sang-Won;Yoon, Ho-Dong;Park, Jeong-Heu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37-141
    • /
    • 2001
  • Water-soluble crude polysaccharide (TM-1) prepared from the leaves of 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was fractionated into three polysaccharide fractions, TM-2, TM-3 and TM-4 by the addition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The major polysaccharide fraction, TM-2, consisted of glucose, galactose, rhamnose, mannose, glucuronic acid and galacturonic acid, and all fractions contained galactose and glutose as the major neutral sugars. TM-4 showed the highest anti-complementary activity. When TM-4 was futher fractionated by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M4- II a and TM4-II b showed the most Potent anti-complementary activity. TM4- II a was composed mainly of galactose, arabinose and glucose in the molar ratios of 2.13 : 0.94 : 1.00 respectively, and contained a small amount of galacturonic acid and glucuronic acid.

  • PDF

고사리 열수 추출물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산성 다당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s Activating Complement System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 오병미;권미향;나경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1994
  • From the hot water extract of bracken(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 Korean win edible plant, anti-complementary acidic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HPA-1) was obtain ed by methanol reflux, ethanol precipitation, dialysis, and lyophilization. HPA-1 contained 81.80% of total sugar, 30.40% of uronic acid, and 15.60cA of protein. HPA 1 was purified consecutively by cetavlon fractionation and chromatography including ion exchange nth DEAE-Sepharose CL 6B and gel permeation with Sephadex G-100 and Sepharose CL-6B. HPA-2- IVa and HPA-Va-2 were nearly homogeneous on HPLC and had 500,000 and 560,000 daltons of molecular weights, respectively. HPA-2-Wa consisted of fucose, galacturonic acid, and gluc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40 : 0.97 : 1.88. HPA-2-Va 2 was composed of rhamnose, galactose, and galact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00 : 1.38 : 1.39. The polysaccharides were found to activate the C3 component both In the presence and In the absence of Ca2+ through the crossed-immunoelectrophoresis suggesting that those Involved in both classical and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 PDF

발효노니 다당체 분말의 deacetylasperulosidic acid, 총당 및 단당류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Deacetylasperulosidic acid, Total Sugar and Monosaccharide Analysis in Fermented Morinda citrifolia Polysaccharide Powder)

  • 권희연;최지수;김수진;김은민;엄지현;김보경;이재연;김용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16-224
    • /
    • 2022
  • 본 연구는 발효노니 다당체 추출물(Vitalbos)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DAA, 총당 함량, 단당류 3종(galacturonic acid, glucose 및 galactose)을 지표성분으로 설정하고, 지표성분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법 설정 및 검증을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에 보고된 분석법 검증 방법을 수정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를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페놀-황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DAA 및 단당류 3종의 표준용액과 Vitalbos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였으며 스펙트럼 또한 동일하여 분석법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지표성분의 검량선 상관계수(R2)는 0.9995-0.9998 범위로 0.99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나타냈다. Intra-day 및 inter-day 정밀도는 0.14-3.01%의 범위로 5% 미만의 우수한 정밀도를 나타냈고 회수율은 95.13-105.59% 범위에서 우수한 정확도를 보였다. DAA 분석의 LOD와 LOQ는 각각 0.39 ㎍/mL 및 1.18 ㎍/mL이었으며 총당 함량의 LOD 및 LOQ는 각각 0.84 ㎍/mL 및 2.55 ㎍/mL로 측정되었다. 단당류 3종에 대한 LOD는 0.48-0.81 ㎍/mL의 범위였으며, LOQ는 1.45-2.44 ㎍/mL 범위에서 정량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법 검증 결과,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및 정확성 모두 우수한 분석법임을 검증하였으며, LOD와 LOQ 또한 Vitalbos 분석에 적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Vitalbos의 지표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DAA, 총당 함량, galacturonic acid, glucose 및 galactose의 함량은 각각 2.31±0.06 mg/dry weight g, 475.92±5.95 mg/dry weight g, 72.83±1.05 mg/dry weight g, 71.63±2.44 mg/dry weight g 및 67.30±2.31 mg/dry weight g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분석법을 사용했을 때 Vitalbos의 지표성분 3종에 대하여 우수한 재현성으로 정량분석이 가능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품질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단계 발효법으로 생산된 과일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비교

  • 서지형;김영지;이경수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8권3호
    • /
    • pp.40-44
    • /
    • 2003
  • 2단계 발효를 거쳐 생산된 4종의 과일 식초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산도는 포도 식초에서 높았고, 유리당 함량은 매실 식초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과일 식초의 종류에 따라 유기산 조성 비율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원료 과일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실 식초의 경우 citric acid, 사과 식초는 malic acid, 감 식초는 galacturonic acid, 포도식초는 tartaric acid의 비율이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사과 식초에서 현저히 높았고, 감 식초, 포도 식초, 매실 식초는 유사한 수준이었다.

  • PDF

다당 생성 Enterobacter sp.의 분리 및 생성 다당의 특성 (Isolation of the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n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 김대진;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70-375
    • /
    • 2001
  • 생물고분자 생산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분리균주는 Gram 음성의 간균으로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nitrate 환원과 catalase 반응에서 양성이고, oxidase 반응에서 음성인 통성 혐기성의 한 균주로 분류학상의 위치를 검토한 결과, Enterobacter sp.로 판단하였다 이 균주가 생성하는 생물고분자는 정색반응, CPC 침전, IR 분석 등에 의해 우론산을 함유한 산성의 다당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TLC 및 GC에 의해 조사한 결과, mannose, galactose 및 galacturonic acid로 구성된 hetero 다당이었으며, 분자량은 약 3.7$\times$$10^{5}$이었다. 이다당의 수용액(0.5-2.0%, w/v)은 비뉴우톤 유체로 항복응력을 갖는 의가소성 유체로서 거동하였으며, 1.5% 농도 이상의 낮은 농도에서 겔 형성능을 나타내었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