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al flora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고등균류의 분류학적 연구 ( I ) (Taxonomic Investigations on Korean Higher Fungi ( I ))

  • 임정한;김병각
    • 생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0
    • /
    • 1972
  • To investigate the fungal flora in Korea, the basidiomycetes and other higher fungi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ive species Coriolus pinsitus, Hirshioporus fusco-violaceus, Hymenurhaete intricata, Merulius tremellosus, Steccherinum ochraceum, were newly added to the list of previously recorded Korean higher fungi, the total amounting to 386 species.

  • PDF

한국(韓國) 죽림산(竹林産) 고등(高等) 균류(菌類)(II) (Fungal Flora in Bamboo Forests of Korea(II))

  • 조덕현;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32
    • /
    • 1980
  • More than 100 of higher fungi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t the bamboo forest of Damyang, Chonlanam-Do, during July to October, 1979. They include two classes, four oders, 13 families, 21 genera and 25 species. Among them, Leucocoprinus otsuensis Hongo, Lepiota atros­quamulosa Hongo and Rhodophyllus mycenoides Hongo were found to be new in Korea.

  • PDF

한국산 고등 균류의 분석학적 연구(V) (Taxonomic Investigations on Korean Higher Fungi(V))

  • 김병각
    • 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1-114
    • /
    • 1978
  • To investigate the fungal flora in Korea, the basidio-mycetes and other higher fungi were collected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and examined for identification. Nine species and two varieties were identified and two of them, Agaricus xanthodermus Gen. and Lactarius nigroviolascens var. marginatus Smith & Hesler, were found to be unrecorded fungi. The total number of the higher fungi in Korea now exceeds 600 species including those reported during the past five years.

  • PDF

조계산일대의 고등 담자균류 (Fleshy Basidiomycetes in Mt. Jogye)

  • 홍순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1호
    • /
    • pp.29-44
    • /
    • 1977
  • During a week from 6th August in 1976 to survey the fungal flora on higher fleshy fungi around Mt. Jogye 193 specimens were collected and then examined tentatively. As a result fo identification except several troublesome ones it was known that they lie within 66 genera, 110 species, 3 varieties, and 2 forms. Out of them five genera, Eutypa, Sarcosoma in Ascomycetes, and Corticium, Heimiella, Clitopilus in Basidiomycetes were confirmed as unrecorded genera to Korea. And therefrom 26 species and 1 form corresponding almost to the fourth of sum were identified as unrecorded species to Korea, among which Basidiomycetes are provided with descriptions and figures in this survey report.

  • PDF

한국산 주름버섯목의 미기록속과 종(2)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in Korean Agaricales (II))

  • 석순자;정윤아;;박인철;권순우;김양섭;유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5-163
    • /
    • 2011
  • 저자들은 한국산 균류의 종다양성 조사를 실시하여 왔으며, 그 중 주름버섯목 의 무명버섯속, 만가닥버섯속, 그늘버섯속, 외대버섯속과 젖버섯속에 속하는 5종 (장미무명버섯, 애만가닥버섯, 흰그늘버섯, 꼬마외대버섯과 치마젖버섯)이 한국미 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미기록종에 대한 미세구조와 특징을 기술하고 한국명을 신칭하여 보고한다. 사용된 모든 표본은 국립농업과학원 식물균류표본보존센타 (HCCN)에 보존되어 있다.

흥정산 지역의 고등균류 (I) (Notes on the Higher Fungal Flora in Mt. Hungjung in Kangwon Province)

  • 김양섭;석순자;이경준;현정오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6-221
    • /
    • 1994
  •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흥정산 운두령 일대의 버섯류의 분포상 조사를 1993, 7-9월(月)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동정된 버섯류 중 한국 미기록 속 Melastiza Boudier(종지버섯속:신칭), Neobulgaria(젤리버섯속:신칭) 2속과 한국미기록종 Melastiza chateri (Smith) Boud. (빨간종지버섯:신칭), Psilocybe xeroderma Huijsm(소똥환각버섯:신칭), Gyromitra infula(Schact.:Fr.) Quel.(안장마귀곰보버섯:신칭)과 Galerina vittaeformis (Fr.) Sing. var. vittaformis f. vittaeformis(이끼에밀종버섯:신칭), Neobulgaria pura (Fr.) Sing.(덩이젤리버섯:신칭) 등 5종이 본 조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한국명을 신칭하였다.

  • PDF

계룡산(鷄龍山) 지역(地域)의 균류상(菌類相)에 관한 연구(硏究)(I) (The Fungal Flora of Mt. Gyeryong National Park(I))

  • 박종성;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9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국립공원(國立公園)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의 자연보존(自然保存) 및 자연학습원조성(自然學習園造成)의 기초확립(基礎確立)을 위(爲)한 사업(事業)의 일환(一環)으로서 동지역(同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균류(野生菌類)의 분포상(分布狀)을 구명(究明)하고자 실시(實施)하였다. 1981年 7月부터 10月의 고온다습기(高溫多濕期)에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고등균류(野生高等菌類)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담자균(擔子菌) 19과(科) 53속(屬) 93종(種)과 자양균 5과(科) 7속(屬) 8종(種)이 확인(確認)되었다. 그중(中) 우점종(優點種)은 Laccaria, Marasmius, Amanita, Suillus, Boletus, Russula, Lactarius, Lycoperdon등(等)에 큰 군낙(群落)도 발견(發見)되었다. 본보고(本報告)에는 국내기록종(國內記錄種)만을 수록(收錄)하였다.

  • PDF

서울 지방의 공중(空中) 진균(眞菌)에 관한 연구(硏究) (Air-borne Fungi in the Air of Seoul)

  • 민경희;이영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5-121
    • /
    • 1985
  • 우리나라 서울 지역의 상업지역, 교통지역, 주택지역, 공장지역, 목욕탕, 백화점, 병원지역 등을 대상으로 open plate method를 사용하여 공중균을 분리한 결과 총 2,227개의 spore를 분리하였다. 그중 Cladosporium이 1,008 spores, Penicillium이 351 spores, Alternaria가 234s, Aspergillus가 84s이며 그리고 미동정된 spore수는 524이었다. 옥내와 옥외의 균의 분포를 비교 고찰한 결과 옥내보다 옥외에서 균의 종류가 더 다양하였다 옥내와 옥외에서 발견된 균중 빈도가 많은 네균류의 분포를 보면, Cladosporium, Penicillium, Alternaria, Aspergillus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 중 Cladosporium, Penicillium, Aspergillus는 옥내에서, Alternaria고는 옥외에서 더 많이 분리 되였다. 옥외지역의 경우 상업지역, 교통지역, 주택지역 순으로 균이 많이 분포 되었고, 옥내에서는 공장지역, 백화점, 목욕탕, 병원지역의 순서로 많이 나타난다. 계절별로 보면 총 코로니수가 여름, 가을에 걸쳐 많았고, 봄과 겨울이 적은 편이었다. Cladosporium, Penicillium, Aspergillus 경우에는 가을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Alternaria는 여름에 많이 분리되었다. 그리고 Cladosporium은 계절별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나 Penicillium, Alternaria는 계절별 차이가 적고 Aspergillus는 계절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상업지역, 교통지역, 주택지역 등의 옥외 지역을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이들 세 지역 모두 여름과 가을에 걸쳐 많은 균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공장지역, 백화점, 병원지역 등의 옥내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여름과 가을에 가장 많은 균이 분리되었으나 계절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목욕탕만은 계절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지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