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eral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7초

노년여성의 화장행동, 심리적 특성과 영정사진 화장이미지 선호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up Behavior, Psychological Traits and Preference for the Makeup Images of Funeral portrait in Elderly Women)

  • 최정순;김경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lderly women's makeup behavior, psychological trait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their preference for makeup images in daily life(hereinafter called general makeup image) and for the makeup images of their own future funeral portraits.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a research study was implemen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Seven factors were selected for makeup behavior: fashionability, conformity, subjectivity, instrumentality, interpersonal orientation and conspicuousness. The selected psychological traits were personality, death attitude and depression. Preference for general makeup image and for the makeup image of funeral portrait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four: agreeableness, refinement, individuality and dign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51 female elderly residents in and around Seoul who were in their 60s to 80s. Concerning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coefficient,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elderly women's makeup behavior, personality, death attitude, depress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preference for the makeup image of funeral portrait, their preference for an agreeable makeup image was analyzed. Thus, makeup behavior, personality, death attitude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t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ference for the makeup images of funeral portrai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make makeup for funeral portrait entrenched as a part of the beauty industry a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 PDF

조선시대 상례행렬복식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nings of Funeral ceremony costumes in Chosun Dynasty)

  • 최해율;이순원
    • 복식
    • /
    • 제50권
    • /
    • pp.119-128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cuss the pattern of Confucian funeral ceremony and its costumes in Chosun dynasty thereby exploring the ideas and symbolic meanings expressed on them. 1. Male's official mourning dresses were composed of Choieui symbolizing sadness Choisang(최상), Dukun Sangkwan Sujil Yojil Kyodai and mourning stick Female's official mourning dresses consisted of Daersoojangkon and Kaedoo which were of simple kinds as compared to those of males. Duration of wearing mourning dreses was the longest to the death of father husband and eldest son The forms of mouring dresses were one and the same irrespective of the noble and the mean which expressed the sameness of the sorrow full of losting blood relative. Symbol expressed on funeral ceremony costumes were something like "eldestson-oriented" "male-centered" "distinction of the sexes" and "principle of yin and yang" to reinforce vitality to the costumes. 2. In the other funeral ceremony costumes in a royal fami8ly were those Euijangsu in red and blue colors Yeosakon in purple and white colors. Bandsman in Danryung and Guards in Kukonbok Changeui and Hoeui with five colors while the generally of people woere white dress in the ceremony Hoeui with five colors symbolized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costumes of military uniforms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white dresses grife symbolizing the dignity of a royal family and Confucian sorrow as well 3. Unlike the mouring dresses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relative to socio-ecpmpomic status in funeral goods for dercoration Soyeo and daeyeo Among the goods the instrument to drive out evil spirites symbolized shamanism the distinction of Soyeo and Daeyeo separation of body and soul; the sculpture of the Lord of Hades and messenger philosophy of buddhistic netherworld: the engraving of blue and yellow dragons in bier and Juksanma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 elaborate burial accesaries realistic viewpoint of the hereafter.

  • PDF

장례메이크업의 적용 방법 (Application of Funeral Make-up)

  • 김미혜;서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23-235
    • /
    • 2010
  • 장례서비스는 인생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다루는 의례절차에 관한 것으로, 복지서비스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으며, 고인의 마지막 형태를 복원하는 고전적인 회복기술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생시 모습의 재현 내지는 더 나은 외모로 표현하는 메이크업의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좋은 모습으로 기억코자 하는 유족들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시대별로 변화되고 있는 방법들을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장례메이크업은 유족의 요구에 부응하여 죽은 이의 마지막 모습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우리의 장례문화의 가장 주요한 한 과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장례식장 내에서 고인을 모시는 입관 단계에서부터 꽃 장식, 관보 등의 인테리어, 음향효과, 조명시설, 특수 재료와 함께 연구되어야 할 장례 메이크업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용성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자연장의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 분석 (Visual Image Analysis on the Types of Natural Funeral)

  • 김철재;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8
    • /
    • 2014
  • 본 연구는 자연장의 유형 분류를 통해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선호 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민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에 장례전문가 224명이 포함돼 있다. 서울, 대전, 전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이 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자연장지의 시설을 장지시설과 추모시설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시설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중 장지시설을 수목형, 정원형, 화초형, 잔디형, 산골형으로 분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장지시설에서는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장 선호하는 장지시설 유형은 수목형으로 나왔고, 그 다음으로 화초형, 정원형, 잔디형, 산골형의 순서로 나왔다. 셋째, 각 유형별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이미지 요인의 평균값을 기본으로 지각도로 그려 제시하였다. 넷째, 자연장의 일반적 특성별 이미지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한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전체적으로 물리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유형별, 외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종교별, 집단별, 유형별, 균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학력별,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각 요인에서 평가가 높게 나왔고, 연령별로 보면 물리적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평가가 높아지는 경향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각 시설에서 도출된 이미지 요인이 해당시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지시설에서는 5가지 유형 모두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시설 선호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조경시설의 이미지 요인이 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 사이에 그 차이가 있는지 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정원형에서 외형적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기타 이미지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연장지의 장지시설의 형태별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아직 태동기에 있는 자연장이 아직은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자연장지 표준 경관 이미지 분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전통적 장사 이념을 지켜 나가며 새로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장사문화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서 국민들이 자연장을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조선시대 국장도감 소속 공장의 활동 연구 (A Study of Technician's Activity belonging to Gukjangdogam in Joseon)

  • 박종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325-355
    • /
    • 2007
  • 국장은 한 국가를 상징하였던 왕의 장례식이다. 국장에 필요한 상구류를 마련하여서 원활하게 치루어야 하기 때문에, 각 방에서 제작한 각종 상구들은 그 자체로 상당히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임금의 옥체를 실은 제궁을 직접 운구하는 대여와 견여는 국장에서 소중히 다루어야 할 핵심적인 상구이다. 대행왕을 살아있는 것 이상으로, 모든 사람들은 국장에서 그를 엄숙하게 모셔야 했다. 그러나 국장도감에 소속된 각 방에서 제작한 상구들은 대행왕과 직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거나 왕의 권위를 상징하고, 왕권계승과 같은 왕통과 관련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발인은 왕의 마지막 권위를 드러내는 장이며, 시간이다. 따라서 국장도감은 대행왕의 발인을 살아서 행차하는 것같이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왕의 현세와 내세를 동일한 선상에서 서 있다는 인식하에서 발인을 준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살아서 왕의 행차 시에 활용하였던 다양한 각종 기물들을 흉례인 국장 발인 시에도 유사하게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이를 입증할 뿐만 아니라 생사관도 엿볼 수 있는 장면이기도 하다. 국가는 공권력으로 다양한 공장 분야와 많은 공장들을 동원하여서 정해진 기간 내에 다양한 상구들을 마련하여서 국장을 치루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을 포함해서 전국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공장들과 신분이 비천할지라도 일정 수준의 기술을 지니고 있는 공장들을 국정도감으로 불러들였다. 기술과 노동력 제공에 상응하는 급료와 보상하고 받음으로써, 국가와 공장은 지속적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계속 유지하였다. 각방에 소속된 공장들은 기존 상구를 활용하였고, 새로운 제작과 보수를 통해서 국장용 상구를 정성을 다해서 마련하였다. 조선시대 국장은 공장들의 '기술 잔치'일 뿐만 아니라 '기술의 총합체'라고 말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화훼디자인에 관한 연구 -장례 화훼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lower Design Based on Storytelling : Focus on the Funeral Flower Design)

  • 이승범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3-21
    • /
    • 2020
  • 본 본 논문에서는 장례를 죽음에 관한 문화로 정의하고 가장 중요한 사상적 바탕으로 생물학적 죽음을 이 세상의 끝으로 인식하지 않고 또 다른 삶의 시작을 위한 새로운 세계로의 출발점으로 규정하였다. 국가, 문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장례문화에 대하여 조사하고, 장례 화훼디자인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례 화훼디자인은 제한적인 소재의 사용과 유사한 디자인이 장례 화훼디자인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상호간의 감정과 의견의 교환을 통한 소통적 차원의 개념인 스토리텔링이야 말로 감성적인 소비 시대에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중의 하나인 히스토리 스토리텔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 인물을 선정하여 삶을 분석하고 그의 삶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장례화훼디자인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을 시도하였다.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화훼디자인은 화훼디자인 소재의 상징과 의미, 화훼디자인 색채와 형태는 흰 국화소재 위주의 기하학적 디자인의 근엄한 분위기의 전통적인 장례화훼디자인에서 벗어나 고인을 상징하는 복숭아 색을 주조로 한 파스텔 계열의 색상과 다양한 형태로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이별의 장례화훼디자인을 표현하였다.

"정조국장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한 염습의대 고찰 (Study on Burial Dressing of King based on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 고영
    • 복식
    • /
    • 제61권5호
    • /
    • pp.147-163
    • /
    • 2011
  • King Jeong-jo (正祖) was the 22nd king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 who led the golden age of Korean culture during his ruling. This study is on the burial dressing of King Jeong-jo based on the publications during his ruling; such as "Gukjo Sangrye Bopyeon (國朝喪禮補編)", "Chungwan Tonggo (春官通考)",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國葬都監儀軌)", "Jeongjo Binjeon Honjeon Dogam Euigwe (正祖殯殿魂殿都監儀軌)" and "Jeong-jo Sillok (正祖實錄)", "Gukjo Sangrye Bopyeon (國朝喪禮補編)" was published in 1758. It compiled the funeral protocols of royal court, com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protocol documents published till then. "Chungwan Tonggo" was published in 1788, compiling all the protocols and customs practiced during Joseon dynasty in an organized manner.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and "Jeongjo Binjeon Honjeon Dogam Euigwe", record the burial dressing and the state funeral of King Jeong-jo in detail based on the contents of above protocol publications. In addition, the 'Daeryeom Euidae ', 'Soryeom Euidae', 'Seup Euidae' and 'Mokyok Euidae' that had been actually practiced were studied in detail based on the records in June/July, 1800 in Book 54 'Jeong-jo'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timing of King Jeong-jo's state funeral was when the most elaborated and complete protocol books of Joseon dynasty had been published.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olemn and magnificent funeral culture and King's burial dressing in late Joseon dynasty by way of King Jeong-jo's burial dressing.

전문장례식장 조문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ondolent Space in funeral Ceremony Hall)

  • 오영모;박재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9호
    • /
    • pp.124-13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urnishing applicable data, in deviation from the conventional study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uneral ceremony hall actually built as a various form. For that, this study performed analysis of condolent space, through dividing space into three phase which is planning unit, organizing unit and making layout as a general method of architectural planning ste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stablishing spaces for bereaved family's rest in funeral space is also applicable, through the renovation, in case of A type u nit that is more than 25$m^2$. If wish to organize funeral space unit by monolithic space type at planning, than should be controle d size of unit so as not to excessive and if wish to organize by connection style and 1:1 separation style, than area of room where coffin is placed should be considered not overly lacking than condoler's waiting space. On arranging of middle corridor type should be controled scale of funeral space so that is not lacking than room where coffin is placed. In case of hall type, there are necessity to make area of condoler's waiting space do not excess than area of room where coffin is placed.

다산의 염습의 제도에 관한 연구 -상구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san s System of Washing and Shrouding a Dead Body - Focused on SANGUJUNG -)

  • 손남숙;임영자
    • 복식
    • /
    • 제51권3호
    • /
    • pp.75-85
    • /
    • 2001
  • The system of washing and shrouding a dead body is a series of procedures for encoffining in funeral rites, which are taken after death indentification by using CHOKWANG and praying for the resurrection of a dead body by calling a soul departed from the body. The washing and shrouding a dead body (hereinafter reffered to as "YEOMSEUP") is the broad concept which contains the procedures of washing, clothing and shrouding the body. The clothing includes washing, putting rices into the mouth. and then dressing while the shrouding includes first wrapping, second-wrapping and encoffining. The clothes for YEOMSEUP (all clothes and articles for funeral rites are designated) will be put in the coffin along with a dead body according to the YEOMSEUP procedures. Dasan,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Yi Dynasty, pointed out some problems of the funeral rites observed in those days. At the same time, he found that the problems had arisen from the mis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descriptions in Chinese characters. and had tried to correct them. The books written by Dasan basically emphasized his ideology reshaping the whole procedures by trimming and removing meaningless formalities which are too much luxurious and wasteful and making them as a part of the original principles of the funeral rites. His Intents are clearly shown in his wrings on practical ettiquttes, such as SANGRYESAJON and SANGUIJEOLYO. In its attempt, this study aims at reformulating the DASAN\\`s SANGRYESAJON in terms of YEOMSEUP methods. A lot of virtues of the Dasan, like WOOSU, SIMUI, DAEDAE, MO, SORYUMHYO and DAERYUMHYO could also be found accordingly. The merits and characteristic in funeral rites are an obedience in filial duty, the pursuit of frugality. and the efficiency of practical functions. It could be said that the resurvey of DASAN′s theory on YEOMSEUP procedures is a meaningful work today when the original meaning of funeral rites fades out. Furthermore, discussions of refined burial service and encouraging cremation designed to improve land use, which are widely spread among people, could weaken the basic philosophy of YEOMSEUP and more likely propagate the atmosphere of despising the dignity of human be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