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ying time and temperatur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4초

조리과정 중 중심부 온도의 변화 - 만두를 중심으로 (Changes of Internal Temperature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Dumpling (Mandu))

  • 김종규;김중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85-492
    • /
    • 2013
  • The temperature changes of dumpling(mandu) during cooking process were examined and the effects of time-temperature and/or time-size interactions on internal temperature were studied. Mandu was purchased from local markets and classified by its weight(small, medium, and large). Boiling, steaming, pan frying, and deep fat frying were adopted. Internal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a food thermometer in every one minut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mandu increased over time in every cooking process(p<0.05). After three minut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mandu in boiling, pan frying, and deep fat frying reached over at $74^{\circ}C$, which is high enough temperature to kill the harmful bacteria, but not in steam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mandu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ooking time, size, and both in boiling, steaming, and deep fat frying(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nal and surface temperatures of mandu in the cooking processes except pan frying in three minutes(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ree minutes' cooking of the mandu by boiling, pan frying, and deep fat frying is safe enough to eat. However, longer steaming time is needed in order to reach safe temperature. This study also indicates the cooking time and size of mandu appear to be major factors in determ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achieved at $74^{\circ}C$. More research is needed to check time to reach a safe temperature in the cooking process of mandu by steaming.

닭고기 Patty를 튀길 때 Patty 내부온도와 수율 예측 (Prediction Equations for Internal Temperature and Yields of Chicken Patties During Deep Fat Frying)

  • 이영현;첸티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7-160
    • /
    • 1991
  • 냉동된 닭 가슴살 patty를 계육 가공공장으로부터 얻어서 내부온도가 $0{\pm}1.1^{\circ}C$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Potentiometer에 연결된 thermocouple을 patty 중심에 삽입한 뒤 $168.3,\;179.4,\;190.6^{\circ}C$에서 튀겨 내부온도의 범위가 $48.9^{\circ}C$에서 $71.7^{\circ}C$가 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patty 내부온도는 튀김 솥(frier)에서 제거한 뒤 튀기는 온도나 내부온도와 관계없이 약 $11.1^{\circ}C$ 증가하였으며, 각각 다른 튀김온도에서 원하는 내부온도와 최종 내부온도는 튀기는 시간을 조절하므로써 얻을 수 있었다. 세 종류의 튀기는 온도에서 튀기는 시간이 독립변수인 3차 회귀다항식으로 시료 내부온도와 최종 내부온도를 예측하였고 최종 내부온도가 독립 변수인 2차 회귀다항식으로 수율을 예측하였다.

  • PDF

풀칠·고명기로 제조된 김부각의 물리적 건조 및 튀김 특성 (Physical drying and frying characteristics of kimbugaks made by a pasting & garnishing machine)

  • 유수남;최영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39-446
    • /
    • 2015
  • Kimbugak is one of Korea's traditional snacks made of lav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drying and frying characteristics of kimbugaks made by a pasting & garnishing machine. The drying and fry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analyzed to develop a continuous opera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kimbugak because kimbugak has a high moisture content after pasting process. Materials for pasting and garnishing on laver were rice gruel and sesame. The aluminum shelf with square hole was selected as a drying shelf. The recommended size of the square hole type was $1.5mm{\times}1.5mm$ because characteristics of deformation and easy separation from the shelf were excellent at the hole size. The drying time of 2 hours was also recommended with the drying temperature of $70^{\circ}C$ based on the test results such as dried condition (good), moisture conten t (3.7%), deformation (12.1 mm), and shrinkage rate (19.8%). As the frying conditions for dried kimbugaks, recommended oil temperature and frying time were $170^{\circ}C$, 15 seconds, respectively when corn oil was used. In the case of frying for undried kimbugaks, recommended oil temperature and frying time were $210^{\circ}C$, 2 - 3 minutes, respectively for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ep fat fried carrots depend on type of frying oil, frying temperature, and time of frying

  • Park, Hyun Su;Kim, Hyun Jung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6-53
    • /
    • 2020
  • Carrots were deep fat fried with sunflower oil (SO), palm oil (PO), and a blend of palm and sunflower oils (PSO with PO:SO as 2:8 or 4:6) at different temperatures (180 and 190℃) and lengths of time (0.5 to 2.5 min). The quality of deep fat fried carrots was determined by the moisture and fat content, color, conjugated dienoic acid (CDA), hydroperoxide, p-anisidine value,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fried carrots decreased with increasing frying time, while the fat content increased. The CDA and p-anisidine values of carrots fried with SO were higher than those fried with PO because of greater 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in SO. PSO was a better choice than SO or PO for deep fat frying carrots in the aspects of oxidative stability and ratio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of deep fat fried carrots depends on the type of oil and frying temperature used, as well as the length of time.

라면의 튀김온도와 시간이 조리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ying Temperatures and Times on Cooking Properties of Ramyon)

  • 김성곤;이애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5-220
    • /
    • 1990
  • 라면을 $140^{\circ},\;150^{\circ}$$160^{\circ}C$에서 각각 30-70초 튀겨 만든 다음 조리성질을 비교하였다. 튀김조건에 따른 라면의 수분과 지방질 함량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다. 조리 중 무게증가율은 부피증가율보다 컸으며 무게와 부피증가율은 높은 정상관을 보였다. 조리 중 무게증가속도 상수값은 $140^{\circ}$$150^{\circ}C$에서 튀긴 라면은 튀김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160^{\circ}C$에서 튀긴 라면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조리속도는 조리시간 4분을 경계로 2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초기 조리속도는 모든 라면에서 튀김시간이 길어질수록, 일정한 튀김시간에서는 튀김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 PDF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 이희해;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4
    • /
    • 2002
  • 가공저장하지 않은 단감을 씨와 꼭지만 제거하고 껍질 체로 동결 건조하여 60 mesh 이하로 분쇄하여 감가루를 제조하고, 이를 첨가하여 매작과를 조리하였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따라서 감가루의 첨가량과 튀김 온도 및 시간의 세 가지 변수가 조절되어 매작과가 조리되었으며 각 매작과의 품질 특성은 관능 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첨가한 25% 이내의 감가루 함량일 때, 매작과의 색은 첨가된 감가루 함량보다는 튀김 시간과 온도에 따라서 더 영향을 받았다. 매작과의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와 질감의 관계는 점착성이 적고 바삭함이 클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점착성은 감가루의 함량에 대한 영향이 다른 관능 특성에 비하여 크지만, 감가루의 함량이 많더라도 튀김 시간 및 튀김온도가 높을 때는 점착성이 적었으므로 튀김 시간과 온도를 이용하여 조정 할 수 있다. 바삭함은 선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므로 바삭할 수록 품질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튀김 온도가 가장 중요한 반응 변수이며 튀김 시간과 감가루의 함량은 비슷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단한 정도 또한 튀김 온도의 영향이 크며 감가루의 함량과 튀김 시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감가루 첨가에 따른 단맛의 상승 효과는 함량이 높을때는 그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지만, 첨가량이 적어질수록 감의 첨가량보다는 튀김온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나 튀김에 의한 고소한 맛이 단맛의 상승작용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작과의 뒷맛 또한 감가루의 첨가량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지만 높은 온도에서 튀김시간이 길어지면 튀김으로 인한 뒷맛이 강하였다.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선호도는 높은 온도에서 튀길 때는 짧은 시간에 제조하며 낮은 온도에서 튀길 경우는 튀기는 시간이 길수록 선호도가 증가되는 경향으로 튀김 조건에 대한 영향이 크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의 중심점인 감가루 함량 15% 일때 145$^{\circ}C$에서 4분간 튀겼을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목적인 감가루의 소비를 위해 함량을 늘일 경우는 최대 20%까지 첨가하면 155$^{\circ}C$에서 3 분간 튀겼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감가루 함량이 적은 시료와 선호도의 차이가 같았다. 따라서 감가루 매작과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최적 조건은 감가루의 함량을 고정하였을때, 색과 바삭거림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겹치는 지점인 튀김 온도가 131~14$0^{\circ}C$에서 5~6분간 튀겼을때 가장 적당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김(Pyropia sp.)스낵의 유탕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Frying Conditions of Laver Pyropia sp. Snack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최기범;김동민;최윤진;김선봉;박주동;배성아;배기일;조승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834-841
    • /
    • 2020
  • Laver Pyropia sp. is the most exported seafood in Korea and is one of the most consumed edible seaweeds. The export of laver has been centered on seasoned laver products; of note, laver snack products coupled with rice papers or glutinous rice paste are becoming more popular in Western countries. These laver snacks are manufactured using a deep frying process. Therefore, the frying conditions affect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ied laver snacks. In this study, we optimized the deep-frying conditions for laver snacks with gelatinized rice dough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frying temperature (X1, 190-220℃) and frying time (X2, 10-30 sec)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overall acceptance (Y1, points), hardness (Y2, N), and oil content (Y3, %). The optimal values of the frying temperature (X1) and time (X2) as per the overall acceptance (Y1) were 208℃ and 23.1 sec, respectively. The predicted overall acceptance (Y1=8.0 points), hardness (Y2=98.74N), and oil content (Y3=27.69%), were similar to the experimental values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Overall, the acceptanc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hardness; the decrease in hardness caused an increase in the crispiness of the laver snacks.

감자 튀김의 가열 온도와 시간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및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ying Time and Temperature on Formation of Acrylamide and Sensory Evaluation in French Fries)

  • 김진만;최지훈;최윤상;한두정;김학연;이미애;정혜경;김천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71-475
    • /
    • 2009
  • 본 연구는 후렌치 후라이의 가열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과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함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후렌치 후라이는 160-$180^{\circ}C$ 온도에서 2-5분간 가열하는데 아크릴아마이드의 생성은 가열 온도 및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조절함으로써 식품 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줄이면서 관능적으로 우수한 후렌치 후라이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후렌치 후라이 제조를 위해 $165^{\circ}C$에서 2분 30초 동안 가열하는 것이 아크릴아마이드의 생성을 저감화하면서 크리스피 및 관능적 측면에서 우수한 후렌치 후라이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북지역의 가정에서 튀김조리 이용과 사용된 튀김유의 관리실태 (A Survey on the Use of Deep-fat-fried Foods and Treatment of the Used Oils at Home in Chonbuk Area)

  • 윤계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3-541
    • /
    • 2001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deep-fat-fried foods and treatment of oils used for deep-fat-frying at home.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442 housewives in Chonbuk area. The frequency of taking deep-fat-fried foods was affected by ages and residential area. Average score for the preference of deep-fat-fried foods was 3.60 in the 5 point scale. Fifty three percent of the respondents prepared deep-fat-fried foods by themselves at home. The oil most commonly used for deep-fat-frying was soybean oil followed by com oil. Proper frying temperature was determined by dropping salt or food coating materials into the oil. Oil color was used as a parameter for determining the life of frying oils by 81.2% of the respondents. Most of the respondents appealed to use oils one more time after filtering. For the disposal of used frying oil, 65.7% of the respondents used some kinds of absorbing papers; 16.1% made soaps and 10.7% discarded into a sink.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the frequency of taking deep-fat-fried food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ousewives's health status, preference for foods prepared with oil and fats and family's preference for deep-fat-fried foods.

  • PDF

라면유지(油脂)의 안정성(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 제2보 공장규모에서의 라면 Frying 유지(油脂)의 성상변화(性狀變化) - (Stability of Lipid in Ramyon(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 II. Chemical Changes of Frying-fats during Frying Process in Ramyon Producing Plant -)

  • 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1
    • /
    • 1973
  • 라면제조(製造)과정중 frying 유지(油脂)(주원료 유지(油脂)는 beef tallow, 유지회전율(油脂回轉率) 9%/hr, 가열온도(加熱溫度) $140{\pm}10^{\circ}C)$의 안정성(安定性)을 작업시간 경과에 따라 공장규모(工場規模)로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frying 유지(油脂)의 carbonyl 가(價) 및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의 변화(變化)는 비교적 적었고, 산가(酸價) 및 착색성(着色性)은 다소(多少)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Silicic acid column 을 이용한 liquid partition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하여 중합물(重合物)을 검토한 바, 대부분(大部分)이 monomer 이었으나 polar fraction에서 미량(微量)이나마 frying 시간의 경과에 따른 dimer 의 증가를 주목(注目) 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는 현저한 변화는 없었으나 linolenic, linoleic 가 증가한 반면에 stearic, palmitic acid가 감소하였으나 적은 량(量)이었다. 3) 시간경과에 따른 각 시료(試料)의 시험저장결과, 신선유지(新鮮油脂)는 저장 초기(初期)에 있어서 다른 사용유(使用油)에 비(比)하여 중량증가(重量增加) 및 carbonyl 가(價) 공(共)히 안정(安定)한 경향이었고, 저장중 사용유간(使用油間)에 있어서 안정성(安定性)의 차이는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