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관능적 특성

  • 이희해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고봉경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Persimmon powder (PW), which was prepared by pulverizing freeze-dried persimmon with peels, was added to Maejakgwa up to 25% of wheat flour. Maejakgwa samples were prepared by the central composit experimental design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mount of PW, frying time, and frying temperature. The color of Maejakgwa was influenced more by the frying time and temperature than the content of added PW. Crispiness and adhesivenes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preference. Although the amount of PW affected the adhesiveness, the adhesiveness could be controlled by the frying temperature and time. Frying temperature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crispness and hardness. The addition of high amount of PW obviously increased the sweetness and aftertaste. However, at the low amount of PW, frying for longer time at high temperature also increased the sweetness and aftertaste. Center sample (15% PW, frying for 4 min at 145$\^{C}$) showed the best score at the overall preference. Overall preference was improved as the sample was fried at high temperature/short time or at low temperature/long time. Maejakwa prepared with high amount of PW at 20%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enter sample for overall preference as prepared by frying for 3 min at 155$\^{C}$. The optimum condition obtained by superimposing color, crispiness and overall preference was frying for 5∼6 min at 131∼140$\^{C}$.

가공저장하지 않은 단감을 씨와 꼭지만 제거하고 껍질 체로 동결 건조하여 60 mesh 이하로 분쇄하여 감가루를 제조하고, 이를 첨가하여 매작과를 조리하였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따라서 감가루의 첨가량과 튀김 온도 및 시간의 세 가지 변수가 조절되어 매작과가 조리되었으며 각 매작과의 품질 특성은 관능 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첨가한 25% 이내의 감가루 함량일 때, 매작과의 색은 첨가된 감가루 함량보다는 튀김 시간과 온도에 따라서 더 영향을 받았다. 매작과의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와 질감의 관계는 점착성이 적고 바삭함이 클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점착성은 감가루의 함량에 대한 영향이 다른 관능 특성에 비하여 크지만, 감가루의 함량이 많더라도 튀김 시간 및 튀김온도가 높을 때는 점착성이 적었으므로 튀김 시간과 온도를 이용하여 조정 할 수 있다. 바삭함은 선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므로 바삭할 수록 품질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튀김 온도가 가장 중요한 반응 변수이며 튀김 시간과 감가루의 함량은 비슷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단한 정도 또한 튀김 온도의 영향이 크며 감가루의 함량과 튀김 시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감가루 첨가에 따른 단맛의 상승 효과는 함량이 높을때는 그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지만, 첨가량이 적어질수록 감의 첨가량보다는 튀김온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나 튀김에 의한 고소한 맛이 단맛의 상승작용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작과의 뒷맛 또한 감가루의 첨가량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지만 높은 온도에서 튀김시간이 길어지면 튀김으로 인한 뒷맛이 강하였다.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선호도는 높은 온도에서 튀길 때는 짧은 시간에 제조하며 낮은 온도에서 튀길 경우는 튀기는 시간이 길수록 선호도가 증가되는 경향으로 튀김 조건에 대한 영향이 크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의 중심점인 감가루 함량 15% 일때 145$^{\circ}C$에서 4분간 튀겼을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목적인 감가루의 소비를 위해 함량을 늘일 경우는 최대 20%까지 첨가하면 155$^{\circ}C$에서 3 분간 튀겼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감가루 함량이 적은 시료와 선호도의 차이가 같았다. 따라서 감가루 매작과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최적 조건은 감가루의 함량을 고정하였을때, 색과 바삭거림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겹치는 지점인 튀김 온도가 131~14$0^{\circ}C$에서 5~6분간 튀겼을때 가장 적당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한찬: 단감. http://www.nhri.co.kr
  2. 김치영: http://net.kitel.co.kr. 경남 사천시 농촌지도소, 1996
  3. 한국사전연구사: 식품재료사전. 258, 1997
  4. 이철호: 약이 되는 식품. 어문각, 261, 1994
  5. 이현기: 신 영양학. 수학사, 278, 1990
  6. 정선영, 이수정, 성낙주: 감잎 차의 화학성분.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5):720, 1995
  7. 홍문화, 장원, 김완희, 이일랑, 남현철, 박수일, 구본홍, 박인규, 안규섭, 박병렬: 동의대보감. 고려문화사, 1614, 1996
  8. 류근철: 자연 식품과 한방. 문운당, 118, 1981
  9. 이계임: 과실류에 대한 소비자 선호 변화와 전망. 농업전망,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192, 1999
  10. 한국식품영양학회: 식품영양학사전. 37, 1997
  11. 한복려: 떡. 궁중음식연구원, 44, 1990
  12. 노홍균, 이명희: Chitosan을 이용한 감의 탈삽.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4):648, 1998
  13. 박금순, 정외숙, 이선주: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감설기 제조조건의 최적화. 한국조리과학회지, 16(5):394, 2000
  14. 정용진, 서지형, 이기동, 이명희, 윤성란: 사과, 감과실을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 중 성분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4):575, 2000
  15. 이기동, 정용진: 감과실을 첨가한 고추장의 관능적 특성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6):1132, 1998
  16. 이부용: 감식초 농축액들의 향기 성분 분석에 대한 전자코의 적용. 한국식품과학회지, 31(2):314, 1999
  17. 정석태, 김지강, 장현세, 김영배, 최종욱: 감 식초 제조를 위한 감 펄프의 알코올 발효 시 펙틴 분해효소 처리의 효과.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3(2):179, 1996
  18. 홍정화, 이기민, 허성호: 저온 저장 중 품질이 저하된 단감을 이용한 식초 제조.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1): 123, 1996
  19. 정동옥, 정희종: 감장아찌의 성분 특성 및 관련 미생물.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0(3):113, 1995
  20. 강우원, 김귀영, 김종국, 오상룡: 감잎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6(4):336, 2000
  21. 김종군, 최희숙, 김우정, 오훈일: 효소 처리한 감쥬스로 제조한 감잼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5(1):50, 1999
  22.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990
  23. 성내경: 회귀 분석. 자유아카데미, 237,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