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length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5초

다양한 조합의 적색과 청색 혼합 LED광에서 자란 방울 토마토 묘의 생육과 정식 후 수확량 및 품질 (Growth and Development of Cherry Tomato Seedlings Grown under Various Combined Ratios of Red to Blue LED Lights and Fruit Yield and Quality after Transplanting)

  • 손기호;김은영;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4-63
    • /
    • 2018
  • 적색과 청색광은 식물의 광합성에 효과적인 파장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합의 적색과 청색 LED 혼합광에서 자란 방울 토마토 묘의 생장과 정식 후의 생산량과 품질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였다. 파종 후 2주된 방울 토마토 묘(Solanum lycopersicum L. cv. 'Cuty')를 적색(655nm)과 청색(456nm) LED의 다양한 비율의 혼합광[red:blue = 41:59 (59B), 53:47 (47B), 65:35 (35B), 74:26 (26B), 87:13 (13B), or 100:0(0B)]과 형광등(대조구)이 설치된 생장상에 옮겨준 후 $25/20^{\circ}C$ (주/야), 광합성 광량자속 $198.6{\pm}5{\mu}mol{\cdot}m^{-2}{\cdot}s^{-1}$ (12시간)의 조건에서 27일간 육묘하였다. 그 후 방울 토마토를 벤로형 온실에 정식하여 75일동안 재배하였다. 정식 전 육묘 단계에서 27일간 LED 처리된 0B 와 59B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RB 혼합광 처리의 지상부 생체중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지상부 건물중과 엽면적 또한 지상부 생체중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줄기 신장은 13B, 26B, 35B에서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26B는 59B처리에 비해 약 3.2배 높은 줄기 신장을 보였다. 정식 후 37일 째에 마딧수는 26B와 47B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식물 초장은 26B에서 대조구와 59B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가장 높은 총 과실 생산량을 보였던 26B는 대조구에 비해 1.6배, 59B에 비해 1.8배 높은 총 과실 생산량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색과 청색 LED의 다양한 혼합 비율이 방울 토마토 묘의 생장 및 발달과 정식 후의 과실 생산량과 같은 생식생장에 영향에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한다.

시설 고추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경제적 방제수준에 따른 고추수확량 변화 예측 (Yield Loss Assessment and Determination of Control Thresholds for Powdery Mildew of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 김주희;정성수;이기권;임주락;심홍식;이왕휴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3-118
    • /
    • 2015
  • 고추 흰가루병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경제적 방제수준을 설정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추 흰가루병의 발병 정도에 따른 수량의 변화에 대한 분석은 병발생을 10단계 수준으로 구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흰가루병 발생수준과 과장, 과경, 과중은 부의 상관관계를 형성하였으며,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여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었다. 시설고추 흰가루병 발생 정도와 수량과의 회귀식은 천하통일과 부촌품종이 각각 Y = -2.136X+327.9 $R^2=0.76$, Y = -3.44X+291.1 $R^2=0.73$ 성립되었으며, 시설고추 흰가루병 발생 정도와 수량 손실량과의 회귀식은 천하통일과 부촌품종이 각각 Y = 2.14X+15.45 $R^2=0.76$ $r=0.87^{**}$ Y = 3.44X+11.21 $R^2=0.73$ $r=0.85^{**}$ 성립되었다. 따라서 시설 고추 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의 흰가루병 방제 적기는 발생 병반면적률이 3.2~7.3% 이하 이었으며. 고추 흰가루병 경제적 방제수준은 시설 고추 흰가루병 발생 정도가 3.8~6.2% 이하 일 때 방제를 시작하면 방제횟수를 절감 하면서 효율적인 방제를 할 수 있다.

'거봉' 포도 2기작 재배 시 근권 가온 및 CO2 시용이 생장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Berry Quality of 'Kyoho' Grapes in Double Cropping System as Affected by Root Zone Heating and CO2 Enrichment in Plastic Greenhouse)

  • 오성도;김용현;최동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67-372
    • /
    • 2001
  • 포도 거봉(Vitis labruscana L 'Kyoho')은 연 2회 생산할 수 있는 2기작 재배가 가능하다. 그러나 2기작 재배에서 2차 생산을 위한 과실의 성숙기가 단일조건과 저온기에 해당하므로 고품질의 과실 생산에 제약이 되고 있다. 거봉 수체의 생장을 촉진하고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권제한 재배용 베드에 온수파이프를 설치한 후 지중 가온에 의한 근권온도 상승 및 플라스틱 온실 내 $CO_2$ 시용에 따른 생장과 과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신초 절간장, 엽면적 및 엽 건물중은 $CO_2$ 시용에 관계없이 근권온도 상승구에서 양호하였다. 과방중, 과립중, 산함량, 착색도 및 화진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당 함량은 근권온도 상승 처리구와 근권온도 상승+$CO_2$ 공급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O_2$ 농도가 $300{\mu}mol{\cdot}mol^{-1}$에서 $800{\mu}mol{\cdot}mol^{-1}$로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가 계속 증가하였으나, $800{\mu}mol{\cdot}mol^{-1}$ 이상의 농도에서 광합성 속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흐린 날에는 $CO_2$ 시용에도 불구하고 온실 내의 낮은 광량과 저온으로 인하여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 PDF

LED 광원 및 설치조건에 따른 딸기의 생육 변화 (Effect of LED Light Sources and Their Installation Method on th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 이지은;신용습;정종도;도한우;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6-112
    • /
    • 2015
  • 딸기의 전조재배에 적합한 인공광원을 모색하기 위해 적색과 청색의 LED를 이용하여 설치조건을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인공광원은 LED PAR(PPFD $2{\sim}4{\mu}mol{\cdot}m^{-2}{\cdot}s^{-1}$), LED BAR(PPFD $100{\sim}120{\mu}mol{\cdot}m^{-2}{\cdot}s^{-1}$), 백열등(PPFD $2{\sim}4{\mu}mol{\cdot}m^{-2}{\cdot}s^{-1}$)이고 전조시기는 정화방이 개화하는 시점에 22시~01시까지 3시간동안 연속조명하였다. 무처리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초장과 엽병장이 길었으며, 그 중 백열등이 가장 많이 생장하였다. 전조처리구에서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LED PAR 처리구에서 생장량 대비 가장 무거웠다. 지상부의 엽면적 생장량에서는 무처리 보다는 전조처리구가 엽면적이 증대하는 경향이었고, LED PAR 처리가 엽면적이 넓었다. 엽록소 함량은 전조 후 60일 경에는 LED PAR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광원별로 광 환경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100W 백열등 배광곡선이 원형에 가까워 전조재배시 하우스 위쪽으로 많이 발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LED PAR 타입을 설치했을 때는 직진성이 강한 LED의 특성상 조명의 중심이 40lux 이상이며 좁은 지향각과 낮은 설치 위치로 인해 좁은 지역에 집광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조명과 조명사이에 기준조도 이하의 음영지역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설치 높이는 2m, 설치 간격은 3.75m로 조절하였고, 배치형태는 W타입으로 변경하여 전체 식물에 $1.2{\mu}mol{\cdot}m^{-2}{\cdot}s^{-1}$ 이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기준 조도와 균제도를 맞추어 최적화하였다.

겨울철 토마토 2단말식 펄라이트경에서 야간 근권 온도가 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Zone Temperature during the Night on the Growth and yield of Perlite Cultured Tomato in Winter)

  • 이한철;강경희;권기범;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0-35
    • /
    • 2001
  • 본 연구는 겨울철 토마토 펄라이트경에서 야간 근권온도를 1$0^{\circ}C$, 15$^{\circ}C$, 2$0^{\circ}C$, $25^{\circ}C$ 및 대구조로 설정하여 생육과 근활력 및 양분의 흡수 특성을 조사코자 수행하였다. 터널 피복내 온도는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다소 증가하였으나 대구조에 비해 3$^{\circ}C$ 이상 증가되지 않았다. 초장, 엽장, 엽폭 등의 생육은 2$0^{\circ}C$ 처리구에서 가장 좋았다. 경엽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2$0^{\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뿌리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 근활력은 제 1화방 개화기에는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과실 수확기에는 2$0^{\circ}C$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15$^{\circ}C$, $25^{\circ}C$, 1$0^{\circ}C$ 및 대조구 순으로 높았다. 칼륨 함량은 경엽과 뿌리 모두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많았으나, 질소와 마그네슘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인산과 칼슘 함량은 경엽에서는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뿌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주당 착과수와 평균과중은 온도가 높을수록 많고 무거운 경향이었으나 $25^{\circ}C$ 처리구에서는 15$^{\circ}C$ 또는 2$0^{\circ}C$ 처리구에서보다 적고 가벼웠다. 이러한 결과로 10a당 수량은 2$0^{\circ}C$ 처리구가 6.960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15$^{\circ}C$, $25^{\circ}C$, 1$0^{\circ}C$, 대조구 순으로 많았다. 2$0^{\circ}C$ 처리구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수량감소는 기형과의 발생의 많은 것에, 그리고 $25^{\circ}C$ 처리구에서의 수량감소는 착과수가 적은 것에 기인되었다.

  • PDF

포도 '캠벨얼리' 차광수준이 수체생장과 열매마름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e Levels on Growth and Fruit Blight of 'Campbell Early' Grapes)

  • 김병삼;조경철;황인택;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6
    • /
    • 2019
  • 시험I은 여름철 고온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매마름 증상 경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일부 지역의 '캠벨얼리' 6개 포도과원을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열매마름 발생비율이 높은 과원은 주로 관수를 하지 않은 수세가 중간인 곳에서 관찰되었다. 시험II는 포도나무 수관 전체를 차광망을 씌워서 차광수준을 0%, 30%, 60%로 하여 과실마름 증상 등을 포함한 수체 반응을 조사하였다. 수확 시기는 30% 차광으로 0% 차광보다 2주일 정도 앞당겨졌다. 차광량이 증가하면 신초장은 길어지고 신초경은 가늘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신초수는 30% 차광에서 가장 많았다. 수관의 조도는 30% 차광에서 약 26% 감소가 관찰되었다. 상품성이 있는 수확 과방수는 30% 차광처리에서 주당 50.6송이로 0% 차광(주당 33.6송이)과 60% 차광(주당 42.8송이)보다 높은 수확량을 보였다. 열매마름 과방과 열매마름 과립률은 30% 차광처리에서 각각 11.8%와 11.2%로 가장 낮았다. 30% 차광처리는 과방중과 과립중, 당도, 안도시아닌 함량을 증가시켰다.

Phenology of Zostera caespitosa in Tongyeong on the coast of Korea

  • Yoon, Joon-Sik;Kim, Nam-G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121-128
    • /
    • 2021
  • The variations of morphological features, density and biomass of vegetative shoots and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shoots of Zostera caespitosa were examined in Tongyeong, Korea.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leaf length, width and sheath length of Z. caespitosa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p < 0.001). The highest aboveground value was recorded in late spring to summer and the lowest value in winter. Density and biomass also showed seasonal variations. Annual average shoot density and biomass of Z. caespitosa were recorded as 1,223.4 leaf m-2 and 5,956.9 g w.w.m-2, respectively, and had the highest value in June and lowest values in November and January. Reproductive shoots were observed from April (13℃) to June (21℃). Pistils erected outside sheath, anther dehiscing and small embryos were found in April. Mature fruit and released seeds were found in May and Ju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species had a high growth rate in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15℃-20℃). Reproductive shoots of Z. caespitosa may initially appear at about 10℃ in spring and seed have been released at about 20℃ in fall.

Negative Effects of Inbreeding of Artificially Bottlenecked Drosophila melanogaster Populations

  • Kim, Baek-J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2호
    • /
    • pp.108-113
    • /
    • 2021
  • Detrimental effects of inbreeding have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for a long time.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shown the occurrence of inbreeding depression due to evolutionary changes as a purging process. In this study, two different populations (inbreeding and outbreeding) of Drosophila melanogaster were compared to assess inbreeding effects on artificial population bottlenecks. For inbreeding conditions, a couple of D. melanogaster (one virgin and one male) were selected from an inbred population and cultured in a vial. For outbreeding conditions, a couple of D. melanogaster were selected from different populations and cultured in a vi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lengths of adults, but not in other parameters such as the total number of adults, the rate of survival, and the rate of wing mutants. The mean body length of adults of outbreeding populations was longer than that of inbreeding populations in the first generation (G1; P = 0.004), but not in the second generation (G2; P = 0.066). Although the other three parameters (total number of adults, rate of survival, and rate of wing mutan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mean values between inbreeding and outbreeding populations,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ight be due to genetic purging. This study demonstrated one additional experimental case related to inbreeding depression in artificial bottlenecked population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confirm the clear interaction between inbreeding depression and genetic purging using more generations and replicates (or samples) of D. melanogaster.

Determination of the Boundary between Juvenile-Mature Wood of Diospyros kaki and Their Wood Anatomical Variations

  • Eka KARTIKAWATI;BIENITTA;Fanany Wuri PRASTIWI;Widyanto Dwi NUGRO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91-203
    • /
    • 2024
  • Persimmon wood (Diospyros kaki) is a seasonal fruit-producing plant with a beautiful dark pattern in its wood that is suitable for high-quality furniture, sculptures and musical instruments. The utilization of persimmon wood can be improved by determining its anato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juvenile and mature woo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boundaries between juvenile and mature wood and observe the anatomical properties of juvenile and mature wood and their variations in the axial direction. Three 30-year-old persimmon (D. kaki) trees grown in Karo, North Sumatra, Indonesi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boundary between juvenile and mature wood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iber length and vessel element length from near the pith to near the bark. Anatomical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the juvenile and mature wood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boundaries between juvenile and mature wood were 44.11 mm from the pith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rees. Furthermore, the wood anatomy categories of juvenile and mature wood differed significantly in terms of fiber diameter, fiber proportion, vessel proportion, and axial parenchyma pro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vessel diameter, ray parenchyma frequency, and ray parenchyma proportion at the base, middle, and top of the tre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iber Quality of Seven Mangrove Wood Species

  • ANDIANTO;Imam WAHYUDI;Rita Kartika SARI;Gustan PA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4호
    • /
    • pp.393-403
    • /
    • 2024
  • As an archipelagic country, Indonesia is surrounded by large and small islands. Many mangrove plant species are found along the coasts surrounding large and small islands. Besides their conservation value, mangrove plants provide various benefits, including the use of their leaves, fruit, bark, and wood as raw materials in pharmaceutical and other industries. Additionally, mangrove wood i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pulp and paper production.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fiber dimensions of the wood to identify the appropriat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 for pulp and pap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wood fiber dimensions of seven mangrove species from the Indramayu Regency, West Java Province, namely Avicennia alba, Bruguiera gymnorhiza, Bruguiera cylindrica, Hibiscus tiliaceus, Sonneratia ovata, Sonneratia caseolaris, and Excoecaria agallocha. For this analysis, maceration followed the Forest Product Laboratory guidelines, and preparation followed the Sass method. The fiber length, diameter, and lumen diameter were measured using a light microscope. Based on the values of the length and dimension derivatives, the fibers of these mangrove wood species were grouped into quality classes II or III for use as raw materials for the pulp and paper industry. The wood fibers of H. tiliaceus, A. alba, S. caseolaris, and E. agallocha met the quality class criterion II, whereas wood species fibers of B. gymnorhiza, B. cylindrica, and S. ovata met the quality class criterion III.